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상, 이 약이나 투여기술과 관련하여 발열, 조직괴사나 주사부위의 감염, 농양, 국소통증, 정맥자극, 주사부위로부터 이르는 정맥혈전증 또는 정맥염, 혈관밖유출, 과다혈량, 수술후 염불내성 : 증상은 세포탈수증, 허약, 지남력장애, 식욕부진, 구역, 복부팽만감, 깊은호흡, 핍뇨, BUN의 상승을 포함한다. 등
세파졸린주1g
(주사제)
○ 유효균종 폐렴연쇄구균,클레브시엘라, 인플루엔자균, 포도구균, 대장균,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엔테로박터, 연쇄구균, 장내구균
○ 적응증
기관지염, 폐렴, 인후두염 등 호흡기 감염증, 요로감염증, 피부 및 연조직감염증, 담관염, 담낭염, 골 및 관절감염증, 전립선염, 부고환염등 생식기감염증, 패혈증, 심내막염
이 약에 의하여 쇽의 병력이 있는 환자,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에 과민반응 환자, 리도카인 등의 아닐리드계 국소마취제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근육주사에 한함.)
쇽, 아나필락시양 증상(호흡곤란, 전신 홍반, 맥관부종), 발진, 두드러기, 홍반, 가려움, 드물게 두통, 전신권태감, 생식기, 항문가려움(음문 가려움, 생식기 모닐리아증, 질염) 등
메트로니다졸 500mg/100ml
○유효균종
혐기성균 : Bacteroide 속 (특히B.ragilis) 등
○적응증
혐기성균에 의한 다음질환 패혈증 및 균혈증, 뇌농양, 수술후 창상감염증, 수술 후 혐기성균에 의한 감염증의 예방
이 약 또는 이미다졸 유도체에과민반응 환자, 혈액질환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말초신경병증 환자, 임신 3개월 이내의 임부, 미졸라스틴을 투여 중인환자 등.
상복부통, 구역, 구토, 설사, 구강점막염, 미각장애, 식욕부진, 가려움, 홍조, 두드러기, 발열, 국소반응 : 정맥혈전증, 정신장애, 일시적인 시각장애 등
ketocin
중등도 및 중증의 통증에 대한 단기요법, 일반외과, 정형외과, 부인과, 치과수술 등 후의 통증, 2세 이상의 소아, 마약성 진통제가 금기시 되는 중증의 수술 후 통증
소화성궤양환자 또는 궤양이나 천공 전력, 위장관출혈, 뇌혈관계 출혈, 아스피린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에 관상동맥 우회로술(CABG) 전후에 발생하는 통증의 치료, 임부, 수유부, 2세 미만의 소아, 중증 심부전환자 등
구역, 소화불량, 위장관통증, 설사, 고혈압, 발적, 자반병, 두통, 발한, 때때로 주사부위통증, 미각이상,시각이상, 시야흐림, 이명, 청각상실과 여성에서 불임, 출혈시간연장 등.
멕페란
위염, 기능성 유문협착, 담낭염, 담석증, 담도이상운동증, 마취 및 수술 후 약물에 의한 구역, 구토, 위 십이지장 X선 검사시 바륨통과촉진
크롬친화세포종(갈색세포종)환자(급격한 승압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약에 과민성이나 불내성을가진 환자, 간질환자 또는 추체외로 증상을 야기하는 약물을 투여 받고 있는 환자 등.
쇽, 아나필락시양 증상, 말린증후군(악성신경마비 증후군), 위의 긴장증가, 복통, 설사, 변비, 구역, 빈뇨 및 요실금 등.
케로민 주 (30mg/ml) amp
Cyclized propionic acid계 NSAID로서 PG합성을저해하여 진통, 소염, 해열 작용.
중증도 및 중증의 통증에 대한 단기요법, 일반외과, 정형외과, 부인과, 치과수술 후의 통증에 적용.
CABG 시행환자, 이약에 과민한 환자, 아스피린이나 다른 NSAIDs에 과민반응기왕력자, 기관지 천식, 다른 NSAIDs 복용환자 등
두통, 위장관 통증, 소화불량, 오심, 부종, 고혈압, 현기증, 졸음, 소양증, 홍반, 발진, 설사 등
*약물치료(투약)
간호과정 적용
주객관적
자료수집
S : \"배가 너무 아파요\"
“배가 아파서 잘 못 걷겠어요”
O : 대상자는 배에 손을 대며 인상을 찡그림.
