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의 흐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시의 흐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서는 작품의 사상성이 상당히 중요시되었다. 그러나 현대시로 넘어오면서 사상은 작품의 부차적인 요소로 취급되고, 정서가 주된 요소로 자리잡게 된다. 그래서 혀대시의 주제는 고대 시가에 비해 집단의 이념과 관련된 의미가 현격히 탈색되고, 상대적으로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특성이 강하게 부각된다.
4) 시의 주제 파악 방법
(1) 시인이 제재를 어떤 생각으로 그려 내고 있는지를 생각한다.
(시인의 정서적 상태를 유심히 살핀다)
(2) 언어의 지시적 의미만이 아니라 암시적(함축적) 여러 의미를 함께 생각한다.
(3) 작품마다의 독특한 어조에 관심을 갖는다.
5) 주제의 표현 방법
(1) 언어의 관습적 의미
(2) 이미지(심상)
(3) 어조
【관련 문제】
▶ 성격 : 낭만적, 서경적, 전통적, 관조적, 향토적
▶ 특징 : ① 정중동(靜中動)의 심상
② 담담하게 찬탄하는 어조
③ 원근법적 시선 이동에 따른 시상 전개
▶ 제재 : 청노루
▶ 주제 : 봄의 정경과 정취(자연의 서경과 관조의 세계)
청(靑)노루
박목월(朴木月)
머언 산 청운사(靑雲寺)
낡은 기와집
산은 자하산(紫霞山)
봄눈 녹으면
느릅나무
속잎 피어나는 열두 굽이를
청노루
맑은 눈에
도는
구름
▶ 3인 시집 ‘청록집’(1946)
- 윗 시를 통해 드러나는 작자의 중심적인 생각을 10자 내외로 써라.
▶ 성격 : 문명 비판적, 주지적
▶ 특징 : ‘1’에서는 이미지스트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 주고, ‘3’에서는 인간 존재에 대한 탐구로 지적인 면을 보여 준다.
▶ 제재 : 새(의도와 가식이 없는 순수의 표상)
▶ 주제 : 순수 가치의 옹호와 추구

박남수(朴南秀)
1
하늘에 깔아 논
바람의 여울터에서나
속삭이듯 서걱이는
나무의 그늘에서나, 새는 노래한다.
그것이 노래인 줄도 모르면서
새는 그것이 사랑인 줄도 모르면서
두 놈이 부리를
서로의 죽지에 파묻고
따스한 체온을 나누어 가진다.
2
새는 울어
뜻을 만들지 않고,
지어서 교태로
사랑을 가식(假飾)하지 않는다.
3
포수는 한 덩이 납으로
그 순수를 겨냥하지만,
매양 쏘는 것은
피에 젖은 한 마리 상(傷)한 새에 지나지 않는다.
▶ ‘신태양’(1959. 3)
- 이 시의 주제는 어떤 이유에서 문명 비판적인가? 100자(띄어쓰기 포함) 내외로 쓰라.
▶ 성격 : 감상적, 관조적
▶ 특징 : 절제된 언어를 통한 감상의 극복
▶ 제재 : 사슴
▶ 주제 : 이상향에 대한 동경
사슴
노천명(盧天命)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짐승이여,
언제나 점잖은 편 말이 없구나.
관(冠)이 향기로운 너는
무척 높은 족속이었나 보다.
물 속의 제 그림자를 들여다보고
잃었던 전설을 생각해 내고는
어찌할 수 없는 향수에
슬픈 모가지를 하고
먼 데 산을 바라본다.
▶ 시집 ‘산호림(珊瑚林)’(1938)
- 이 시의 화자(話者)가 제재(題材)에 대하여 가지는 태도를 4자의 한자 성어(漢字成語)로 쓰라.
▶ 성격 : 관념적, 주지적, 상징적
▶ 특징 : 단순한 산문체의 시 같으면서도 깊은 의미를 지닌 난해시다. 꽃으로 대표되는 사물 속에 담고 있는 본질적 가치를 추구하나 그 결과에 이르지 못하고 추구하는 자세 그 자체에 그친다.
