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재부후균(wood-rotting fungi)이란?
2. 목재부후균의 종류
①갈색부후균
②백색부후 (White rot fungi)
③연부후 (soft rot)
3. 목재부후균의 활동기작
2. 목재부후균의 종류
①갈색부후균
②백색부후 (White rot fungi)
③연부후 (soft rot)
3. 목재부후균의 활동기작
본문내용
을 얻기 위해서 많은 양의 목재를 공격하는 요 인이 되기도 한다.
2. 목재부후균의 종류
①갈색부후균
갈색부후균의 피해를 받은 목재는 그 겉모습이 암갈색 또는 적갈색을 나타내며 습기가 있을 때에는 목재 내부까지 연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갈색부후의 최종단 계에 이른 목재를 건조시키면 목리와 직각으로 할렬이 발생하는바, 이 갈라짐의 깊이는 목재 내부에까지 깊게 나타난다. 이 할렬은 길이 방향에서도 나타나지만 목리의 직각 방향의 것이 현저하다. 이 할렬은 균의 종류와 나무의 수종에 따라 다르지만 목재새포벽을 구성하고 있는 다당류의 분해에 의해 나타나는 수축율의 차이 때문이다.
갈색부후는 주로 침엽수재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활엽수재에서도 관찰되기도 한 다. 침엽수재는 대부분 구조 용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갈색부후는 주로 이같은 구 조 용재에서 많이 발견된다. 다만 갈색부후균의 균사는 피해목재의 표면에서 쉽 게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부후 여부를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기 어렵게 만든다.
심하게 부후된 갈색부후 목재를 손가락으로 부비면 쉽게 바스러져서 고은 가루 (주로 수식된 리그닌)로 된다. 이 부후균은 리그닌을 전혀 분해 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백색부후균과 대비된다. 목재화학자들은 갈색부후균이 다당류만 분해시키 고, 리그닌을 분해시키지 않는 점에 착안하여 갈색 부후재를 에틸 알코홀로 추출 하여 리그닌을 정제하는바, 이같이 얻어진 리그닌을 Brown lignin이라 부른다. 이 Brown 리그닌은 목재의 리그닌과 가장 유사하다는 마쇄 리그닌(milled wood lignin)에 비해 화학적으로 약간 변화된 리그닌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갈색부후는 가끔 대형 목구조물의 내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피해 목재의 외관 은 온전한 것처럼 나타난다. 특히 목구조물의 표면이 건조돼 있다거나 목구조물 의 표면만 방부처리 해놨을 경우 더욱 그러 한다. 따라서 갈색 부후를 받은 목구 조물의 초기 부후를 겉모습만 보고 탐색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특 히 목재 건축물, 나무로 만든 교량 등은 세심한 관찰을 하지 않으면 그 피해가 극심해진다.
상당히 많은 갈색 부후균은 강산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목재의 분해과정 중에 pH 1까지 낮출 수 있다. 이같은 경우 목재와 접촉하고 있는 금속 을 급속히 부식시킬 수 있으므로 금속접합부에 의해 연결되는 목재의 강도가 급 속히 떨어지기 때문에 이같은 조건에 놓여있는 목구조물의 관리에 주의를 요한다.
◈실버섯 Coniophora puteana : 호저온균의 하나로써 목재의 표면에 버짐처럼 넓게 퍼져 있다. 자실체는 가죽질로써 그 표면은 매끄럽다. 균사체는 황색이며 균 사속이 있다. 포자는 타원형이며 올리브색을 띠고 크기는 10 - 14 × 7 - 8μ이 다.
◈구멍버섯류 Postia placenta (옛 학명은 Poria placenta): 유럽과 미국에서 각종 부후시험에 사용되는 표준균으로, 균사체는 백색이다. 균의 종류에 따라서는 리그 닌이 많이 있는 중간층을 공격하는 것도 있다.
◈전나무 조개버섯 Gloeophyllum abietinum: 자실체는 반원형으로 갈색을 띠며 표면에 가는 털이 있다. 자실체의 아래 부분은 주름살모양이다. 침엽수로 된 전신 주, 말뚝, 교각 등에 많이 나타난다.
◈조개버섯 G. sepiarium : 비교적 고온을 좋아하며 (28-36℃) 자실체는 반원형으 로 크기는 1-7 × 1-3cm, 두께는 2-5mm로 표면은 황갈색-흑다색 이며 전면이 가는 털로 덮혀 있고, 주변부는 황백색의 연한 고리무늬를 갖고 있다. 포자는 원 주형, 무색으로 크기는 9-12 × 4 μ이다. 조개버섯류로써 G. trabeum은 유럽과 미국에서 갈색부후의 시험표준균으로 사용되고 있다.
