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
3. Method
4. Result
5. Discussion
*reference
2. Material
3. Method
4. Result
5. Discussion
*reference
본문내용
단자엽식물 잎의 기능은 비슷하지만, 그들의 모양은 기본적으로 다르다. 즉 쌍자엽식물의 잎몸(엽신)은 전형적으로 넓고 납작하며 얇다. 대부분의 잎몸은 좁은 자루, 즉 잎자루에 의하여 빛을 잘 받을 수 있도록 받쳐진다. 대부분의 단자엽식물에서 잎몸은 좁고 길며, 잎몸의 아랫부분이 줄기를 감싸는데 이 부분을 잎집(엽초)이라고 한다. 잎은 또한 외형에 따라 단엽과 복엽으로 구분된다. 납작한 잎몸이 갈라지지 않고 하나로 된 잎을 단엽이라 한다. 잎몸이 동일 평면상에서 여러 개의 작은 잎으로 나누어져 있는 잎을 복엽이라고 한다.
② 잎의 내부 구조
잎몸과 잎자루의 구조는 해부학적으로 광합성, 물과 양분의 수송, 물의 증산작용 등이 알맞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잎의 바깥쪽 표면은 표피조직으로 덮여 있고, 기본조직은 엽록체를 많이 갖고 있는 엽육조직이며, 유관속조직은 엽맥을 형성한다. 잎자루는 잎몸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양분과 물 및 무기물질을 수송한다. 잎자루는 생장기가 끝나는 가을에 줄기에서 떨어진다.
-표피조직: 표피는 조밀하고 투명하며, 보통 광합성을 하지 않는다. 빛을 받기에 적당하게 얇고 납작하기 때문에, 표면적이 넓어서 물이 소실될 수 있다. 표피는 방수성인 적이 이상적이지만, 동시에 투명해야 하며, 를 잎 속으로 들여보내야 한다. 표피는 또한 많은 기공을 갖고 있다. 기공은 보통 잎 표면의 1% 이하를 차지하지만, 대기 중으로 매우 많은 양의 물을 증발시켜 날려 보낸다. 잎에서 대기 속으로 물이 증발하는 현상을 증산작용이라고 하며, 강우량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잎이 줄기에 거의 수평으로 달려 있는 경우, 기공은 보통 노출되어 있는 윗면(상표피)보다 보호되어 있는 아랫면(하표피)에 더 많이 분포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잎이 줄기에 거의 수직 방향으로 달려 있는 경우, 기공은 보통 상표피와 하표피에 비슷한 빈도로 분포한다. 기공의 빈도와 분포는 종에 따라서 그리고 각 잎의 부위에 따라서 다양하다. 단자엽식물에서 기공은 평행하게 열을 이루면서 분화하는 반면, 쌍자엽식물에서는 분산되어서 분화한다. 기공이 주로 잎의 하표피에 분포하면 중요한 이점이 있다. 공기 중에 떠다니는 곰팡이나 세균의 포자들은 계속 잎 위에 날아든다. 대부분의 포자는 기공이 얼마 없는 잎의 위쪽에 날아들어서 곰팡이에 의한 피해는 그다지 없다.
-기본조직: 잎의 기본조직은 엽육조직이라고 한다. 이 조직은 후벽조직, 저장유조직, 엽록조직 등 여러 가지의 세포들로 이루어진다. 엽록조직은 광합성을 하는 유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세포들은 서로 다른 배열과 대사작용을 할 수 있다. 대부분 잎의 엽육조직에서 광합성 작용을 하는 책상유조직과 해면유조직의 배열이 뚜렷하게 구별되는데, 이런 잎을 양면엽이라고 한다. 잎의 횡단면을 보면 2가지 엽육조직이 있다. 잎의 상표피를 따라서 1층 또는 그 이상의 길고 원통형인 엽록조직 세포가 있는데, 이를 책상유조직이라고 한다. 이 조직은 식물의 주된 광합성장소로서, 잎에서 이루어지는 광합성의 90% 이상을 수행한다. 책상유조직 세포들은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으나, 약간 떨어져 있어서 좁은 세포간극을 갖고 있다. 그래서 각 세포 표면의 대부분은 가 포함되어 있는 세포간극에 노출된다. 는 서서히 세포질 속으로 용해되기 때문에, 세포의 노출 표면이 넓으면 용해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만일 책상유조직 세포들이 단단히 붙어서 배열되어 있다면, 효과적인 광합성을 위해서 충분한 를 흡수할 수 없을 것이다. 책상유조직 세포는 엽록체를 많이 갖고 있기 때문에, 빛을 흡수하고 탄소를 고정하는 광합성 작용을 위해서 특수화되었다. 한편 잎의 하표피
② 잎의 내부 구조
잎몸과 잎자루의 구조는 해부학적으로 광합성, 물과 양분의 수송, 물의 증산작용 등이 알맞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잎의 바깥쪽 표면은 표피조직으로 덮여 있고, 기본조직은 엽록체를 많이 갖고 있는 엽육조직이며, 유관속조직은 엽맥을 형성한다. 잎자루는 잎몸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양분과 물 및 무기물질을 수송한다. 잎자루는 생장기가 끝나는 가을에 줄기에서 떨어진다.
