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본문내용
가능한 해결책을 모두 찾아보기
3. 각각의 가능한 해결책을 평가하기
4. 잠정적 해결책에 합의하기
5. 해결책을 시험하는 시기를 갖고 다시 평가하기
13주차 학습정리
1. 신뢰는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안정된 인간관계의 필수요소이다.
2. 신뢰는 상대에 대한 긍정적 평가, 상대를 위해 위험을 감수할 용의, 상호의존성으로 구성된다.
3. 신뢰의 형성에는 자기공개와 상대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4.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기꺼이 도와야 한다.
5. 인간관계에서 서로 추구하는 욕구와 목표의 차이가 대인갈등을 일으킨다.
6. 대인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협상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7. 갈등의 해결과정에서 관계가 더 돈독해질 수도 있다.
14주차- 인간관계 부적응 장애, 긍정적 인간관계와 행복 -
/// 인간관계는 항상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 최대의 기쁨이 관계에서 나오지만, 아주 큰 갈등과 슬픔도 동시에 존재한다.
/// 지금부터 인간관계의 부적응에 따른 장애를 먼저 살펴보고, 긍정적 인간관계가 개인의 행복에 기여하는 바 를 알아본다.
Ⅰ. 인간관계 부적응과 성격장애
/// 어떤 사람은 성격이 매우 특이하며 주변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주변사람과 갈등 과 반목을 일으킨다.
/// 극단적인 부적응적 성격으로 해서 사회적 적응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를 성격 장애(personality disorder)라고 한다.
/// 성격장애는 크게 A,B,C 세 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지고, 10가지의 하위 유형들이 있다.(DSM-Ⅳ, 1994).
1. A군 성격장애
///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기이한 성격특성을 나타냄
1) 편집성 성격장애
- 타인에 대한 강한 불신과 의심
- 타인의 반응에 대한 지나친 민감성, 적대적이고 공격적인 태도
2) 분열성 성격장애
- 친밀한 관계형성에 관심 없음
- 감정반응이 거의 없음, 정서적인 냉담과 무관심
3) 분열형 성격장애
- 관계망상, 괴이하고 엉뚱하고 특이한 행동
- 부적절하고 메마른 감정반응
- 사회적 부적응이 아주 심각함, 과거에 단순정신분열증이라고 부름
2. B군 성격장애
/// 정서적이고 극적인 성격특성을 나타냄
1) 반사회적 성격장애
- 무책임하고 폭력적인 행동, 충동성이 높음, 사이코 패스
- 공감능력이 없어 타인의 관점에 무관심,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
- 아동기나 청소년기부터 문제행동을 나타냄(품행장애)
2) 연극성 성격장애 퀴즈★
- 타인의 애정과 관심을 끌기 위해 과장된 감정표현, 정서적 불안정성
- 육체적 외모를 활용
- 대인관계가 피상적임
3) 경계선 성격장애
- 버림받지 않으려는 필사적인 노력, 감정과 자기개념의 불안정
- 대인관계 불안정, 상대에 대한 극단적 이상화와 평가절하를 반복함
- 반복되는 자살행동 또는 자살위협 행동
4) 자기애성 성격장애
- 자신을 과대평가, 타인을 무시
- 공감 능력의 결여, 자기중심적 행동
- 우울 혹은 분노를 쉽게 느낌
3. C군 성격장애
/// 불안하고 두려움을 많이 느끼는 특성
1) 강박성 성격장애
- 완벽주의, 융통성이 부족
- 감정표현 억제, 경제적으로 인색
- 불안과 분노를 높게 느낌
2) 의존성 성격장애
- 지속적으로 의존대상을 필요로 함, 의존대상으로부터 버림받을까 항상 두려워함
- 혼자 있으면 불안하고 무기력함
- 친밀한 관계가 붕괴되면 새로운 대상을 급히 찾음
3) 회피성 성격장애
- 사회적 상황을 두려워함, 창피, 비난, 거부에 대한 두려움
- 자신에 대한 부적절감으로 인해 대인관계 상황에서 위축됨
- 부정적 자기상, 위협적 타인상 I\'m not OK, You\'re not OK
Ⅱ. 인간관계 부적응과 심리적 장애
/// 원만한 인간관계를 나타내던 사람도 변하는 대인환경에 적응하는데 실패하면 심리적 장애를 나타낼 수 있다.
