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매업 발전의 주요 추세
(1) 파워 소매업자에 의한 소매시장 지배력의 심화
(2) 소매업(태)의 양극화현상의 확대
(3) 패키지 소비용품의 유통경로상에서
소매업자 파워의 증가
(4) 새로운 용도로 활용되는 중간상상표
(5) 편의성에 대한 중요성의 증가
(6) 컴퓨터기술 영향력의 증가 및 온라인 쇼핑
(7) 소매점 포지션의 중요성 증가
2. 소매관리
2.1 소매상 마케팅전략
(1) 소비자 기대
(2) 소매점의 마케팅전략-소매점의 STP 전략
(3) 소매점포 믹스
2.2 소매점포 믹스
(1) 상권의 구조
(2) 상권분석기법
(1) 파워 소매업자에 의한 소매시장 지배력의 심화
(2) 소매업(태)의 양극화현상의 확대
(3) 패키지 소비용품의 유통경로상에서
소매업자 파워의 증가
(4) 새로운 용도로 활용되는 중간상상표
(5) 편의성에 대한 중요성의 증가
(6) 컴퓨터기술 영향력의 증가 및 온라인 쇼핑
(7) 소매점 포지션의 중요성 증가
2. 소매관리
2.1 소매상 마케팅전략
(1) 소비자 기대
(2) 소매점의 마케팅전략-소매점의 STP 전략
(3) 소매점포 믹스
2.2 소매점포 믹스
(1) 상권의 구조
(2) 상권분석기법
본문내용
생산된 각종 조립용 가구 및 가정용 액세서리를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
하이퍼마켓 : 기존의 MWC상품에서 취약했던 식품의 비율을 절반이상으로 RMfdjdhffl고 매장면적 역시 5,000평이상의 규모를 갖는 점포로 출점하여, 비회원의 출입도 허용하고 매장구성은 MWC와 동인한 창고형태로 운영하는 업태, 대부분은 소매업자 또는 식당업 등 자영업을 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함, 취급상품과 운영방식은 슈퍼마켓과 비슷하지만 훨씬 더 크고 정육, 청과 등 1차 식품 취급비중이 높은게 특징이다. 공산품위주 할인점 + 슈퍼마켓을 혼합한 형태로서 미국에서는 슈퍼센터란 용어를 즐겨 쓰는데 월마트의 슈퍼센터가 유명함.
미국 식품소매업계의 경쟁환경
구 색
넓 음
좁 음
마
진
높
음
컴비네이션점
슈퍼스토아
소형 자영점
편의점
식품emporium
전통적인 슈퍼마켓
낮
음
초대형 창고점
(Super Warehouse Store)
하이퍼마켓
창고점
도매클럽
한정구색소매점
(Limited-Assortment Store)
전통적인 백화점, 전통적인 슈퍼마켓, 전통적인 드러그 스토어(drug store) 등은 전문점과 저가격 대량판매의 대형할인점 사이에서 고전하고 있다. 전문점체인과 초대형 할인점체인의 중간에서 성공적으로 경쟁우위를 유지하는 전통적인 백화점들이 일부 존재하지만, 백화점들도 시장생존을 위해 그 동안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
첫째, 이들은 경영기능의 많은 부분을 중앙집중화하였으며 비용에 대한 엄격한 통제를 실시
둘째, 경쟁우위를 유지할 수 없는 매장은 규모를 축소 - 많은 백화점체인들이 장난감, 스포츠용품, 내구재 매장의 크기를 축소
셋째. 특정고객층을 염두에 둔 상품구색가 매장의 재구성으로 인해 이들은 전통적인 백화점보다는 한 건물내에 여러 개의 전문점들을 결합한 복합 매장의 형태에 더욱 유사하게 되었다.