-표피조직: 표피는 조밀하고 투명하며, 보통 광합성을 하지 않는다. 빛을 받기에 적당하게 얇고 납작하기 때문에, 표면적이 넓어서 물이 소실될 수 있다. 표피는 방수성인 적이 이상적이지만, 동시에 투명해야 하며, 를 잎 속으로 들여보내야 한다. 표피는 또한 많은 기공을 갖고 있다. 기공은 보통 잎 표면의 1% 이하를 차지하지만, 대기 중으로 매우 많은 양의 물을 증발시켜 날려 보낸다. 잎에서 대기 속으로 물이 증발하는 현상을 증산작용이라고 하며, 강우량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잎이 줄기에 거의 수평으로 달려 있는 경우, 기공은 보통 노출되어 있는 윗면(상표피)보다 보호되어 있는 아랫면(하표피)에 더 많이 분포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잎이 줄기에 거의 수직 방향으로 달려 있는 경우, 기공은 보통 상표피와 하표피에 비슷한 빈도로 분포한다. 기공의 빈도와 분포는 종에 따라서 그리고 각 잎의 부위에 따라서 다양하다. 단자엽식물에서 기공은 평행하게 열을 이루면서 분화하는 반면, 쌍자엽식물에서는 분산되어서 분화한다. 기공이 주로 잎의 하표피에 분포하면 중요한 이점이 있다. 공기 중에 떠다니는 곰팡이나 세균의 포자들은 계속 잎 위에 날아든다. 대부분의 포자는 기공이 얼마 없는 잎의 위쪽에 날아들어서 곰팡이에 의한 피해는 그다지 없다.
-기본조직: 잎의 기본조직은 엽육조직이라고 한다. 이 조직은 후벽조직, 저장유조직, 엽록조직 등 여러 가지의 세포들로 이루어진다. 엽록조직은 광합성을 하는 유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세포들은 서로 다른 배열과 대사작용을 할 수 있다. 대부분 잎의 엽육조직에서 광합성 작용을 하는 책상유조직과 해면유조직의 배열이 뚜렷하게 구별되는데, 이런 잎을 양면엽이라고 한다. 잎의 횡단면을 보면 2가지 엽육조직이 있다. 잎의 상표피를 따라서 1층 또는 그 이상의 길고 원통형인 엽록조직 세포가 있는데, 이를 책상유조직이라고 한다. 이 조직은 식물의 주된 광합성장소로서, 잎에서 이루어지는 광합성의 90% 이상을 수행한다. 책상유조직 세포들은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으나, 약간 떨어져 있어서 좁은 세포간극을 갖고 있다. 그래서 각 세포 표면의 대부분은 가 포함되어 있는 세포간극에 노출된다. 는 서서히 세포질 속으로 용해되기 때문에, 세포의 노출 표면이 넓으면 용해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만일 책상유조직 세포들이 단단히 붙어서 배열되어 있다면, 효과적인 광합성을 위해서 충분한 를 흡수할 수 없을 것이다. 책상유조직 세포는 엽록체를 많이 갖고 있기 때문에, 빛을 흡수하고 탄소를 고정하는 광합성 작용을 위해서 특수화되었다. 한편 잎의 하표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