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권력 >
Ⅰ. 서론
Ⅱ. 본론
1. 권력에 대한 이해
2. 권력의 원천
3. 권력관리
4. 권력에 수용과정
5. 권력행사와 조직정치
Ⅲ. 결론
1. 권력획득을 위한 정치적 전략 및 술수
< 갈등 >
Ⅰ. 서론
Ⅱ. 본론
1. 갈등의 기본 개념
2. 갈등의 원인
3. 갈등의 유형과 수준
4. 갈등의 결과
Ⅲ. 결론
1. 갈등해결의 기본양식
2. 구체적인 갈등해결 전략
3. 갈등의 관리기법
Ⅰ. 서론
Ⅱ. 본론
1. 권력에 대한 이해
2. 권력의 원천
3. 권력관리
4. 권력에 수용과정
5. 권력행사와 조직정치
Ⅲ. 결론
1. 권력획득을 위한 정치적 전략 및 술수
< 갈등 >
Ⅰ. 서론
Ⅱ. 본론
1. 갈등의 기본 개념
2. 갈등의 원인
3. 갈등의 유형과 수준
4. 갈등의 결과
Ⅲ. 결론
1. 갈등해결의 기본양식
2. 구체적인 갈등해결 전략
3. 갈등의 관리기법
본문내용
조직의 권력 및 갈등
4조
조직의 권력 및 갈등
< 권력 >
Ⅰ. 서론
Ⅱ. 본론
1. 권력에 대한 이해
2. 권력의 원천
3. 권력관리
4. 권력에 수용과정
5. 권력행사와 조직정치
Ⅲ. 결론
1. 권력획득을 위한 정치적 전략 및 술수
< 갈등 >
Ⅰ. 서론
Ⅱ. 본론
1. 갈등의 기본 개념
2. 갈등의 원인
3. 갈등의 유형과 수준
4. 갈등의 결과
Ⅲ. 결론
1. 갈등해결의 기본양식
2. 구체적인 갈등해결 전략
3. 갈등의 관리기법
< 권 력 >
Ⅰ. 서론
돈이나 재물과 같이 누구나 한번 소유하면 놓치기 싫어하고 다음 단계의 더 많은 것을 가지려고 하는 속성을 내재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권력이다. 이러한 권력에 대한 새로운 소유 욕구와 기존의 권력 소유자의 지속적 유지 또는 확대 요구는 조직이나 집단 속에서 상호간에 갈등이 생기지 않을 수가 없다. 이러한 불편한 갈등을 사전에 방지하여 이미 소유한 권력을 놓치지 않기 위하여 더 다양하고 많은 권력을 소유하려고 한다. 그러나 갈등이 생기는 조직내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가 부서간 또는 계층 간에서 일어나는 권력의 차이에 일어나는데, 권력의 격차는 계산할 수 없으며 눈으로 보이는 것도 아니다. 조직 내에서는 언제나 권력을 행사하는 쪽인 권력자와 행사되는 권력을 수용하는 쪽인 피권력자가 있으며 이 둘은 권력의 격차가 있게 마련인데, 그 격차가 바로 갈등을 일으키는 요인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며 우리 4조에서는 조직내의 권력과 갈등에 관해 발표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권력에 대한 이해
1) 권력이란 무엇인가?
권력은 정확하게 정의하기가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권력이 다른 개념들과 같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의미를 명확하게 구별하기 어려울 때가 많고 권력의 실체가 무엇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학자들간에 주장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종합하여 볼 때 권력이란 개인 또는 집단이 어떤 결정을 내리든가, 어떤 과업이 완수되도록 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이나 조직을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사회적 인간관계에서 상대방 의지와는 무관하게 나의 주장이나 방침 따위를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하여 밀고 나갈 수 있는 능력이라고도 할 수 있다.
A(사람,집단)가 B로 하여금 어떤 행동(관심사)를 갖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 즉, 동전의 앞뒷면의 관계라고도 한다.
