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적
. 금기
. 준비물
. 절차
. manometer 연결 방법, 원리
. 뇌척수액 채취 방법 (검사종류)
. 검사결과에 따른 소견(정상 소견과 비교)
. 검사 후 간호
. 부작용과 이에 따른 care
. 금기
. 준비물
. 절차
. manometer 연결 방법, 원리
. 뇌척수액 채취 방법 (검사종류)
. 검사결과에 따른 소견(정상 소견과 비교)
. 검사 후 간호
. 부작용과 이에 따른 care
본문내용
도당 수치는 뇌막염이나 신생물을 의미함.
* CSF로 확산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30~60분이 소요되기 때문에.혈청 표본은 LB 시행 30분전 확인,
7. Needle 제거 후 피부를 소독하여 compressive dressing 실시한다.
8. 환자에게 주의사항을 설명하고 최소 8시간 head flat po. 유지한다.
-> 간접적으로 척수주위 조직의 압력을 올리는 복부내압을 올리기위하여 복부를 아래로 한 복위를 취하기도 하는데 이는 뇌척수액 누출을 지연시킴.
부작용:
1.두통
: 환자의 25%, 2~8일간 지속됨.
서거나, 앉은 자세에서 발생하고 누우면 소실, 완화되는 것이 특징.
: 처치 시 작은 주사침의 사용, 절대 침상안정, 수액공급, 진통제의 처방, blood patch
2. 출혈
3. 요통 등등
검사 후 간호:
1. 누출성 두통을 예방하기 위해 6~8시간 정도 누운 상태에서 안정을 취한다.
2. 상실한 CSF를 보충하기 위해 수액요법을 시행한다.
-> 머리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로 수분섭취 격려하기 위해 빨대로 격려
3. 하지의 감각 이상, 움직임, 천자 부위 통증이나 혈액, 뇌척수액 누출, 배뇨능력 사정.
이상 있을 시 담당의 notify
* CSF로 확산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30~60분이 소요되기 때문에.혈청 표본은 LB 시행 30분전 확인,
7. Needle 제거 후 피부를 소독하여 compressive dressing 실시한다.
8. 환자에게 주의사항을 설명하고 최소 8시간 head flat po. 유지한다.
-> 간접적으로 척수주위 조직의 압력을 올리는 복부내압을 올리기위하여 복부를 아래로 한 복위를 취하기도 하는데 이는 뇌척수액 누출을 지연시킴.
부작용:
1.두통
: 환자의 25%, 2~8일간 지속됨.
서거나, 앉은 자세에서 발생하고 누우면 소실, 완화되는 것이 특징.
: 처치 시 작은 주사침의 사용, 절대 침상안정, 수액공급, 진통제의 처방, blood patch
2. 출혈
3. 요통 등등
검사 후 간호:
1. 누출성 두통을 예방하기 위해 6~8시간 정도 누운 상태에서 안정을 취한다.
2. 상실한 CSF를 보충하기 위해 수액요법을 시행한다.
-> 머리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로 수분섭취 격려하기 위해 빨대로 격려
3. 하지의 감각 이상, 움직임, 천자 부위 통증이나 혈액, 뇌척수액 누출, 배뇨능력 사정.
이상 있을 시 담당의 notif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