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포스트모더니즘의 개관
1.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과 세계관
2.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용어
3.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
4.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Ⅲ. 포스트모더니즘이 가치관과 사고방식에 끼친 영향
Ⅳ. 기독교 세계관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와 공통점
Ⅴ. 결론
Ⅱ. 포스트모더니즘의 개관
1.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과 세계관
2.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용어
3.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
4.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Ⅲ. 포스트모더니즘이 가치관과 사고방식에 끼친 영향
Ⅳ. 기독교 세계관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와 공통점
Ⅴ. 결론
본문내용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근본적인 것은 목회자 자신이 얼마나 하나님 앞에 바로 서 있느냐 일 것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날마다 묵상하며 일정한 경건의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람들에게 예배에 참여하기를 촉구하기 보다 자신이 먼저 예배자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하나님이 말씀을 주지 않으시는 데 말씀을 전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또한 하나님나라는 말에 있지 않고 능력에 있습니다. 말씀에 권세가 있고 말씀선포로 인하여 성도들을 건강하고 훌륭한 그리스도인을 만들어 가는 것은 오직 내 안에 말씀이 강력하게 사로잡고 있을 때인 것입니다. 그리고 목회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아무리 빈약한 자원일지라도 그들을 통해 일을 이루어가는 하나님의 역사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노하기를 더디하시며 은혜 베푸시기를 원하십니다. 모든 일이 급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부작용이 있으며 결국 파멸의 길을 걷게 되는 것입니다. 몇 주 동안에 성도들의 모든 폐습을 바꿀 수는 없는 것입니다. 시간이 경과하며 신뢰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애굽의 400년과 모세의 40년 광야의 생활이 있어야 가나안 땅에 들어 갈 수 있는 것처럼 모든 일에는 시간과 순서가 있는 것입니다.
아무리 시대가 변하여도 성령의 역사를 거스를 수는 없습니다. 많은 영상자료와 찬양프로그램이 있지만 우리의 삶의 현장에서 지역주민들과 교감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습니다. 또한 아무리 지역주민들과 교감하여도 성령의 역사가 임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감성이 메말라서 감성을 필요로 하는 이 시대에 진정한 주님의 소리를 들려줄 수 있는 진정한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요단강에서 소리치며 회개를 촉구하던 세례 요한의 감성을 따라가야 할 것입니다. 목회자들은 거리를 두려워 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찬양과 퍼포먼스를 통한 노방전도는 오늘날도 유효한 메시지입니다.
또한 무엇보다도 제자들의 발을 씻기 신 주님의 모본을 따라야 할 것입니다. 진정으로 가난하고 병들고 고아와 과부들과 세리와 창기들과 함께 하신 예수님이야 말로 당시 유대사회의 포스트모더니즘이셨던 것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해법도 결국 예수님을 정확히 아는 데서 출발되어져야 할 것입니다.
참 고 문 헌
권택영.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1995.
목창균.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던신학”, 서울신학대학 교수논총. 제9집. 서울: 서울 신학대학 출판부, 1998.
무엇보다도 근본적인 것은 목회자 자신이 얼마나 하나님 앞에 바로 서 있느냐 일 것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날마다 묵상하며 일정한 경건의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람들에게 예배에 참여하기를 촉구하기 보다 자신이 먼저 예배자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하나님이 말씀을 주지 않으시는 데 말씀을 전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또한 하나님나라는 말에 있지 않고 능력에 있습니다. 말씀에 권세가 있고 말씀선포로 인하여 성도들을 건강하고 훌륭한 그리스도인을 만들어 가는 것은 오직 내 안에 말씀이 강력하게 사로잡고 있을 때인 것입니다. 그리고 목회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아무리 빈약한 자원일지라도 그들을 통해 일을 이루어가는 하나님의 역사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노하기를 더디하시며 은혜 베푸시기를 원하십니다. 모든 일이 급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부작용이 있으며 결국 파멸의 길을 걷게 되는 것입니다. 몇 주 동안에 성도들의 모든 폐습을 바꿀 수는 없는 것입니다. 시간이 경과하며 신뢰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애굽의 400년과 모세의 40년 광야의 생활이 있어야 가나안 땅에 들어 갈 수 있는 것처럼 모든 일에는 시간과 순서가 있는 것입니다.
아무리 시대가 변하여도 성령의 역사를 거스를 수는 없습니다. 많은 영상자료와 찬양프로그램이 있지만 우리의 삶의 현장에서 지역주민들과 교감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습니다. 또한 아무리 지역주민들과 교감하여도 성령의 역사가 임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감성이 메말라서 감성을 필요로 하는 이 시대에 진정한 주님의 소리를 들려줄 수 있는 진정한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요단강에서 소리치며 회개를 촉구하던 세례 요한의 감성을 따라가야 할 것입니다. 목회자들은 거리를 두려워 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찬양과 퍼포먼스를 통한 노방전도는 오늘날도 유효한 메시지입니다.
또한 무엇보다도 제자들의 발을 씻기 신 주님의 모본을 따라야 할 것입니다. 진정으로 가난하고 병들고 고아와 과부들과 세리와 창기들과 함께 하신 예수님이야 말로 당시 유대사회의 포스트모더니즘이셨던 것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해법도 결국 예수님을 정확히 아는 데서 출발되어져야 할 것입니다.
참 고 문 헌
권택영.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1995.
목창균.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던신학”, 서울신학대학 교수논총. 제9집. 서울: 서울 신학대학 출판부, 1998.
키워드
추천자료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근원, 포스트모던 디자인
포스트모더니즘에 대비되는 모더니즘의 특징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하여...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표현주의. 신표현주의의 정의와 각시대의 무용작품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 모더니즘의 계승과 대안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점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이루어지고 있는 모더니즘 교육을 비판한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성격과 현상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예술에서의 특징서술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과 모더니즘과의 비교
모더니즘과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점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경계에서 [달려라 아비, 근대화된 도시 속의 소통의 문제, 김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