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혹 드라마의 배경음악만이 음악이라 불릴지도 모를 일이다. 물론 보여지는 것을 능가하는 좋은 음악을 만들어 내는 것이 음악인들의 숙제이지만, 들음으로써 좋고 나쁨을 가리는 진정한 음악 마니아들이 많이 생겼으면 한다. 위에서 말한 보여지는 화려한 유혹들을 무덤덤하게 지나칠 수 있는 진정 듣는 것에 익숙한 사람이 많아지는 날이 온다면 스스로 무덤을 파고 있는 음악계 종사자들도 얄팍한 술수로 음악을 만드는 일은 없을 것이다. 베토벤은 청력을 잃은 후에 교향곡 9번 합창을 만들어 냈다. 하지만 아무도 그가 듣지 못한 것에 대한 불신 없이 마음으로 들어주고 그의 영혼의 소리로 받아들인다. 지금까지도 그리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아무리 시대가 변한다 해도 좋은 음악은 마음으로 듣고 영혼으로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추천자료
대중문화 이론의 역사적 전개 분석
대중문화의 관점에서 본 셰익스피어 비극의 몇 가지 특성
대중문화에 따른 소비
대중문화 낯설게 읽기 - 의미를 둘러싼 투쟁
대중문화 낯설게 읽기 (강인규 - 기호학, 의미를 둘러싼 투쟁)
대중문화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대중문화 속의 클래식
대중문화와 청소년
한국대중문화의 과거 현재와 미래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대중문화 속에서 팬덤효과의 긍정적, 부정적인 면에 대하여 기술
대중문화의 정의와 개념 및 나의 의견 분석
[가수][오락프로그램][저작권법][가수매니지먼트][팬클럽][팬픽][연예인][공인][기획사][대중...
대중문화속의 영화 (“왕의 남자”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