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계 획
1. 단원의 개관
2. 단원 내용 구성
3. 단원 교수․학습 계획
Ⅱ. 지 도
1. 교수 학습 지도안
1. 단원의 개관
2. 단원 내용 구성
3. 단원 교수․학습 계획
Ⅱ. 지 도
1. 교수 학습 지도안
본문내용
수적인 태도임을 자각하는 것도 이 단원의 교수학습이 지향하는 바이다.
문학 작품을 제재로 한 기존의 교수학습이 ‘문학에 대한 교수학습’ 위주였던 것과 달리 이 단원은 ‘문학을 통한 언어 활동 능력 향상의 교수학습’을 지향한다는 점을 교사와 학습자 모두 유의할 필요가 있다.
2. 단원 내용 구성
노래의 아름다움
(1) 청산별곡
(2) 어부사시사
(3) 진달래꽃
(4) 유리창
(5) 광야
(
· 문학의 아름다움 이해
· 문학의 아름다움을 실현하는 요소 이해
· 문학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말하고 듣는 활동
· 듣기 활동을 조절하며 듣기 태도 습득
3. 단원 교수학습 계획
학습 과정
시간
차시
교과서
주요 학습 내용
(1) 청산별곡
1
1
232~235
· 그림을 통하여 ‘청산별곡’의 내용 파악하기
· ‘청산별곡’ 화자의 정서 파악하기
· ‘청산별곡’의 음악성, 형상성, 함축성 찾기
· 고려속요(악장가사)의 특징 알기
· 작품의 구조 파악하기
· 자신의 생활과 연관짓기
· 민요와의 공통점 비교하기
· 내용 정리하기
(2) 어부사시사
1
2
236~239
· ‘어부사시사’의 내용 파악하기
· ‘어부사시사’의 기본 내용 정리하기
· ‘어부사시사’와 평시조와이 차이점 파악하기
· 작품 속 화자의 삶에 대한 자신의 생각 말하기
· 타인의 발표 내용을 메모하며 듣기
(3) 진달래꽃
(4) 유리창
1
3
240~241
242~243
· ‘진달래꽃’의 정서와 표현상의 유기성 말하기
· ‘진달래꽃’에 나타난 음악성, 형상성, 함축성 찾기
· ‘진달래꽃’의 화자에게 하고 싶은 말 구상하기
· 구상한 내용 발표하며 서로 토의하기
· 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산문으로 표현하기
· 시의 비유적 표현 찾아보기
· 시의 내용과 유사한 체험을 시로 표현하기
(5) 광야
단원의 마무리
1
4
244~245
246~247
· 인상적 표현 찾아보기
· 음악성, 형상성, 함축성이 뚜렷한 표현 찾아보기
· 학습 내용 정리하기
· 학습 성과 점검하기
Ⅱ. 지 도
1. 교수 학습 지도안
대단원
6. 노래의 아름다움
담당교사
소단원
(1) 청산별곡
지도대상
학습자료
교과서, 학습지, 빔 프로젝트
차시
1/4
학습목표
1. 문학 작품의 아름다움을 실현하는 작품의 구성 요소와 그 기능을 이해한다.
2. 작품 속 화자가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추리할 수 있다.
3. 작품의 내용을 분석하고 간략하게 말할 수 있다.
단계
(시간)
학습 과정
교수학습 활동
학습형태
학습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도입
◆인사, 주의환기
(2분)
○ 수업분위기 조성 및 주의획득
- 인사를 하고 출석을 점검한다.
● 인사
- 손을 들고 교사와 눈을 마주친다.
◆학습 목표 제시 및 동기유발
(3분)
○ 오늘의 수업목표 제시
- 이번 시간부터 우리는 새로운 단원을 배우도록 합니다. 우리가 배울 단원을 큰 소리로 얘기해 봅시다.
- 그렇죠, 우리는 이번 단원을 통해 총 5개의 시를 배울 거예요. 우리가 고등학교 과정에서 처음으로 시를 배우는데, 중학교 때 배웠던 시 중에서 생각나는 것이 있나요?잘 기억하고 있군요,
사실 시라는 것은 내용이 함축적이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워 보이지만 우리의 정서와 깊은 연관이 있고, 여러 가지 아름다운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 , 그러면 이 단원에서 우리가 무엇을 배워야 할 지 교과서 229쪽을 펴서 읽어 봅시다.
