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도입
Ⅱ. 현대자동차의 중국 진출
1. 진출당시 중국환경
2. 진출당시 현대자동차
3. 성과추이 및 초기 성장전략
Ⅲ. 2009년 베이징현대자동차
1. 환경의 변화
2. 투자전략의 변화
Ⅳ. 결론 및 베이징현대자동차의 오늘과 내일
Ⅱ. 현대자동차의 중국 진출
1. 진출당시 중국환경
2. 진출당시 현대자동차
3. 성과추이 및 초기 성장전략
Ⅲ. 2009년 베이징현대자동차
1. 환경의 변화
2. 투자전략의 변화
Ⅳ. 결론 및 베이징현대자동차의 오늘과 내일
본문내용
년 9월 처음으로 10만 위안 대(12,000달러)로 인하했다. 이밖에도 상치따중의 폴로, 난징의 躍進菲亞特(위에진페이아터, Fiat) 에서 생산한 팔리오, 광저우 혼다(本田)에서 출시 될 다목적 자동차 오디세이 등 신 모델이 2002년 시장으로 쏟아져 나올 예정이었다. 2001년 당시 중국은 2006년까지 자동차 수입관세를 25%까지 끌어내린다는 계획이었고, 중국 내 자동차회사들은 가격 인하에 따라 내수시장이 더욱 가열될 것으로 전망했다.
2. 진출당시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는 1967년 12월 29일에 설립, 대표는 정몽구 회장이다. 한국 자동차 업계를 이끌고 있는 기업으로 현재 해외진출을 하고자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는 기업이다. 현대자동차는 1967년에 설립되어 1976년에 완성차 ‘pony’를 최초로 수출하였다. 그로부터 8년 뒤 1984년에 pony 단일 차종으로 50만대 생산이라는 기록을 돌파 하였으며, 1990년에는 제2공장 제3공장을 완공하였다. 해외기술에 많이 의존해 있던 현대 자동차는 국내의 연구 및 기술개발의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1991년 국내에서 최초로 독자 엔진 및 트랜스미션을 개발하게 된다.
2002년 5월 28일, 서울 하얏트 호텔에서 현대자동차그룹과 중국의 북경자동차공업지주 유한책임공사가 중국에서의 합작법인 설립에 관한 정식 계약에 서명했다. 합작을 위한 현대자동차와 베이징자동차간 비공식 접촉(2001년 10월)이 있는 후 반년 만에 이뤄낸 성과다. 이는 한국의 자동차산업이 중국신화의 서막을 여는 것을 의미하기도 했다. 베이징자동차와 의 합작계약이 성사되기 전부터 현대자동차는 계속해서 중국시장에 대한 진입 경로를 모색해 왔었다.
현대자동차는 글로벌기업으로의 도약이라는 글로벌전략을 실현하기 위해 중국을 택했다. 글로벌전략 실행과 함께 현대자동차가 베이징자동차와 합작계약을 통해 중국에 투자하게 배경에는 중국의 자동차부문에 대한 무역규제회피가 있었다. 중국 자동차시장은 규모나 성장성 면에서 막대한 잠재력을 보유한 시장이다. 그러나 중국정부는 관세(50%~70%정도) 및 비관세 장벽으로 국내 자동차산업을 철저히 보호하고 있었다. 중국의 승용차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했던 2000~2002년 동안 에도 현대자동차 중국 직접수출 대수는 고작 1만대에도 못 미치는 저조한 수준이었다. 이에 현대자동차로서는 직접투자를 통한 진출이유일한 시장접근 방법이었기에 중국시장에 대한 직접투자를 결정하게 된다.
3. 성과추이 및 초기 성장전략
<표-2> 성과추이
(단위: 만대)
브랜드
순위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09.01-09
VW
1
47.3
63.2
59.2
44
35.2
43.6
49.0
49.9
GM
2
11.3
20.4
26.3
35.1
41.33
50.0
45.8
44.1
Honda
3
5.9
11.7
21.2
25.7
26
29.5
30.6
24.23
Hyundai
4
0.1
5.2
14.4
23.9
29
23.1
28.4
36.9
Nissan
5
4.1
7.4
7.2
16.5
20
27.1
35.0
32.9
Toyota
6
0.2
5.0
8.4
14.5
21.0
28
30.0
23.6
PSA
7
8.5
10.3
8.9
14.0
베이징현대는 설립 2년 만에 15만대를 생산, 판매하여 중국 승용차 판매 10위권에 진입하였고, 2006년에는 29만대의 판매량으로 5위권에 진입할 정도로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다. 하지만 2007년 베이징현대 및 둥청위에다기아의 판매량은 각각 20.3%, 11.8%급감하면서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이는 2006년 중국시장에 투입 예정인 신차 출시가 지연되었고 가격인하 경쟁으로 주력 판매모델인 준중형세단 현대 ‘엘란트라’ 및 기아 ‘세라토’의 판매가 부진한 결과이다. 혼다, 도요타 등 일본 업체들이 고품질, 높은 브랜드력을 가진 경쟁차를 출시하고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로 현대기아의 점유율은 점차 낮아졌다. 현대기아그룹은 중국시장의 판매회복을 위해 2008년 이후 중국형 엘란트라, NF소나타를 출시하여 중국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차량을 개발하였다.
