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모습을 하고 있고, 이상사회와는 상당히 멀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의 공산주의에서는 폭력적 수단과 또 다른 소수의 특권 계층을 정당화 함으로써 대다수의 민중에게 평등한 불행을 강요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나름대로 현대적 시각에서 본 플라톤 이상사회론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는 플라톤이 생존하던 시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그 규모가 대형화 되었다. 이러한 대형사회에서는 너무나 많은 변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의도대로 인위적이고 일시적으로 완전 개혁을 이루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둘째, 플라톤이 말한 아내와 아들을 공유하는 것을 시작으로 하는 사유재산의 부정은 아직까지는 인간의 본성에 거슬리는 문제가 된다. 이것은 곧 인륜에 어긋나고, 남보다 우월하려는 인간본성을 무시하는 것으로 느껴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기원 이전에 발표된 플라톤의 이러한 이상사회는 그 순수한 동기로부터의 발상에 대해서 높이 평가받을 만 하며, 그것이 곧 계속해서 우리의 궁극적 목표가 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결국 인류는 2천년이 넘도록 플라톤이 남겨놓은 과제를 해결하지 못한 셈이다.
참 고 문 헌
플라톤: 국가론/최현 옮김,서울, 집문당 1996.
나름대로 현대적 시각에서 본 플라톤 이상사회론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는 플라톤이 생존하던 시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그 규모가 대형화 되었다. 이러한 대형사회에서는 너무나 많은 변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의도대로 인위적이고 일시적으로 완전 개혁을 이루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둘째, 플라톤이 말한 아내와 아들을 공유하는 것을 시작으로 하는 사유재산의 부정은 아직까지는 인간의 본성에 거슬리는 문제가 된다. 이것은 곧 인륜에 어긋나고, 남보다 우월하려는 인간본성을 무시하는 것으로 느껴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기원 이전에 발표된 플라톤의 이러한 이상사회는 그 순수한 동기로부터의 발상에 대해서 높이 평가받을 만 하며, 그것이 곧 계속해서 우리의 궁극적 목표가 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결국 인류는 2천년이 넘도록 플라톤이 남겨놓은 과제를 해결하지 못한 셈이다.
참 고 문 헌
플라톤: 국가론/최현 옮김,서울, 집문당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