● 단원명을 읽는다.
●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작품을 자유롭게 얘기한다.
● 교과서 229쪽 학습목표를 읽는다.
전체학습
(문답학습)
◇교과서 229쪽
전개
◆작품의 갈래에 대한 설명 (5분)
○ 고려가요 (악장가사)에 대한 설명
- 우리가 처음 배워야 할 작품은 작자 미상의 청산별곡입니다. 청산별곡은 민중이 부르던 민요가 전해져 내려온 것으로 갈래로 보면 고려가요에 해당합니다. 고려 가요는 넓은 의미에서 보자면 고려 시대의 시가를 모두 지칭하는 말이지만, 좁은 의미에서 보자면 고려 백성들이 부르던 노래를 뜻합니다. 고려 백성들이 일상생활에서 부르던 노래니만큼 심각하거나 어려운 내용보다는 평민들의 진솔하고 소박한 감정을 다룬 내용이 많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고려 가요에는 남녀 간의 사랑이나 이별의 슬픔, 자연에 대한 예찬 등을 노래한 작품이 많습니다.
- 자, 그럼 청산별곡은 작가가 어떠한 마음으로 작품을 썼는지 시를 읽어 보도록 하겠어요.
● 교사의 말에 경청하고 의문이 생길 때는 질문한다.
전체학습
(문답학습)
◆본문 읽기
(5분)
◆작품의 장르 설명
(5분)
○ 본문 읽기
살어리 살어리랏다
문학 작품을 제재로 한 기존의 교수학습이 ‘문학에 대한 교수학습’ 위주였던 것과 달리 이 단원은 ‘문학을 통한 언어 활동 능력 향상의 교수학습’을 지향한다는 점을 교사와 학습자 모두 유의할 필요가 있다.
2. 단원 내용 구성
노래의 아름다움
(1) 청산별곡
(2) 어부사시사
(3) 진달래꽃
(4) 유리창
(5) 광야
(
· 문학의 아름다움 이해
· 문학의 아름다움을 실현하는 요소 이해
· 문학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말하고 듣는 활동
· 듣기 활동을 조절하며 듣기 태도 습득
3. 단원 교수학습 계획
학습 과정
시간
차시
교과서
주요 학습 내용
(1) 청산별곡
1
1
232~235
· 그림을 통하여 ‘청산별곡’의 내용 파악하기
· ‘청산별곡’ 화자의 정서 파악하기
· ‘청산별곡’의 음악성, 형상성, 함축성 찾기
· 고려속요(악장가사)의 특징 알기
· 작품의 구조 파악하기
· 자신의 생활과 연관짓기
· 민요와의 공통점 비교하기
· 내용 정리하기
(2) 어부사시사
1
2
236~239
· ‘어부사시사’의 내용 파악하기
· ‘어부사시사’의 기본 내용 정리하기
· ‘어부사시사’와 평시조와이 차이점 파악하기
· 작품 속 화자의 삶에 대한 자신의 생각 말하기
· 타인의 발표 내용을 메모하며 듣기
(3) 진달래꽃
(4) 유리창
1
3
240~241
242~243
· ‘진달래꽃’의 정서와 표현상의 유기성 말하기
· ‘진달래꽃’에 나타난 음악성, 형상성, 함축성 찾기
· ‘진달래꽃’의 화자에게 하고 싶은 말 구상하기
· 구상한 내용 발표하며 서로 토의하기
· 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산문으로 표현하기
· 시의 비유적 표현 찾아보기
· 시의 내용과 유사한 체험을 시로 표현하기
(5) 광야
단원의 마무리
1
4
244~245
246~247
· 인상적 표현 찾아보기
· 음악성, 형상성, 함축성이 뚜렷한 표현 찾아보기
· 학습 내용 정리하기
· 학습 성과 점검하기
Ⅱ. 지 도
1. 교수 학습 지도안
대단원
6. 노래의 아름다움
담당교사
소단원
(1) 청산별곡
지도대상
학습자료
교과서, 학습지, 빔 프로젝트
차시
1/4
학습목표
1. 문학 작품의 아름다움을 실현하는 작품의 구성 요소와 그 기능을 이해한다.
