등산이론 교육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등산이론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되었던가?
1. 기압
공기압력의 강도를 말한다. 즉 공기가 무게가 있기 때문에 많이 쌓이면 쌓일수록 쌓인 만큼 압력을 받게 되는데 그 압력의 강도를 말한다.
따라서 기압은 높이 오를수록 낮아진다.
(평지의 기압은 보통 760mm내외, 10m오를 때 마다 1mm 씩 낮어진다.)
물이 100℃이하에서 끊어 밥이 설게되는 이유는 역시 높이 올라 기압이 낮아진 관계로서 기압 700mm 일때 97.7℃에서, 600mm일 때 93.5℃에서 물은 끓게 된다.
2. 온도
높이 100m 오를 때 마다 온도는 0.6℃정도씩 저하된다.
- 가장 추운 새벽 : 하루 가운데 최저기온은 해가 뜨기 전 새벽 시간이다.
- 제일 따뜻한 시간 : 정오부터 오후 2시까지
3. 바람
바람은 공기가 흘러 이동하는 상태, 즉 기류이다. 대기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상태.
대기의 대류 : 땅 표면에서 따뜻해진 공기가 팽창하여 그 밀도가 적어짐에 따라 하늘위로 상승하고 그 밑에 밀도가 높은 찬공기가 몰려드는 현상.
가. 낮바람과 밤바람
산에 있으면 낮에는 계곡으로부터 바람이 불고(곡풍), 밤에는 산정상으로부터 찬바람이 분다(산풍). → 텐트의 출입구 설치시 고려
나. 바람과 체감온도
보통 풍속 1m증가에 따라 기온은 1.2℃~1.5℃의 저하를 보인다.
체감온도는 더 낮아짐.
한여름일지라도 계곡을 건너온 등산인이 비온 다음의 찬바람에 못이겨 떠는
이유는 바로 이 체감온도에 의한 것이라고 할수 있다.
4. 바람의 방향과 태풍
5. 비
가. 비와 계곡의 물 - 절대 주의요망. 무릎정도 깊이의 계곡도 절대 주의필요. 실족시 뇌진탕, 익사, 최근 야영객들이 방심으로 인한 사고로 죽음을 당함
나. 비와 체온 : 사람의 체온은 37℃전후 인데 5~6°저하되면 죽는다.
비에 젖어 급격히 체온의 손실을 봄. 피로상태나 공복시 위험율 더욱 가중.
산에서의 비는 낭만보다는 무서운 것, 위험스러운 것으로 인식해야 함.
6. 구름과 안개
매우 작은 물방울이 지표부근에 떠 있는 현상으로, 가시거리가 1km미만일 경우를 안개라 한다.
가. 안개속
나. 환상방황(ring wandering)
자기는 어떤 목표를 향하여 전진하고 있다고 생각되나 사실은 크게 원을 그리는 행동으로 안개 속에서 걸리기 쉬운 현상. 1시간 또는 3시간 이상 자신은 직선행동을 했는데, 결국 도착한 곳은 출발점이 되는 것.
→ 독도를 하기가 어렵지만 현재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하고 그로부터 나침반을 이용하여 진행과정을 체크하는 편이 제일 안전한 방법.
7. 벼락
가. 벼락의 중심부와의 거리 측정
음속은 초속 330m이다. 3초라는 시간에 하나부터 10까지 셀 때 하나는 100m라는 거리측정단위가 된다.
번갯불을 본 순간 세어가기 시작한다. 10이면 벼락의 중심이 1000m이다.
적어도 500~600m 위치에 있을 때 위험
* 대피방법 : 소지한 쇠붙이를 멀리하고 부근에서 가장 작은 나무 밑에 있거나 될 수 있는 대로 노출되지 않도록 움추릴 필요가 있으며, 무리를 지어 있는 것도 위험하므로 10m씩 간격을 두고 있는 것이 좋으며, 가능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한다
Ⅳ. 등산 식량
보통 사람이 등산시에 소모되는 에너지는 1일 3500 - 4,000칼로리 정도
1. 등산식량의 조건
가. 가볍고 부피가 적을 것.
나. 요리하기에 편한 것.
다. 높은 열량을 낼 것.
- 체중 54kg의 일일 열량은 2000~2500 칼로리, 겨울산에서는 3,000~3750 칼로리 이상 필요
라. 맛있고 영양가가 높을 것.
마. 소화 흡수가 잘 될 것.
바. 휴대하기가 편할 것
- 커피, 조미료 용기는 가벼운 것으로
- 일정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손질과 포장에도 유의해야 한다.
사. 보존성이 강하고 변질되지 않을 것.
아. 버릴 것이 적을 것.
2. 등산 식량의 메뉴
3. 영양의 섭취 : 조리가 간단하면서도 영양이 풍부한 음식
4. 간식 및 비상식량의 구비조건
가. 열량이 높고 부피가 작으며, 간편하여 양이나 무게가 적을 것.
나. 당분이 많이 함유되어 섭취 후 빨리 소화 흡수되고
다. 빠른 시간안에 열량을 낼 수 있어야 하며
라. 취사없이 바로 먹을 수 있어야 하며
마. 깨어지거나 부서지지 않아야 하며
사. 간편하여 양이나 무게가 적을 것.
아. 더불어 간식 및 비상식량은 각자 휴대하여야 한다.
보통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연유, 치즈, 건포도, 육포, 쵸코렛, 건빵, 비스켓 등이 적합(비상식량은 산중에서 식량이 떨어지거나 길을 잃어 조난을 만날 경우를 대비하여 비를 맞거나 물에 빠져도 젖지 않게 비닐로 항상 싸둔다.)
Ⅴ. 등산복장 및 장비
1. 등산복장
가. 활동에 편리할 것.
나. 노출이 심하지 않을 것
다. 땀의 흡수와 보온효과가 좋을 것.
- 모자 : 직사광선 차단, 열사병 방지, 낙석으로 부터 머리보호, 체온 보호
- 상의 : 가벼울 것, 보온성, 방한성, 호주머니에 뚜껑이 있을 것. 일반적으로 모직제품이 좋다.
- 하의 : 몸을 보호하고 질기도록 되었으며 무릎운동을 원할하게 하고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호주머니의 뚜껑이 있어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청바지계통은 질긴면에서는 좋으나 무릎에 부담을 준다. 한번 젖으면 무게와 함께 하체에 부담감을 준다.
- 우의 : 봄, 여름, 가을의 등산에는 일기에 관계 없이 반드시 지참하는 것이 원칙.
- 신발 : ① 자기발에 잘 맞아야 한다.
② 손질이 잘되어 있어 수리할 수 없는 산중에서 사고가 있지 말아야 함
③ 목표로 하는 등반 목적에 맞는 종류의 등산화라야 한다.
2. 등산장비
의식주를 갖추고 목표로 하는 등산에 필요한 직접적인 도구를 모두 구비해야 함
이를 등산장비라고 한다.
가. 등산장비의 선택
① 가볍고 부피가 없어 휴대하기 좋을 것.
② 튼튼하고 질겨 깨어지거나 손상이 적을 것.
③ 사용목적이 뚜렷하고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
④ 취급과 사용이 되도록 간단할 것.
⑤ 되도록 다목적일 것.
나. 장비의 종류
①의류 ②취사구 ③막영구 ④생활구 ⑤기록구 ⑥등반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모두를 합쳐 다시 개인장비와 공동장비 둘로 나눌 수 있다.
- 개인장비 : 배낭, 취사구(수통,스푼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5.23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3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