- 전문점체인과 초대형 할인점의 공세에서 치명적인 타격을 받은 백화점의 대표적인 예) Sears
(3) 패키지 소비용품의 유통경로상에서 소매업자 파워의 증가
파워소매업자(power retailers)들은 유통경로내 소매수준에서의 경쟁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확보한 것은 물론 그들의 공급업자들에게 대한 영향력도 더욱더 커지고 있다. 특히 패키지용품시장에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한때 P&G, Colgates, Krafts, Clorox 등의 대규모 생활용품 제조업자들이 소매업자들을 지배하였으나 이제는 전세가 역전되었다.
- 역전하게 된 여러 요인
첫째. 식품점, 드러그(drug)점, 그리고 양판점체인에서 주로 판매되는 대부분의 품목들이 완만한 매출성장을 보이고 있다.
둘째. 가격이 전략적 무기로 대두됨에 따라, 소매업자들은 규모의 경제를 추구한다는 것은 대형매장의 건설, 고정비용의 증가, 손익분기점의 확대 등을 의미하며, 이를 실현하지 못한 소매점들은 다른 대형소매업자들에 의해 흡수 합병되었다.
셋째. 정보기술의 발달로 대부분의 대형 소매업자들은 품목별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매업자들은 개별품목별 수익성(direct product profitability)의 계산 및 회전율이 높은 품목과 낮은 품목의 죽각적인 파악이 가능하게 되었고, 물량이동속도를 토대로 한 선물(先物)구매 및 공급업자와의 구매조건 협상 등을 실현
넷째. 소매업계내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짐에 따라 상품바이어가 부담해야 할 책임이 갈수록 가중되고 있다.
다섯째. 많은 소비용품시장이 성숙기에 들어섬에 따라. 제조업체들은 지속적인 매출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수많은 신제품들을 도입하였고, 이들에 대한 진열공간확보를 위해 도 소매상들에 대한 판매촉진을 제공하였다.
이와 같이 저가격이 소매업자들의 전략적 경쟁수단으로 대두되고 소매점이 대형화되어 소매업자의 경로파워가 증가함에 따라 1980년대 후반에 들어 제조업자들이 지출한 중간상판매촉진비기 매체광고비를 초과하였다.
선물구매에 대한 할인제공은 사전 대량주문을 하는 도 소매상들에 대해 가격할인을 해주는 것이다.
선물구매에 대한 할인과 관련하여 일명 diverting이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제조업자가 특정지역에 대한 중간상판촉을 실시할 때, 일부 도 소매상들이 대량으로 구매한 후 이들 중 일부를 할인이 실시되지 않는 지역에 유통시키는 경우이다.
신제품 진열지원금(slotting allowances)은 1970년대 식품점체인들이 신제품을 취급하는 데 소요되는 운영비용(창고내 공간확보, 컴퓨터내 정보입력, 진열대 진열 등에 소요된 비용)을 보상해 주기 위한 수단으로 도입되었으나, 점차 비용의 규모가 확보었다.
신제품 판매 실패에 대한 보상금(failure fees) - 1989년 Super Valu Stores의 도매사업부인 J. M. Jones Co.가 판매실적이 없는 제품을 창고에서 제거하는데 대한 보상금을 요구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한편 많은 생활용품 제조업체들이 이러한 소매업계 관행의 변화에 대처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P&G나 Kraft는 중간상판촉비를 삭감하고 브랜드파워를 가진 자사상표에 대한 소비자 프랜차이즈를 강화하기 위해 광고비 지출은 확대하기로 결정, 도소매상의 비용구조를 정확히 분석하여 이들의 비용감축 노력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노력도 하고 있다.
생활용품분야에서 대형 도소매상들이 제조업자를 지배하는 상황에서 최선의 대응방안의 하나는 제조업자들이 제품차별화를 위해 R&D에 전혁투구하는 것이다. 혁신제품이 아닌 모방신제품으로 진열공간의 지속적인 확보는 불가능한 것이다.
(4) 새로운 용도로 활용되는 중간상상표
전통적으로 대형 소매업자들은 중간상상표를 추가적인 이익의 획득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여 왔으나, 대체로 중간상상표는 제조업자상표보다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은 높지 않은 것으로 인식 되어 왔다. 중간상상표는 소매기업에 의해 소유되거나 계약을 통해 통제가 가능한 상표를 말하지만, 다음과 같은 다양한 유형이 있다.
