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체크리스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급실 체크리스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mbu bag 사용법
E.K.G monitoring
fracture 환자
부목교정, 냉찜질, 응급간호

등등.../

본문내용

으로 잡아 빼면 혀로 인한 기도폐색을 막을 수 있다.
- 산소마스크와 앰브 주머니를 연결한다.
- 앰브 주머니를 눌러 환기를 돕는다.
3회
E.K.G monitoring
- 알코올 솜으로 닦는다.
- 심전계를 RA(오른쪽 쇄골 아래, 흰색), LA(왼쪽 쇄골 아래, 검정색), LL(왼쪽 가슴 아래, 빨간색) 연결한다.
- 심전도 모니터를 관찰한다.
- 손을 씻고 EKG monitor에 cable과wire, electrode를 연결한다.
- EKG moniter를 electrode부착 부위의 피부를 적절하게 준비한다.
-EKGmoniter의lead, size(Voltage), base line을 설정한다.
- 경보장치(alarm setting)를 켜고 경보 범위를 정한다.
- moniter에 EKG wave가 제대로 나오는지 확인한 후 초기 EKG strip을 확보한다.
- 환자를 편안하게 해주고 물품을 정리한다.
5회
fracture 환자
부목교정, 냉찜질, 응급간호
- 환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부목을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 환부가 부을 수 있으므로 Ice bag을 대어준다.
- 환부를 압박하는 드레싱을 한 뒤 환부를 상승시킨다.
- 쇼크 발생을 최대한 예방하고 기도, 호흡, 순환을 확인한다.
- 엑스레이 촬영으로 환부를 확인하고 안정시키며 고정시킨다
- 복합골절을 예방하기위해 환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부목을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 통증을 진정시키고 신경을 위축시키는 냉찜질을 시행한다. (근육 및 조직을 수축시켜 출혈과 부종을 가라앉힌다. )
1회
◎ 2010년 3월 16일 화요일
실습내용
임상
원리
관찰횟수
gastric lavage
- 독극물을 삼킨 환자에게 시행하였다.
- 위관에 윤활제를 묻힌다.
- 식도를 통해 위에 삽입하고, 무슨액체를 주사기로 위관을 통해 주입한다. 그리고 주사기를 잡아당겨 위속에 있는 약물등을 빼낸다.
- 구토시에 흡인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환자를 좌측 횡와위로 눕힌다.
- 의식이 저하되어 있거나 구역반사가 소실된 환자에서 기도를 보호할 필요성이 있을 때는 위세척을 시행하기 전에 기관 내 삽관을 먼저 시행한다.
- 튜브가 식도를 지나서 위에 도달할 때까지 밀어넣는다.(이 과정에서 저항이 느껴지면 뒤로 조금 뺐다가 다시 밀어 넣는다).
- 튜브를 삽입한 다음에는 공기를 주입하여 튜브가 위 내에 적절히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 수돗물 혹은 생리식염수를 적정량(성인에서는 1회에 200∼250 ml, 5세 미만의 소아에서는50∼100 ml) 주입한다.
- 잠시 동안 튜브를 막고 있다가, 튜브의 끝을 밑으로 향하게 하여 중력에 의해서 세척액이 배출되게 한다.
- 위세척은 최소한 2 리터를 시행하며 나오는 세척액이 맑을 때까지 계속한다. 주입되는 양과 배출되는 양은 비슷해야 한다.
1회
tracheal suction
- 일회용 장갑을 낀다.
- 흡인기에 카테터를 끼운다.
- 흡인기의 압력을 Full로 맞춘다.
- 카테터를 생리식염수에 헹군다.
- 기관삽관한 곳에 넣어줘서 흡인을 한다.
- Y연결관을 막지 말고 삽입하여 부드럽게 돌리며 흡인기의 구멍을 손으로 막았다 열었다 하면서 시행한다.
- 생리 식염수로 헹구고 마친다.
- 반파울러위를 취하게 하고 무의식대상자는 간호사와 얼굴을 마주보는 측위를 취하게 한다.
- 산소 기구에 소생 기구를 붙인다. 산소 흐름을 100%flush에 맞춘다.
- 흡인을 켜고 그 기관의 규칙에 따라 압력을 조절한다.
* wall unit
=성인 : 110~150mmHg
=노인, 아동 : 80~110mmHg
=영아 50~80mmHg
* portable unit
=성인 : 10~15mmHg
=아동 : 5~10mmHg
=영아 : 2~5mmHg
- 멸균 장갑을 끼고, 오른손에 카테터를 왼손에 Y-연결관이나 직선연결관에 연결한다.
카테터에 물을 통과시키고 필요시에 수용성 윤활액을 바른다.
- 오른손에 카테터 끝을 잡고 왼손의 엄지를 사용하여 카테터에 적은 양의 멸균 용액이 들어가도록 흡인한다.
- 소생백으로 환자를 환기시키고 충분히 산화시킨다. 이때 가능하나 한 완전하고 확실하게 4~5회 ambu백을 짜준다. 자발적으로 호흡을 하는 환자에서는 환자가 숨을 들이쉴 때 수동적 환기를 시킨다.
- 만약 분비물이 않지 않다면 흡인전에 소생주머니로 폐를 과도 환기시킨다.
만약 분비물이 많다면 Ambu bag으로 과도환기 시키지 않는다. 그대신에 산소를 흡인전에 몇분간 흐름 속도를 증가시킨다.
- Y관을 막지 않고 삽입하고 막으면서 카데터를 부드럽게 돌려가며 분비물을 제거한다.
- 생리식염수로 카데터를 깨끗이 가셔 낸다.
- 분비물이 제거될 때까지 흡인을 계속한다.
1회
convulsion &
hypertensive crisis 환자
응급간호
- 옷을 느슨하게 풀어주고 호흘할 수 있도록 기도를 유지시킨다.
- 약물을 투여한다.
* 경련환자
- 고개를 옆으로 돌린다.
- 발작 시 주위물체에 부딪치기 쉬우니 환자를 고정한다.
- 약물을 투여한다
(경련이지속될 경우에는 lorazepam을 정맥 주사하여 발작을완화하고 phenobarbital을 평소에 계속 사용해서 열성경련을 감소시킬 수 있다)
*hypertensive crisis 환자
- 이뇨강압약, 교감신경 억제약, 말초혈관 확장약을 사용하여 혈압을 낮추도록 유도한다.
- 절대 침상 안정하도록 한다.
1회
◎ 2010년 3월 17일 수요일
실습내용
임상
원리
관찰횟수
oxygen therapy
- 손을 씻고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반좌위를 취해준다.
- 산소게이지의 습윤병에 증류수를 표시된 선까지 채운다.
- 습윤병에 cannula를 연결한 후 조절기를 열어 처방된 산소 주입량을 조절한다.
- 비강 cannula를 비공에 끼운 다음 알맞게 조이거나 귀에 걸어 턱 밑에 고정시킨다.
- 환자를 편안하게 해주고 가습기를 대준다.
- 비강케뉼라 사용으로 wall에 있는 O2 meter에 bubble-jet의 위 나사 부분을 연결한다.
- O2 bottle을 열고 FILL TO THIS LINE 이라고 쓰여있는 곳까지 증류수를 채운다.
- 처방된O2를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5.27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49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