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간호진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근경색 간호진단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검사
5. 치료
6. 재발방지 및 예방
7. 소감

본문내용

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① ST 분절의 상승
경색 수 시간 후부터 convex upward형태의 ST분절의 상승이 손상부위의 심전도 유도(lead)에서 나타난다. 한편 이 유도의 반대편에서는 \'reciprocal depression\'이 나타나기도 한다. ST분절의 상승은 수 시간에서 수일 후 정상화된다.
(ST분절의 상승이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ventricular aneurism을 의심해야 한다. )
② T 파의 변화
T파의 변화는 아주 초기에는 giant upright T wave의 형태로 나타났다가 수 시간에서 수일 후 T wave inversion이 ST 분절의 상승이 있는 유도에서부터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수개월간 지속된다.
③ 비정상적인 Q파 (Pathologic Q wave, Abnormal Q wave)
비정상적인 Q파가 경색 수 시간에서 수일 사이에 나타난다.
※ 비정상 Q파의 진단 기준
길이 : 0.04초 이상 지속(심전도 용지의 작은 칸 하나의 크기)
깊이 : R파의 25% 이상
④ Late established Pattern(many days to weeks)
비정상 Q파와 QS complex는 지속되고 ST분절은 isoelectric해진다. T파는 ST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유도에서 대칭적이고 깊은 전위된 형태(symmetric and deeply inverted)가 지속된다.
⑤ Very late pattern (many months to years)
T파는 점차 정상으로 회복되고 비정상 Q파와 QS complex는 계속 지속되어 평생을 남게 된다.
2) 심장 초음파 검사
1. 정의 : 초음파 탐촉자를 내시경을 통하여 식도나 위 상부에 위치하고 심장근육, 판막과 심장기능 그리고 대동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검사이다.
2. 검사방법
탐침이 목으로 들어갈 때 불편감을 줄이기 위해 국소마취 약물을 10cc 정도 목 깊숙히 머금고 있다가 삼킨다. 검사대 위에 왼쪽으로 눕는다. 입에 보호구를 물고 끝에 초음파 기구가 달린 내시경을 삽입하여 초음파 기계를 통하여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검사하게 된다. 입안에 고인 분비물은 삼키지 말고 입 밖으로 흘려보낸다. 기구가 삽입되는 동안은 위 내시경과 같이 다소 불편을 느낄 수 있다. 소요시간은 약20-30분 이다. 초음파 탐촉자를 내시경을 통하여 식도나 위 상부에 위치하고 심장근육, 판막과 심장기능 그리고 대동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검사이다.
3. 적응증
흉통, 심전도 상의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흉부 X-선 촬영시 심장의 비대가 관찰된 경우, 또는 심방, 심 실, 판막, 대동맥과 같은 심장의 구조에 문제가 있는 환자, 선천성 심질환, 관상동맥 질환자를 대상으로 시 행하며, 심근 질환, 심낭 및 심외막의 삼출액을 진단하기 위하여 시행되는 데, 특히 대상자가 비만, 흉부외 상, 흉곽기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이 있어 심장 초음파로 진단하지 못했거나 심장초음파로 원하는 상을 얻지 못한 경우에 시행하게 된다. 하지만 대상자가 상부 식도에 질환이 있거나 식도 정맥류가 있는 경우는 시행할 수 없다.
3) 관상동맥조영술
관상동맥 조영술이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환자의 심근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을 X선을 이용해서 촬영하는 진단방법이다. 이 검사로 관상동맥의 질환의 정확한 진단과 원인을 알 수 있고 치료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1. 관상동맥 조영술 전후 간호
1) 검사전날
(1) 동의서: 주치의로부터 검사에 대한 설명을 받고, 동의서에 서명합니다.
(2) 시술부위 준비: 양측 서혜부나 손목 동맥의 혈관을 통하여 검사를 받게 됩니다. 피부준비를 위해 니트크림으로 양쪽 서혜부의 털을 깨끗하게 제거합니다.
(3) 정맥주사: 피부준비 후 정맥 주사로를 확보하여 수액 주입을 시작하게 됩니다.
(4) 금식: 자정이후로는 식사는 물론 물도 드시지 마세요.(검사가 오전일 경우는 자정부터 금식하시고, 오후에 실시하면 아침식사 후 금식합니다.)
2)검사당일
(1) 안정제 복용: 검사시행 전 불안감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는 안정제를 복용하고 검사실로 가게 됩니다.
(2) 방광 비우기: 검사실 내려가기 전에 방광을 비우고 내려가게 됩니다.
(3) 속옷은 모두 벗고 환의만 입습니다.
(4) 장신구, 틀니는 모두 제거하고 내려갑니다.
3) 검사과정
(1) 검사대 위로 환자를 옮기면 방사선 기계가 돌아가며 심장과 관상동맥을 촬영한다.
(2) 심전도를 환자 몸에 붙여 심장의 전기 활동을 관찰한다.
(3) 혈관을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5.27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51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