◈작버섯 Lentinus lepideus : 자실체는 그 지름이 5-20cm로써 크고 부드러우며, 호빵형으로 중앙이 오목해져 있다. 색상은 황갈색이나 중심부근이 갈라져 백색의 살을 나타내며 송진냄새를 낸다. 소나무의 그루터기에서 자라는 작버섯은 식용버 섯이지만 방부제 creosote에 대한 저항력이 큰 갈색 부후균이다. 균사체는 황갈색 이다. 포자는 장타원형 또는 원통형으로 크기는 6-8 × 3-4μ이다.
◈버짐버섯 Serpula lacrymans : 호저온균(15-22℃)의 하나로써 자실체는 암갈색 으로 목재의 표면에 버짐처럼 넓게 퍼진다. 학명 lacrymans는 눈물을 짜다는 뜻 으로 이 버섯이 생육과정 중 버섯 위에 다수의 물방울이 분비되기 때문에 부쳐진 것이다. 목재건물의 마루, 벽판에 분포하며 부후력이 크다. 포자는 타원형, 황갈색 을 띠고 크기는 7-10 × 5-6μ이다.
◈Tyromyces palustris : 개떡버섯류로써 일본의 내후성 및 방부제의 방부 효력 시험의 표준균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이균을 여러 목재보존 시험의 표준균으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푸른 개떡버섯 G. caesius (=Postia caesia)이 침엽수재의 용재, 고목등에서 갈색부후을 일으킨다.
②백색부후 (White rot fungi)
백색 부후균의 공격을 받은 목재는 아이스크림과 같은 색깔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 색상에 따라 백색 부후라 부른다. 이 백색 부후는 주로 활엽수재에서 많이 발 생하지만, 침엽수재에서도 나타난다. 백색 부후의 가장 큰 특징은 목재세포벽의 구성 성분, 즉 다당류와 리그닌 모두를 분해한다는 점에서 갈색 부후와 큰 차이 를 이룬다.
백색부후는 목재세포벽의 부후 양태에 따라 동시분해형(simultaneous rot)과 선택 분행형(preferential white rot)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즉 섬유소, 헤미셀루로스 및 리그닌을 동시에 분해하는 형과, 다당류의 분해에 앞서 리그닌만을 우선적으로 분해하는 선택분해형으로 나누기도 한다. 대부분의 백색부후는 동시분해형에 속 한다. 리그닌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백색부후균들은 생물학적 펄프공정과 생 물학적 표백공정을 위해 연구되고 있다. 즉 이들 균들이 리그닌만을 분해하고 다 당류는 뒤늦게 분해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목재
2. 목재부후균의 종류
①갈색부후균
갈색부후균의 피해를 받은 목재는 그 겉모습이 암갈색 또는 적갈색을 나타내며 습기가 있을 때에는 목재 내부까지 연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갈색부후의 최종단 계에 이른 목재를 건조시키면 목리와 직각으로 할렬이 발생하는바, 이 갈라짐의 깊이는 목재 내부에까지 깊게 나타난다. 이 할렬은 길이 방향에서도 나타나지만 목리의 직각 방향의 것이 현저하다. 이 할렬은 균의 종류와 나무의 수종에 따라 다르지만 목재새포벽을 구성하고 있는 다당류의 분해에 의해 나타나는 수축율의 차이 때문이다.
갈색부후는 주로 침엽수재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활엽수재에서도 관찰되기도 한 다. 침엽수재는 대부분 구조 용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갈색부후는 주로 이같은 구 조 용재에서 많이 발견된다. 다만 갈색부후균의 균사는 피해목재의 표면에서 쉽 게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부후 여부를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기 어렵게 만든다.
심하게 부후된 갈색부후 목재를 손가락으로 부비면 쉽게 바스러져서 고은 가루 (주로 수식된 리그닌)로 된다. 이 부후균은 리그닌을 전혀 분해 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백색부후균과 대비된다. 목재화학자들은 갈색부후균이 다당류만 분해시키 고, 리그닌을 분해시키지 않는 점에 착안하여 갈색 부후재를 에틸 알코홀로 추출 하여 리그닌을 정제하는바, 이같이 얻어진 리그닌을 Brown lignin이라 부른다. 이 Brown 리그닌은 목재의 리그닌과 가장 유사하다는 마쇄 리그닌(milled wood lignin)에 비해 화학적으로 약간 변화된 리그닌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갈색부후는 가끔 대형 목구조물의 내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피해 목재의 외관 은 온전한 것처럼 나타난다. 특히 목구조물의 표면이 건조돼 있다거나 목구조물 의 표면만 방부처리 해놨을 경우 더욱 그러 한다. 따라서 갈색 부후를 받은 목구 조물의 초기 부후를 겉모습만 보고 탐색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특 히 목재 건축물, 나무로 만든 교량 등은 세심한 관찰을 하지 않으면 그 피해가 극심해진다.