2009년 1월 북경현대, 사상최대 판매량 기록
2009년 1월 중국 자동차시장은 전년 동월대비 14.3%나 위축되었지만 북경현대는 17%나 증가한 35,183대를 판매하여 회사수립 이후 월 최고판매량을 기록했다. 주력 차종인 엘란트라 및 위에동이 26,738대, SUVs가 2,624대, 소형자동차가 엑센트가 3,485대, 시장에 나온 지 한 달을 갓 넘긴 중고급자동차 링샹의 판매량도 1,792대에 달했다. 금융위기의 영향이 다소 약했던 2008년 1월 북경현대의 판매량이 30,063대였는데 금융위기의 영향을 받고 있는 2009년 1월에 북경현대의 판매량은 오히려 5,000대가 넘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북경현대는 2009년 1월 중국시장에서 동펑닛산, 이치폭스바겐, 상하이폭스바겐, 상하이GM 등에 이어 승용차판매 5위를 기록했다.
<그림-1> 북경현대의 월별 자동차 판매 추이
2008년 말부터 북경현대 생산 공장은 잔업을 하면서 생산량을 최대한 증가시켰는데도 2009년 1월 생산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했다고 주장(북경현대부총경리 치앙닝)하고 있다. 현재 북경현대의 많은 판매상들이 공급이 부족하다는 반응이고 어떤 판매상은 재고가 없는 상황도 발생했다. 그러나 북경현대의 과거 판매추이에 따르면 2009년 1월의 판매추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질지도 의문이다. 2008년의 경우 1월에 3만대가 넘는 판매를 기록했지만, 6월을 제외하면 대부분 3만대를 밑돌았고, 올림픽의 영향을 받은 7,8월에는 1만 6천대 수준에 머물러 월별 기복이 매우 뚜렷하였기 때문이다. 향후 가격경쟁력을 가진 초저가 소형차(RB 프로젝트)와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고급대형차(제네시스/에쿠스)를 투입하여 2010년 100만대 판매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그림-2> 현대기아그룹 중국내 생산량 및 증가율추이, 판매 모델별 판매비중 현황
초기진출 성장전략
중국 중앙베이징市 정부의 정책적 지원
중국 정부가 법치국가를 표방하고 개혁을 추진하면서 중국 사업에서
2. 진출당시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는 1967년 12월 29일에 설립, 대표는 정몽구 회장이다. 한국 자동차 업계를 이끌고 있는 기업으로 현재 해외진출을 하고자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는 기업이다. 현대자동차는 1967년에 설립되어 1976년에 완성차 ‘pony’를 최초로 수출하였다. 그로부터 8년 뒤 1984년에 pony 단일 차종으로 50만대 생산이라는 기록을 돌파 하였으며, 1990년에는 제2공장 제3공장을 완공하였다. 해외기술에 많이 의존해 있던 현대 자동차는 국내의 연구 및 기술개발의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1991년 국내에서 최초로 독자 엔진 및 트랜스미션을 개발하게 된다.
2002년 5월 28일, 서울 하얏트 호텔에서 현대자동차그룹과 중국의 북경자동차공업지주 유한책임공사가 중국에서의 합작법인 설립에 관한 정식 계약에 서명했다. 합작을 위한 현대자동차와 베이징자동차간 비공식 접촉(2001년 10월)이 있는 후 반년 만에 이뤄낸 성과다. 이는 한국의 자동차산업이 중국신화의 서막을 여는 것을 의미하기도 했다. 베이징자동차와 의 합작계약이 성사되기 전부터 현대자동차는 계속해서 중국시장에 대한 진입 경로를 모색해 왔었다.
현대자동차는 글로벌기업으로의 도약이라는 글로벌전략을 실현하기 위해 중국을 택했다. 글로벌전략 실행과 함께 현대자동차가 베이징자동차와 합작계약을 통해 중국에 투자하게 배경에는 중국의 자동차부문에 대한 무역규제회피가 있었다. 중국 자동차시장은 규모나 성장성 면에서 막대한 잠재력을 보유한 시장이다. 그러나 중국정부는 관세(50%~70%정도) 및 비관세 장벽으로 국내 자동차산업을 철저히 보호하고 있었다. 중국의 승용차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했던 2000~2002년 동안 에도 현대자동차 중국 직접수출 대수는 고작 1만대에도 못 미치는 저조한 수준이었다. 이에 현대자동차로서는 직접투자를 통한 진출이유일한 시장접근 방법이었기에 중국시장에 대한 직접투자를 결정하게 된다.