2) 여러 학자의 권력에 대한 정의
가) 베버(M. Weber) : 권력은 사회적 관계 속에 있는 한 개인이 다른 개인이나 집단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나) 달(R. Dahl) : A가 B에 대해 권력을 갖는 다는 것은 B가 하고 싶지 않은 일일지라도 A의 요구에 따라 B가 그 일을 하도록 하게 하는 힘이다.
다) 에머슨(R. Emerson) : 권력이란 A가 B의 저항을 자신의 잠재적인 힘으로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이다.
라) 로빈슨(S. Robbins) : 권력은 A가 B에게 A가 원하는 것을 B가 수행하다록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능력이다.
마) 그린버그 & 바론 (J.Greenberg and R.A.Baron) : 권력은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력 다른 사람의 태도와 행동을 바
4조
조직의 권력 및 갈등
< 권력 >
Ⅰ. 서론
Ⅱ. 본론
1. 권력에 대한 이해
2. 권력의 원천
3. 권력관리
4. 권력에 수용과정
5. 권력행사와 조직정치
Ⅲ. 결론
1. 권력획득을 위한 정치적 전략 및 술수
< 갈등 >
Ⅰ. 서론
Ⅱ. 본론
1. 갈등의 기본 개념
2. 갈등의 원인
3. 갈등의 유형과 수준
4. 갈등의 결과
Ⅲ. 결론
1. 갈등해결의 기본양식
2. 구체적인 갈등해결 전략
3. 갈등의 관리기법
< 권 력 >
Ⅰ. 서론
돈이나 재물과 같이 누구나 한번 소유하면 놓치기 싫어하고 다음 단계의 더 많은 것을 가지려고 하는 속성을 내재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권력이다. 이러한 권력에 대한 새로운 소유 욕구와 기존의 권력 소유자의 지속적 유지 또는 확대 요구는 조직이나 집단 속에서 상호간에 갈등이 생기지 않을 수가 없다. 이러한 불편한 갈등을 사전에 방지하여 이미 소유한 권력을 놓치지 않기 위하여 더 다양하고 많은 권력을 소유하려고 한다. 그러나 갈등이 생기는 조직내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가 부서간 또는 계층 간에서 일어나는 권력의 차이에 일어나는데, 권력의 격차는 계산할 수 없으며 눈으로 보이는 것도 아니다. 조직 내에서는 언제나 권력을 행사하는 쪽인 권력자와 행사되는 권력을 수용하는 쪽인 피권력자가 있으며 이 둘은 권력의 격차가 있게 마련인데, 그 격차가 바로 갈등을 일으키는 요인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며 우리 4조에서는 조직내의 권력과 갈등에 관해 발표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권력에 대한 이해
1) 권력이란 무엇인가?
권력은 정확하게 정의하기가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권력이 다른 개념들과 같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의미를 명확하게 구별하기 어려울 때가 많고 권력의 실체가 무엇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학자들간에 주장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종합하여 볼 때 권력이란 개인 또는 집단이 어떤 결정을 내리든가, 어떤 과업이 완수되도록 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이나 조직을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사회적 인간관계에서 상대방 의지와는 무관하게 나의 주장이나 방침 따위를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하여 밀고 나갈 수 있는 능력이라고도 할 수 있다.
A(사람,집단)가 B로 하여금 어떤 행동(관심사)를 갖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 즉, 동전의 앞뒷면의 관계라고도 한다.
2) 여러 학자의 권력에 대한 정의
가) 베버(M. Weber) : 권력은 사회적 관계 속에 있는 한 개인이 다른 개인이나 집단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나) 달(R. Dahl) : A가 B에 대해 권력을 갖는 다는 것은 B가 하고 싶지 않은 일일지라도 A의 요구에 따라 B가 그 일을 하도록 하게 하는 힘이다.
다) 에머슨(R. Emerson) : 권력이란 A가 B의 저항을 자신의 잠재적인 힘으로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이다.
라) 로빈슨(S. Robbins) : 권력은 A가 B에게 A가 원하는 것을 B가 수행하다록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능력이다.
마) 그린버그 & 바론 (J.Greenberg and R.A.Baron) : 권력은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력 다른 사람의 태도와 행동을 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