배가 아프다 하며 못 움직이겠다고 함.
간호진단
- 염증과정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목표
단기 목표 :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장기 목표 : 통증 없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게 될 것이다.
간호계획
및 수행
- 대상자의 통증을 사정한다.
→ 통증 척도 0-10으로 물어보았다.
- 처방에 따라 진통제(ketocin)을 투여한다.
→ 진통제(ketocin)을 투약하였다.
- 기동성을 서서히 증가시키도록 도와준다.
→ 기동성을 서서히 증가 시키도록 도와주었다.
평가
- 대상자의 통증 정도는 24시간 내에 통증척도 0-10 중 4이하 로 보고될 것이다.
8월 3일
8월 4일
주객관적
자료수집
S : “몸이 너무 뜨겁고 열이 많이 나는 것 같은데 주사 좀 놔주세요”
O : 상기되어 있는 얼굴. 체온 37.8℃
열이 많이 나는 것 같다고 하며 열 내리는 주사 원하 심.
간호진단
-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 단기 목표 : 1시간 이내에 37.8℃인 체온이 체온 정상 범위인 36.5℃로 내려갈 것이다.
- 장기 목표 : 정상체온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및 수행
- 열을 내리기 위해 Ice bag을 사용한다.
→ 열을 내리기 위해 Ice bag을 사용하였다.
- 처방에 따라 해열제(케로민)을 투여한다.
→ 처방에 따라 해열제(케로민)을 투약하였다.
평가
- 체온이 37.8℃에서 체온의 정상치인 36.5℃로 떨어졌다.
Ⅴ. 결론
충수돌기염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흔한 질병 중 하나이다. 특히 20-30대 비율이 많다는 것은 책을 통해 알고 있었긴 했지만 직접 병원에서 충수돌기염으로 입원한 환자분들의 연령대가 20-30대인 것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물론 40대 이상인 환자 분들도 많았다. 비록 충수돌기염이 일반 다른 질병들과 관련해서 그렇게 심각한 상황은 아니지만 수술을 하지 않고 두면 더 위험한 상황까지도 갈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최대한 빠른 처치가 필요한 응급질환인 것 같다. 이번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서 충수돌기염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참고문헌
이향련 외(2008), 성인간호학Ι, 수문사, pp.407-408
홍영혜 외(2008), 최신간호진단, 수문사, p.182
성미혜 외(2009),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pp203-216
Google 이미지 검색(http://www.google.co.kr/images)
세파졸린주1g
(주사제)
○ 유효균종 폐렴연쇄구균,클레브시엘라, 인플루엔자균, 포도구균, 대장균,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엔테로박터, 연쇄구균, 장내구균
○ 적응증
기관지염, 폐렴, 인후두염 등 호흡기 감염증, 요로감염증, 피부 및 연조직감염증, 담관염, 담낭염, 골 및 관절감염증, 전립선염, 부고환염등 생식기감염증, 패혈증, 심내막염
이 약에 의하여 쇽의 병력이 있는 환자,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에 과민반응 환자, 리도카인 등의 아닐리드계 국소마취제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근육주사에 한함.)
쇽, 아나필락시양 증상(호흡곤란, 전신 홍반, 맥관부종), 발진, 두드러기, 홍반, 가려움, 드물게 두통, 전신권태감, 생식기, 항문가려움(음문 가려움, 생식기 모닐리아증, 질염) 등
메트로니다졸 500mg/100ml
○유효균종
혐기성균 : Bacteroide 속 (특히B.ragilis) 등
○적응증
혐기성균에 의한 다음질환 패혈증 및 균혈증, 뇌농양, 수술후 창상감염증, 수술 후 혐기성균에 의한 감염증의 예방
이 약 또는 이미다졸 유도체에과민반응 환자, 혈액질환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말초신경병증 환자, 임신 3개월 이내의 임부, 미졸라스틴을 투여 중인환자 등.
상복부통, 구역, 구토, 설사, 구강점막염, 미각장애, 식욕부진, 가려움, 홍조, 두드러기, 발열, 국소반응 : 정맥혈전증, 정신장애, 일시적인 시각장애 등
ketocin
중등도 및 중증의 통증에 대한 단기요법, 일반외과, 정형외과, 부인과, 치과수술 등 후의 통증, 2세 이상의 소아, 마약성 진통제가 금기시 되는 중증의 수술 후 통증
소화성궤양환자 또는 궤양이나 천공 전력, 위장관출혈, 뇌혈관계 출혈, 아스피린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에 관상동맥 우회로술(CABG) 전후에 발생하는 통증의 치료, 임부, 수유부, 2세 미만의 소아, 중증 심부전환자 등
구역, 소화불량, 위장관통증, 설사, 고혈압, 발적, 자반병, 두통, 발한, 때때로 주사부위통증, 미각이상,시각이상, 시야흐림, 이명, 청각상실과 여성에서 불임, 출혈시간연장 등.