상당히 많은 갈색 부후균은 강산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목재의 분해과정 중에 pH 1까지 낮출 수 있다. 이같은 경우 목재와 접촉하고 있는 금속 을 급속히 부식시킬 수 있으므로 금속접합부에 의해 연결되는 목재의 강도가 급 속히 떨어지기 때문에 이같은 조건에 놓여있는 목구조물의 관리에 주의를 요한다.
◈실버섯 Coniophora puteana : 호저온균의 하나로써 목재의 표면에 버짐처럼 넓게 퍼져 있다. 자실체는 가죽질로써 그 표면은 매끄럽다. 균사체는 황색이며 균 사속이 있다. 포자는 타원형이며 올리브색을 띠고 크기는 10 - 14 × 7 - 8μ이 다.
◈구멍버섯류 Postia placenta (옛 학명은 Poria placenta): 유럽과 미국에서 각종 부후시험에 사용되는 표준균으로, 균사체는 백색이다. 균의 종류에 따라서는 리그 닌이 많이 있는 중간층을 공격하는 것도 있다.
◈전나무 조개버섯 Gloeophyllum abietinum: 자실체는 반원형으로 갈색을 띠며 표면에 가는 털이 있다. 자실체의 아래 부분은 주름살모양이다. 침엽수로 된 전신 주, 말뚝, 교각 등에 많이 나타난다.
◈조개버섯 G. sepiarium : 비교적 고온을 좋아하며 (28-36℃) 자실체는 반원형으 로 크기는 1-7 × 1-3cm, 두께는 2-5mm로 표면은 황갈색-흑다색 이며 전면이 가는 털로 덮혀 있고, 주변부는 황백색의 연한 고리무늬를 갖고 있다. 포자는 원 주형, 무색으로 크기는 9-12 × 4 μ이다. 조개버섯류로써 G. trabeum은 유럽과 미국에서 갈색부후의 시험표준균으로 사용되고 있다.
◈작버섯 Lentinus lepideus : 자실체는 그 지름이 5-20cm로써 크고 부드러우며, 호빵형으로 중앙이 오목해져 있다. 색상은 황갈색이나 중심부근이 갈라져 백색의 살을 나타내며 송진냄새를 낸다. 소나무의 그루터기에서 자라는 작버섯은 식용버 섯이지만 방부제 creosote에 대한 저항력이 큰 갈색 부후균이다. 균사체는 황갈색 이다. 포자는 장타원형 또는 원통형으로 크기는 6-8 × 3-4μ이다.
◈버짐버섯 Serpula lacrymans : 호저온균(15-22℃)의 하나로써 자실체는 암갈색 으로 목재의 표면에 버짐처럼 넓게 퍼진다. 학명 lacrymans는 눈물을 짜다는 뜻 으로 이 버섯이 생육과정 중 버섯 위에 다수의 물방울이 분비되기 때문에 부쳐진 것이다. 목재건물의 마루, 벽판에 분포하며 부후력이 크다. 포자는 타원형, 황갈색 을 띠고 크기는 7-10 × 5-6μ이다.
◈Tyromyces palustris : 개떡버섯류로써 일본의 내후성 및 방부제의 방부 효력 시험의 표준균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이균을 여러 목재보존 시험의 표준균으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푸른 개떡버섯 G. caesius (=Postia caesia)이 침엽수재의 용재, 고목등에서 갈색부후을 일으킨다.
②백색부후 (White rot fungi)
백색 부후균의 공격을 받은 목재는 아이스크림과 같은 색깔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 색상에 따라 백색 부후라 부른다. 이 백색 부후는 주로 활엽수재에서 많이 발 생하지만, 침엽수재에서도 나타난다. 백색 부후의 가장 큰 특징은 목재세포벽의 구성 성분, 즉 다당류와 리그닌 모두를 분해한다는 점에서 갈색 부후와 큰 차이 를 이룬다.
백색부후는 목재세포벽의 부후 양태에 따라 동시분해형(simultaneous rot)과 선택 분행형(preferential white rot)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즉 섬유소, 헤미셀루로스 및 리그닌을 동시에 분해하는 형과, 다당류의 분해에 앞서 리그닌만을 우선적으로 분해하는 선택분해형으로 나누기도 한다. 대부분의 백색부후는 동시분해형에 속 한다. 리그닌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백색부후균들은 생물학적 펄프공정과 생 물학적 표백공정을 위해 연구되고 있다. 즉 이들 균들이 리그닌만을 분해하고 다 당류는 뒤늦게 분해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목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