① 점포명을 상표명으로 사용(가령, The Gap, Kroger, Benetton)
② 새로운 상표명 개발(The Limited의 Forenza, Sears의 Kenmore, Cotter & Co.
하이퍼마켓 : 기존의 MWC상품에서 취약했던 식품의 비율을 절반이상으로 RMfdjdhffl고 매장면적 역시 5,000평이상의 규모를 갖는 점포로 출점하여, 비회원의 출입도 허용하고 매장구성은 MWC와 동인한 창고형태로 운영하는 업태, 대부분은 소매업자 또는 식당업 등 자영업을 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함, 취급상품과 운영방식은 슈퍼마켓과 비슷하지만 훨씬 더 크고 정육, 청과 등 1차 식품 취급비중이 높은게 특징이다. 공산품위주 할인점 + 슈퍼마켓을 혼합한 형태로서 미국에서는 슈퍼센터란 용어를 즐겨 쓰는데 월마트의 슈퍼센터가 유명함.
미국 식품소매업계의 경쟁환경
구 색
넓 음
좁 음
마
진
높
음
컴비네이션점
슈퍼스토아
소형 자영점
편의점
식품emporium
전통적인 슈퍼마켓
낮
음
초대형 창고점
(Super Warehouse Store)
하이퍼마켓
창고점
도매클럽
한정구색소매점
(Limited-Assortment Store)
전통적인 백화점, 전통적인 슈퍼마켓, 전통적인 드러그 스토어(drug store) 등은 전문점과 저가격 대량판매의 대형할인점 사이에서 고전하고 있다. 전문점체인과 초대형 할인점체인의 중간에서 성공적으로 경쟁우위를 유지하는 전통적인 백화점들이 일부 존재하지만, 백화점들도 시장생존을 위해 그 동안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
첫째, 이들은 경영기능의 많은 부분을 중앙집중화하였으며 비용에 대한 엄격한 통제를 실시
둘째, 경쟁우위를 유지할 수 없는 매장은 규모를 축소 - 많은 백화점체인들이 장난감, 스포츠용품, 내구재 매장의 크기를 축소
셋째. 특정고객층을 염두에 둔 상품구색가 매장의 재구성으로 인해 이들은 전통적인 백화점보다는 한 건물내에 여러 개의 전문점들을 결합한 복합 매장의 형태에 더욱 유사하게 되었다.
- 전문점체인과 초대형 할인점의 공세에서 치명적인 타격을 받은 백화점의 대표적인 예) Sears
(3) 패키지 소비용품의 유통경로상에서 소매업자 파워의 증가
파워소매업자(power retailers)들은 유통경로내 소매수준에서의 경쟁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확보한 것은 물론 그들의 공급업자들에게 대한 영향력도 더욱더 커지고 있다. 특히 패키지용품시장에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한때 P&G, Colgates, Krafts, Clorox 등의 대규모 생활용품 제조업자들이 소매업자들을 지배하였으나 이제는 전세가 역전되었다.
- 역전하게 된 여러 요인
첫째. 식품점, 드러그(drug)점, 그리고 양판점체인에서 주로 판매되는 대부분의 품목들이 완만한 매출성장을 보이고 있다.
둘째. 가격이 전략적 무기로 대두됨에 따라, 소매업자들은 규모의 경제를 추구한다는 것은 대형매장의 건설, 고정비용의 증가, 손익분기점의 확대 등을 의미하며, 이를 실현하지 못한 소매점들은 다른 대형소매업자들에 의해 흡수 합병되었다.