멕페란
위염, 기능성 유문협착, 담낭염, 담석증, 담도이상운동증, 마취 및 수술 후 약물에 의한 구역, 구토, 위 십이지장 X선 검사시 바륨통과촉진
크롬친화세포종(갈색세포종)환자(급격한 승압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약에 과민성이나 불내성을가진 환자, 간질환자 또는 추체외로 증상을 야기하는 약물을 투여 받고 있는 환자 등.
쇽, 아나필락시양 증상, 말린증후군(악성신경마비 증후군), 위의 긴장증가, 복통, 설사, 변비, 구역, 빈뇨 및 요실금 등.
케로민 주 (30mg/ml) amp
Cyclized propionic acid계 NSAID로서 PG합성을저해하여 진통, 소염, 해열 작용.
중증도 및 중증의 통증에 대한 단기요법, 일반외과, 정형외과, 부인과, 치과수술 후의 통증에 적용.
CABG 시행환자, 이약에 과민한 환자, 아스피린이나 다른 NSAIDs에 과민반응기왕력자, 기관지 천식, 다른 NSAIDs 복용환자 등
두통, 위장관 통증, 소화불량, 오심, 부종, 고혈압, 현기증, 졸음, 소양증, 홍반, 발진, 설사 등
*약물치료(투약)
간호과정 적용
주객관적
자료수집
S : \"배가 너무 아파요\"
“배가 아파서 잘 못 걷겠어요”
O : 대상자는 배에 손을 대며 인상을 찡그림.
배가 아프다 하며 못 움직이겠다고 함.
간호진단
- 염증과정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목표
단기 목표 :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장기 목표 : 통증 없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게 될 것이다.
간호계획
및 수행
- 대상자의 통증을 사정한다.
→ 통증 척도 0-10으로 물어보았다.
- 처방에 따라 진통제(ketocin)을 투여한다.
→ 진통제(ketocin)을 투약하였다.
- 기동성을 서서히 증가시키도록 도와준다.
→ 기동성을 서서히 증가 시키도록 도와주었다.
평가
- 대상자의 통증 정도는 24시간 내에 통증척도 0-10 중 4이하 로 보고될 것이다.
8월 3일
8월 4일
주객관적
자료수집
S : “몸이 너무 뜨겁고 열이 많이 나는 것 같은데 주사 좀 놔주세요”
O : 상기되어 있는 얼굴. 체온 37.8℃
열이 많이 나는 것 같다고 하며 열 내리는 주사 원하 심.
간호진단
-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 단기 목표 : 1시간 이내에 37.8℃인 체온이 체온 정상 범위인 36.5℃로 내려갈 것이다.
- 장기 목표 : 정상체온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및 수행
- 열을 내리기 위해 Ice bag을 사용한다.
→ 열을 내리기 위해 Ice bag을 사용하였다.
- 처방에 따라 해열제(케로민)을 투여한다.
→ 처방에 따라 해열제(케로민)을 투약하였다.
평가
- 체온이 37.8℃에서 체온의 정상치인 36.5℃로 떨어졌다.
Ⅴ. 결론
충수돌기염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흔한 질병 중 하나이다. 특히 20-30대 비율이 많다는 것은 책을 통해 알고 있었긴 했지만 직접 병원에서 충수돌기염으로 입원한 환자분들의 연령대가 20-30대인 것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물론 40대 이상인 환자 분들도 많았다. 비록 충수돌기염이 일반 다른 질병들과 관련해서 그렇게 심각한 상황은 아니지만 수술을 하지 않고 두면 더 위험한 상황까지도 갈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최대한 빠른 처치가 필요한 응급질환인 것 같다. 이번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서 충수돌기염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참고문헌
이향련 외(2008), 성인간호학Ι, 수문사, pp.407-408
홍영혜 외(2008), 최신간호진단, 수문사, p.182
성미혜 외(2009),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pp203-216
Google 이미지 검색(http://www.google.co.kr/image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