2. 작품 속 화자가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추리할 수 있다.
3. 작품의 내용을 분석하고 간략하게 말할 수 있다.
단계
(시간)
학습 과정
교수학습 활동
학습형태
학습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도입
◆인사, 주의환기
(2분)
○ 수업분위기 조성 및 주의획득
- 인사를 하고 출석을 점검한다.
● 인사
- 손을 들고 교사와 눈을 마주친다.
◆학습 목표 제시 및 동기유발
(3분)
○ 오늘의 수업목표 제시
- 이번 시간부터 우리는 새로운 단원을 배우도록 합니다. 우리가 배울 단원을 큰 소리로 얘기해 봅시다.
- 그렇죠, 우리는 이번 단원을 통해 총 5개의 시를 배울 거예요. 우리가 고등학교 과정에서 처음으로 시를 배우는데, 중학교 때 배웠던 시 중에서 생각나는 것이 있나요?잘 기억하고 있군요,
사실 시라는 것은 내용이 함축적이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워 보이지만 우리의 정서와 깊은 연관이 있고, 여러 가지 아름다운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 , 그러면 이 단원에서 우리가 무엇을 배워야 할 지 교과서 229쪽을 펴서 읽어 봅시다.
● 단원명을 읽는다.
●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작품을 자유롭게 얘기한다.
● 교과서 229쪽 학습목표를 읽는다.
전체학습
(문답학습)
◇교과서 229쪽
전개
◆작품의 갈래에 대한 설명 (5분)
○ 고려가요 (악장가사)에 대한 설명
- 우리가 처음 배워야 할 작품은 작자 미상의 청산별곡입니다. 청산별곡은 민중이 부르던 민요가 전해져 내려온 것으로 갈래로 보면 고려가요에 해당합니다. 고려 가요는 넓은 의미에서 보자면 고려 시대의 시가를 모두 지칭하는 말이지만, 좁은 의미에서 보자면 고려 백성들이 부르던 노래를 뜻합니다. 고려 백성들이 일상생활에서 부르던 노래니만큼 심각하거나 어려운 내용보다는 평민들의 진솔하고 소박한 감정을 다룬 내용이 많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고려 가요에는 남녀 간의 사랑이나 이별의 슬픔, 자연에 대한 예찬 등을 노래한 작품이 많습니다.
- 자, 그럼 청산별곡은 작가가 어떠한 마음으로 작품을 썼는지 시를 읽어 보도록 하겠어요.
● 교사의 말에 경청하고 의문이 생길 때는 질문한다.
전체학습
(문답학습)
◆본문 읽기
(5분)
◆작품의 장르 설명
(5분)
○ 본문 읽기
살어리 살어리랏다
추천자료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수법-탐구학습 모형을 이용한 수업지도안
수학교육 도형과 국어교육 수준별 교수학습자료(수업자료), 실과교육 창의력개발과 제과제빵 ...
초등국어 수업지도안- 역할극을 중심으로
고등작문_국어_학습지도안
고등문학_국어_학습지도안
고등1) <국어과 수업지도안> 3. 다양한 표현과 이해 (2) 봉산탈춤 (Dick & Carey model ...
[학습지도안] 국어 (상) 2. 짜임새 있는 말과 글
[국어과 학습지도안] 중학교 2학년 - 3.문학의 표현
편식없는 건강한 어린이(영양과교수학습지도안, 편식의이해, 균현잡힌식습관, 조리실습, 초등...
[현대시교육] 시교육 교수학습전략 '시로 쓰는 일기'의 효과와 실제적인 수업절차(수업지도안)
[독후감/서평/요약] [교수-학습지도] 폴리아의 귀납추론을 적용한 수업지도안 - 고등학교 1학...
[교수-학습지도] 폴리아의 귀납추론을 적용한 수업지도안 - 고등학교 1학년 - 방정식과 함수 ...
[중학교 국어과 수업지도안] <2. 읽기와 쓰기 (1) 마음으로 쓰는 편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