셋째. 정보기술의 발달로 대부분의 대형 소매업자들은 품목별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매업자들은 개별품목별 수익성(direct product profitability)의 계산 및 회전율이 높은 품목과 낮은 품목의 죽각적인 파악이 가능하게 되었고, 물량이동속도를 토대로 한 선물(先物)구매 및 공급업자와의 구매조건 협상 등을 실현
넷째. 소매업계내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짐에 따라 상품바이어가 부담해야 할 책임이 갈수록 가중되고 있다.
다섯째. 많은 소비용품시장이 성숙기에 들어섬에 따라. 제조업체들은 지속적인 매출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수많은 신제품들을 도입하였고, 이들에 대한 진열공간확보를 위해 도 소매상들에 대한 판매촉진을 제공하였다.
이와 같이 저가격이 소매업자들의 전략적 경쟁수단으로 대두되고 소매점이 대형화되어 소매업자의 경로파워가 증가함에 따라 1980년대 후반에 들어 제조업자들이 지출한 중간상판매촉진비기 매체광고비를 초과하였다.
선물구매에 대한 할인제공은 사전 대량주문을 하는 도 소매상들에 대해 가격할인을 해주는 것이다.
선물구매에 대한 할인과 관련하여 일명 diverting이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제조업자가 특정지역에 대한 중간상판촉을 실시할 때, 일부 도 소매상들이 대량으로 구매한 후 이들 중 일부를 할인이 실시되지 않는 지역에 유통시키는 경우이다.
신제품 진열지원금(slotting allowances)은 1970년대 식품점체인들이 신제품을 취급하는 데 소요되는 운영비용(창고내 공간확보, 컴퓨터내 정보입력, 진열대 진열 등에 소요된 비용)을 보상해 주기 위한 수단으로 도입되었으나, 점차 비용의 규모가 확보었다.
신제품 판매 실패에 대한 보상금(failure fees) - 1989년 Super Valu Stores의 도매사업부인 J. M. Jones Co.가 판매실적이 없는 제품을 창고에서 제거하는데 대한 보상금을 요구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한편 많은 생활용품 제조업체들이 이러한 소매업계 관행의 변화에 대처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P&G나 Kraft는 중간상판촉비를 삭감하고 브랜드파워를 가진 자사상표에 대한 소비자 프랜차이즈를 강화하기 위해 광고비 지출은 확대하기로 결정, 도소매상의 비용구조를 정확히 분석하여 이들의 비용감축 노력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노력도 하고 있다.
생활용품분야에서 대형 도소매상들이 제조업자를 지배하는 상황에서 최선의 대응방안의 하나는 제조업자들이 제품차별화를 위해 R&D에 전혁투구하는 것이다. 혁신제품이 아닌 모방신제품으로 진열공간의 지속적인 확보는 불가능한 것이다.
(4) 새로운 용도로 활용되는 중간상상표
전통적으로 대형 소매업자들은 중간상상표를 추가적인 이익의 획득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여 왔으나, 대체로 중간상상표는 제조업자상표보다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은 높지 않은 것으로 인식 되어 왔다. 중간상상표는 소매기업에 의해 소유되거나 계약을 통해 통제가 가능한 상표를 말하지만, 다음과 같은 다양한 유형이 있다.
① 점포명을 상표명으로 사용(가령, The Gap, Kroger, Benetton)
② 새로운 상표명 개발(The Limited의 Forenza, Sears의 Kenmore, Cotter & Co.
키워드
추천자료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조사
경제발전을 위한 성장과 분배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주택문제와 개발이익 환수제도 문제점 및 개선방향
GIS발전현황과 개념,역사,표현 등에 관한조사자료
OLED에이용되는재료및발전방향
[항공기][항공기산업][항공우주산업][항공운송산업][항공]항공기산업의 목표, 항공기산업의 ...
풍력발전에너지
호텔식업료산업의발전방안
경제발전과 정부의 역할
[자연과학]풍력발전에 대해서
열병합발전 2차 발표
동ㆍ서ㆍ남해안권발전 특별법 시행령
국가균형발전의 비전과 전략
[건설사업][건설][사업][건설사업 관리][CM][건설사업 공사시간][건설사업 발전소전문건설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