3. 성과추이 및 초기 성장전략
<표-2> 성과추이
(단위: 만대)
브랜드
순위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09.01-09
VW
1
47.3
63.2
59.2
44
35.2
43.6
49.0
49.9
GM
2
11.3
20.4
26.3
35.1
41.33
50.0
45.8
44.1
Honda
3
5.9
11.7
21.2
25.7
26
29.5
30.6
24.23
Hyundai
4
0.1
5.2
14.4
23.9
29
23.1
28.4
36.9
Nissan
5
4.1
7.4
7.2
16.5
20
27.1
35.0
32.9
Toyota
6
0.2
5.0
8.4
14.5
21.0
28
30.0
23.6
PSA
7
8.5
10.3
8.9
14.0
베이징현대는 설립 2년 만에 15만대를 생산, 판매하여 중국 승용차 판매 10위권에 진입하였고, 2006년에는 29만대의 판매량으로 5위권에 진입할 정도로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다. 하지만 2007년 베이징현대 및 둥청위에다기아의 판매량은 각각 20.3%, 11.8%급감하면서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이는 2006년 중국시장에 투입 예정인 신차 출시가 지연되었고 가격인하 경쟁으로 주력 판매모델인 준중형세단 현대 ‘엘란트라’ 및 기아 ‘세라토’의 판매가 부진한 결과이다. 혼다, 도요타 등 일본 업체들이 고품질, 높은 브랜드력을 가진 경쟁차를 출시하고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로 현대기아의 점유율은 점차 낮아졌다. 현대기아그룹은 중국시장의 판매회복을 위해 2008년 이후 중국형 엘란트라, NF소나타를 출시하여 중국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차량을 개발하였다.
2009년 1월 북경현대, 사상최대 판매량 기록
2009년 1월 중국 자동차시장은 전년 동월대비 14.3%나 위축되었지만 북경현대는 17%나 증가한 35,183대를 판매하여 회사수립 이후 월 최고판매량을 기록했다. 주력 차종인 엘란트라 및 위에동이 26,738대, SUVs가 2,624대, 소형자동차가 엑센트가 3,485대, 시장에 나온 지 한 달을 갓 넘긴 중고급자동차 링샹의 판매량도 1,792대에 달했다. 금융위기의 영향이 다소 약했던 2008년 1월 북경현대의 판매량이 30,063대였는데 금융위기의 영향을 받고 있는 2009년 1월에 북경현대의 판매량은 오히려 5,000대가 넘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북경현대는 2009년 1월 중국시장에서 동펑닛산, 이치폭스바겐, 상하이폭스바겐, 상하이GM 등에 이어 승용차판매 5위를 기록했다.
<그림-1> 북경현대의 월별 자동차 판매 추이
2008년 말부터 북경현대 생산 공장은 잔업을 하면서 생산량을 최대한 증가시켰는데도 2009년 1월 생산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했다고 주장(북경현대부총경리 치앙닝)하고 있다. 현재 북경현대의 많은 판매상들이 공급이 부족하다는 반응이고 어떤 판매상은 재고가 없는 상황도 발생했다. 그러나 북경현대의 과거 판매추이에 따르면 2009년 1월의 판매추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질지도 의문이다. 2008년의 경우 1월에 3만대가 넘는 판매를 기록했지만, 6월을 제외하면 대부분 3만대를 밑돌았고, 올림픽의 영향을 받은 7,8월에는 1만 6천대 수준에 머물러 월별 기복이 매우 뚜렷하였기 때문이다. 향후 가격경쟁력을 가진 초저가 소형차(RB 프로젝트)와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고급대형차(제네시스/에쿠스)를 투입하여 2010년 100만대 판매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그림-2> 현대기아그룹 중국내 생산량 및 증가율추이, 판매 모델별 판매비중 현황
초기진출 성장전략
중국 중앙베이징市 정부의 정책적 지원
중국 정부가 법치국가를 표방하고 개혁을 추진하면서 중국 사업에서
추천자료
현대자동차 2002-2006년간 경영분석
[경영과의사결정]현대자동차 경영전략 분석 및 향후 전략적 대안
현대자동차의 인도 진출-국제 정세 분석 심화
현대자동차의 투자가치분석
[유통관리/생산관리A+] 현대자동차 SCM전략 (공급사슬관리) 및 유통관리전략 분석
[국제마케팅]현대자동차의 중국진출 사례연구 분석
현대자동차 마케팅 전략 분석 Net thinking, new possibilities
현대자동차의 미국시장 진출전략 및 마케팅 전략 분석
현대자동차swot분석
[인재상][인재][에스케이][SK][삼성][현대자동차][전경련][엘지][LG]SK(에스케이)의 인재상, ...
현대자동차 제네시스프라다(Genesis PRADA) 마케팅실패 사례분석과 실패원인분석 및 새로운 ...
[핵심역량][핵심역량 E비즈니스][핵심역량 사례][핵심역량 현대자동차]핵심역량의 의미, 핵심...
KIA 기아자동차Kia Motors Corporation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기아자동차 경영전략과 마케팅...
현대자동차 프랑스시장 실패 사례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