/// 양호한 인간관계는 심리적 장애를 예방하거나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1. 우울증(depression)
1) 대인관계와 우울증의 관련성
- 대인관계에서 심한 좌절과 상실 -> 자존감의 손감과 열등감이 확대 -> 사회적 행동의 위축 -> 우울증
2) 우울하고 슬픈 기분, 죄책감, 인지기능의 퇴화, 신체생리적 변화
3) 자살에 이르게 하는 치명적 장애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개선됨
2. 사회공포증(social phobia)
1) 사회적 상황에서 관찰, 부정적 평가, 모욕, 부적절감을 두려워함, 무대공포, 적면공포, 식사공포
2)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과 관련된 생리적 반응들을 나타냄
3) 비록 자신의 공포가 비현실적임을 스스로 알고 있다 하더라도 두려움을 버리지 못함
4) 심리적 문제가 6개월 이상 나타나서 일상생활을 현저하게 방해하는 경우
3. 알코올 관련 장애(alcohol-related disorder)
1) 적절한 음주는 인간관계를 촉진하는 경우가 있으나, 과도한 음주는 알코올 남용(내성, 금단증후)이나 의 존(일상생활에 지장, 폭력행동) 같은 장애를 초래함
2) 알코올 관련 장애가 나타나기 쉬운 사람
- 인간관계의 갈등이나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며, 폭음을 통해서 해소하는 경향이 있음
- 평소 사회적 상황에서 자기주장이나 감정표현을 잘못하기 때문에, 인간관계 문제에 대한 해결능력이 부족함
3) 공동의존성(codependency)
4. 신체형 장애(sometoform disorder)
1) 심리적인 원인으로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나타냄
- 통증, 소화기 증상, 감각장애를 동반하는 유사신경학적 증상, 성기능 장애
2) 건강염려증, 신체화 장애, 전환장애
- 실제 건강에 이상이 없다는 진단에도 불구하고, 자신에게 심각한 질병이 있다는 생각에 집착하여 불안을 느낌
- 신체이상이 없지만 다양한 신체 증상을 호소, 두통, 피로감, 알레르기, 비뇨기 증상, 위장관련 증상, 가슴 두근거림, 구토
- 신체생리적 원인이 없어 감각, 운동기관의 장애를 나타냄
3) 인간관계 갈등으로 인한 심리적 문제를 부인하고 신체적 증상에 집착함으로써,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려 는 경향으로 볼 수 있음
5. 섭식장애(eating disorder)
1) 인간관계의 스트레스, 지나치게 통제적인 부모와의 갈등, 외모와 체형에 대한 과도한 집착은
3. 각각의 가능한 해결책을 평가하기
4. 잠정적 해결책에 합의하기
5. 해결책을 시험하는 시기를 갖고 다시 평가하기
13주차 학습정리
1. 신뢰는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안정된 인간관계의 필수요소이다.
2. 신뢰는 상대에 대한 긍정적 평가, 상대를 위해 위험을 감수할 용의, 상호의존성으로 구성된다.
3. 신뢰의 형성에는 자기공개와 상대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4.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기꺼이 도와야 한다.
5. 인간관계에서 서로 추구하는 욕구와 목표의 차이가 대인갈등을 일으킨다.
6. 대인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협상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7. 갈등의 해결과정에서 관계가 더 돈독해질 수도 있다.
14주차- 인간관계 부적응 장애, 긍정적 인간관계와 행복 -
/// 인간관계는 항상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 최대의 기쁨이 관계에서 나오지만, 아주 큰 갈등과 슬픔도 동시에 존재한다.
/// 지금부터 인간관계의 부적응에 따른 장애를 먼저 살펴보고, 긍정적 인간관계가 개인의 행복에 기여하는 바 를 알아본다.
Ⅰ. 인간관계 부적응과 성격장애
/// 어떤 사람은 성격이 매우 특이하며 주변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주변사람과 갈등 과 반목을 일으킨다.
/// 극단적인 부적응적 성격으로 해서 사회적 적응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를 성격 장애(personality disorder)라고 한다.
/// 성격장애는 크게 A,B,C 세 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지고, 10가지의 하위 유형들이 있다.(DSM-Ⅳ, 1994).