▶ 제재 : 꽃
▶ 주제 : 꽃의 참모습을 인식하지 못하는 안타까움(존재의 본질 인식에의 염원)
꽃을 위한 서시(序詩)
김춘수(金春洙)
나는 시방 위험(危險)한 짐승이다.
나의 손이 닿으면 너는
미지(未知)의 까마득한 어둠이 된다.
존재의 흔들리는 가지 끝에서
너는 이름도 없이 피었다 진다.
눈시울에 젖어 드는 이 무명(無名)의 어둠에
추억(追憶)의 하 ㄴ접시 불을 밝히고
나는 한밤내 운다.
나의 울음은 차츰 아닌 밤 돌개바람이 되어(되어
탑(塔)을 흔들다가
돌에까지 스미면 금(金)이 될 것이다.
얼굴을 가리운 나의 신부(新婦)여.
▶ 시집 ‘꽃의 소묘’(1959)
- 이 시에서 ‘너’가 가리키는 것을 밝히고, 그것과 같은 의미ㄹㄹ 쓰인 시어를 찾아 그 상징 의미를 써러. 그리고 ‘나’와 ‘너’에 대해 어떠한 존재인지를 이 시의 주제와 관련하여 100자(띄어스기 포함) 이내로 쓰라.
▶ 성격 : 민요적
▶ 특징 : ① 그리움을 노래했으면서도 오히려 밝고 경쾌
한 느낌을 준다
② 3음보, 75조
▶ 제재 : 만남의 의미
▶ 주제 : 잠시 인연을 가졌던 사람에 대한 그리움
오다 가다
김 억(金億)
오다 가다 길에서 십리 포구(十里浦口) 산 너머
만난 이라고, 그대 사는 곳.
그저 보고 그대로 송이송이 살구꽃
예고 말 건가. 바람에 논다.
산(山)에는 청청(靑靑) 수로 천리(水路千里) 먼 길
품 잎사귀 푸르고, 왜 온 줄 아나?
해수(海水)는 중중(重重) 예전 놀던 그대를
흰 거품 밀려 든다. 못 잊어 왔네
산새는 죄죄
제 흥(興)을 노래하고
바다엔 흰 꽃
옛 길을 찾노란다.
자다 깨다 꿈에서
만난 이라고
그만 잊고 그대로
갈 줄 아는가.
▶‘조선 문단’ 창간호(1929)
- 이 시의주제를 3음절 고유어로 쓰라.
- 이 시의 주제를 드러내고 있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비유 ② 반복 ③ 암시 ④직설 ⑤ 풍자
2. 운율(韻律)
1) 운율(韻律)의 개념(槪念)
말소리에 나타나는 음악적 요소를 시에서는 운율(韻律)이라고 부른다. 운율은 리듬(rhyme)보다는 좀 넓은 개념이다. 운율은 ‘운(韻)’과 ‘율(律)’의 합성어로서, ‘운’은 특정한 위치에 음운이 반복되는 현상을, ‘율’은 동일한 소리 덩어리가 일정하게 반복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즉 ‘운’은 같은 소리, 또는 비슷한 소리의 반복을, ‘율’은 소리의 고저, 장단, 강약 등의 주기성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2) 운율(韻律)의 구성 요소(構成要素)
시의 운율은 말이 지니고 있는 음성적 요소의 규칙적 배열, 특정한 음보의 반복, 음성 상징어의 구사, 일정한 음절의 규칙적 배열과 반복, 통사 구조 및 행과 연의 규칙적 배열 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운율은 또한 의미 구조에도 밀착되어 있어서 시인이 작품 속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주제 의식에 의해서도 이루어지는데, 음악성에 대한 욕구를 시의 내면으로부터 충족시키려고 하는 추세는 현대시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다.
3) 운율(韻律)과 정서(情緖)의 연관성
소리의 반복은 인간의 감정을 효
  • 가격3,000
  • 페이지수117페이지
  • 등록일2010.05.25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42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