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통놀이 <윷놀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전통놀이 <윷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윷 놀 이’ 의 기원, 방법, 특징 및 활용방법

▶ 기원
▶ 윷놀이 방법
▶ 특징
― 윷에서 끝수를 나타내는 이름들의 뜻
― 윷판의 유래
― 윷점
▶ 활용방안

본문내용

착하면 이기는 것이다.
이 때 말을 세는 방법을 \'한 동(1개의 말)\' \'두 동(2개의 말)\' \'석 동(3개의 말)\' \'넉 동(4개의 말)\'이라고 한다.
그리고 윷가락을 던져 \'윷\'이나 \'모\'가 나오면 한 번 더 던질 수가 있고, 더 던진 윷가락 이 또 \'윷\'이나 \'모\'가 나오면, 다른 것이 나올 때까지 계속 던질 수 있다.
윷말을 잡을 때에는 앞서 가는 상대편 말자리에 자신의 말이 뒤따라 가다가 같은 자리에 서게 되면 상대편의 말이 잡힌 것이 된다. 이렇게 상대를 잡은 사람은 한 번 더 윷가락을 던질 수 있다. 또 잡힌 말은 다 시 출발점으로 와서 새로 시작해야 한다.
말판에서 말이 전진하는 방법은 되도록 가장 \'바른 길로 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말은 두 동, 석 동, 넉 동으로 함께 갈 수도 있다.
▶ 특징
윳놀이는 한 가족은 물론, 마을 사람이 함께 모여 즐길수 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그리고 어디서나 간편히 좁은 장소에서도 즐길 수 있는 우리나라 민속놀이이다.
윷에는 그 나무질이나 크기에 따라 장작윷 싸리윷 밤윷 등의 구별이 있다.
장작윷은 남성용으로 박달나무나 뽕나무 등으로 큼지막하게 만들어서 청년들이 다수 모인 곳에서 편을 갈라 짜서 뜨락이나 대청에 멍석을 깔고 그 멍석에 윷판을 그리고 선 자세로 윷가락 넷을 두 손에 받쳐들고 바닥에 던지며 논다. 이때 모나 윷이 거듭 쏟아지는 큰 사리가 나오거나 상대편 말을 잡으면 열광하는 환호가 터진다.
이때 \'사리\'라는 말은 새끼를 꼬아 사리어서 둥글게 한 뭉치로 만든 것을 뜻하는 \'사리\'에서 온 것으로서, 한살림 장만했다는 기분으로 비유적으로 원용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도·개·걸 등으로 잔밭을 느린 걸음으로 걷거나 말이 잡히면 안타까워하고 울상이 된다.
싸리윷은 여성들이 노는 윷 이다. 한 손에 윷 네 가락을 두 가락씩 십자모양으로 어긋맞게 쥐고 앉은 자세로 공중에 띄워 바닥에 떨어뜨리며 논다. 이 때에는 얼굴이 곱든지 밉든지, 돈이 있든지 없든지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큰 사리를 거푸 뽑아내는 여인이 인기를 독차지 한다.
밤윷은 작은 밤알만큼 짧고 둥글납작하게 만들어 조그만 깍정이나 공기같은 그릇에 담아서 흔들어 바닥에 던지며 논다.
― 윷에서 끝수를 나타내는 이름들의 뜻
이 때의 \'도·개·걸·윷·모\'는 모두 짐승 이름을 뜻하고 있다.\'도\'는 돼지의 옛말 \'돝‘으로서 어간 일부의 탈락형이다.
오늘날도 \'돝\'이라 하여 \'암

키워드

전통놀이,   윷놀이,   전통,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6.18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03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