1. A군 성격장애
///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기이한 성격특성을 나타냄
1) 편집성 성격장애
- 타인에 대한 강한 불신과 의심
- 타인의 반응에 대한 지나친 민감성, 적대적이고 공격적인 태도
2) 분열성 성격장애
- 친밀한 관계형성에 관심 없음
- 감정반응이 거의 없음, 정서적인 냉담과 무관심
3) 분열형 성격장애
- 관계망상, 괴이하고 엉뚱하고 특이한 행동
- 부적절하고 메마른 감정반응
- 사회적 부적응이 아주 심각함, 과거에 단순정신분열증이라고 부름
2. B군 성격장애
/// 정서적이고 극적인 성격특성을 나타냄
1) 반사회적 성격장애
- 무책임하고 폭력적인 행동, 충동성이 높음, 사이코 패스
- 공감능력이 없어 타인의 관점에 무관심,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
- 아동기나 청소년기부터 문제행동을 나타냄(품행장애)
2) 연극성 성격장애 퀴즈★
- 타인의 애정과 관심을 끌기 위해 과장된 감정표현, 정서적 불안정성
- 육체적 외모를 활용
- 대인관계가 피상적임
3) 경계선 성격장애
- 버림받지 않으려는 필사적인 노력, 감정과 자기개념의 불안정
- 대인관계 불안정, 상대에 대한 극단적 이상화와 평가절하를 반복함
- 반복되는 자살행동 또는 자살위협 행동
4) 자기애성 성격장애
- 자신을 과대평가, 타인을 무시
- 공감 능력의 결여, 자기중심적 행동
- 우울 혹은 분노를 쉽게 느낌
3. C군 성격장애
/// 불안하고 두려움을 많이 느끼는 특성
1) 강박성 성격장애
- 완벽주의, 융통성이 부족
- 감정표현 억제, 경제적으로 인색
- 불안과 분노를 높게 느낌
2) 의존성 성격장애
- 지속적으로 의존대상을 필요로 함, 의존대상으로부터 버림받을까 항상 두려워함
- 혼자 있으면 불안하고 무기력함
- 친밀한 관계가 붕괴되면 새로운 대상을 급히 찾음
3) 회피성 성격장애
- 사회적 상황을 두려워함, 창피, 비난, 거부에 대한 두려움
- 자신에 대한 부적절감으로 인해 대인관계 상황에서 위축됨
- 부정적 자기상, 위협적 타인상 I\'m not OK, You\'re not OK
Ⅱ. 인간관계 부적응과 심리적 장애
/// 원만한 인간관계를 나타내던 사람도 변하는 대인환경에 적응하는데 실패하면 심리적 장애를 나타낼 수 있다.
/// 양호한 인간관계는 심리적 장애를 예방하거나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1. 우울증(depression)
1) 대인관계와 우울증의 관련성
- 대인관계에서 심한 좌절과 상실 -> 자존감의 손감과 열등감이 확대 -> 사회적 행동의 위축 -> 우울증
2) 우울하고 슬픈 기분, 죄책감, 인지기능의 퇴화, 신체생리적 변화
3) 자살에 이르게 하는 치명적 장애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개선됨
2. 사회공포증(social phobia)
1) 사회적 상황에서 관찰, 부정적 평가, 모욕, 부적절감을 두려워함, 무대공포, 적면공포, 식사공포
2)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과 관련된 생리적 반응들을 나타냄
3) 비록 자신의 공포가 비현실적임을 스스로 알고 있다 하더라도 두려움을 버리지 못함
4) 심리적 문제가 6개월 이상 나타나서 일상생활을 현저하게 방해하는 경우
3. 알코올 관련 장애(alcohol-related disorder)
1) 적절한 음주는 인간관계를 촉진하는 경우가 있으나, 과도한 음주는 알코올 남용(내성, 금단증후)이나 의 존(일상생활에 지장, 폭력행동) 같은 장애를 초래함
2) 알코올 관련 장애가 나타나기 쉬운 사람
- 인간관계의 갈등이나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며, 폭음을 통해서 해소하는 경향이 있음
- 평소 사회적 상황에서 자기주장이나 감정표현을 잘못하기 때문에, 인간관계 문제에 대한 해결능력이 부족함
3) 공동의존성(codependency)
4. 신체형 장애(sometoform disorder)
1) 심리적인 원인으로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나타냄
- 통증, 소화기 증상, 감각장애를 동반하는 유사신경학적 증상, 성기능 장애
2) 건강염려증, 신체화 장애, 전환장애
- 실제 건강에 이상이 없다는 진단에도 불구하고, 자신에게 심각한 질병이 있다는 생각에 집착하여 불안을 느낌
- 신체이상이 없지만 다양한 신체 증상을 호소, 두통, 피로감, 알레르기, 비뇨기 증상, 위장관련 증상, 가슴 두근거림, 구토
- 신체생리적 원인이 없어 감각, 운동기관의 장애를 나타냄
3) 인간관계 갈등으로 인한 심리적 문제를 부인하고 신체적 증상에 집착함으로써,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려 는 경향으로 볼 수 있음
5. 섭식장애(eating disorder)
1) 인간관계의 스트레스, 지나치게 통제적인 부모와의 갈등, 외모와 체형에 대한 과도한 집착은
추천자료
카네기 인간관계론 저자 최염순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인간관계 기술
[사회과학]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기본자세
치료적 인간관계를 위한 방법
사이버와 인간관계
[인간관계와 리더쉽] 4가지 차원에서의 인생설계
리더십과 인간관계
[사회과학] 현대사회에서 인간관계론이 갖는 위치와 필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현대사회에서 인간관계론이 갖는 위치와 필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인간관계론] 갈등해결을 위한 의사소통 - 의사소통의 정의, 의사소통의 중요성, 의사소통을 ...
현대사회에서 인간관계 기술이 중요시되는 이유에 대해 논의하시오.
건전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자신만의 전략들을 3가지 이상 제안해 봅니다
[인간관계론]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탄생배경 및 핵심기법
좋은 인간관계를 맺기 위한 방법에 대해 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