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목차
[ 목차 ]
1. 제 1 회 모의고사
2. 제 2 회 모의고사
3. 제 3 회 모의고사
4. [부록1] 2009학년도 전공역사 기출문제
5. [부록2] 2010학년도 전공역사 기출문제
6. [부록3] 답안지(OMR카드)
1. 제 1 회 모의고사
2. 제 2 회 모의고사
3. 제 3 회 모의고사
4. [부록1] 2009학년도 전공역사 기출문제
5. [부록2] 2010학년도 전공역사 기출문제
6. [부록3] 답안지(OMR카드)
본문내용
만 받도록 개선한 제도이다. 이 제도는 사실상 청나라가 중국 민중들에게 은혜를 베푼다는 측면에서 시행된 성격이 강하였다.
32. ②
(나)의 철도 부설권은 외국자본이 독점경영하던 것을 이권회수운동으로 겨우 되찾아서 민간자본으로 새로운 철도가 건설중에 있었다. (다)의 봉기 주축은 신군(新軍)이었다.
33. ①
자료의 시기에는 백제의 영향이 강한 불교 중심의 문화인 아스카 문화가 발달하였다. ㉢, ㉣은 헤이안 전기 문하에 대한 설명이다.
34. ④
사이렌드라 왕조는 8~9세기에 걸쳐 자바섬에 있던 국가로 보로부두르 사원이 유명하다.
35. ④
④번은 옴미아드왕조시기에 대한 설명이다.
36. ①
자료는 키케로의 편지 중 일부이다. 키케로는 철저한 공화주의자로 로마 공화정의 전통을 매우 존중하였다.
37. ③
A는 카노사의 굴욕이, B는 아비뇽 유수가 발생한 년도이다. 후스파의 성체배령이 인정된 이그라우 협정은 1436년에 체결되었다.
38. ④
(가)는 홉스, (나)는 로크의 사회계약설이다. 보기의 ㉣일반의지는 루소에 의해 정립된 개념이다.
39. ③
40. ⑤
제3회 모의고사 정답 및 해설
문제
정답
출제항목
배점
1
3
근대역사학의 역사인식
2
2
4
설명이론
2.5
3
1.4
와인버그의 발견법
2
4
1
교사의 설명방식
2
5
2
국사교육 및 교과서 정책
2.5
6
1
역사학습의 평가
2
7
4
인지발달론과 역사학습
2
8
3
역사학습의 목적
2
9
4
역사 설명 방식
1.5
10
4
독자와 텍스트
2
11
5
역사학습의 평가
1.5
12
5
역사학습의 평가
2
13
2
삼국항쟁
2
14
3
광개토대왕릉비 신묘년 기사
2
15
5
발해
2
16
3
통일신라 토지제도
2
17
2
고려 역사서
2
18
3
고려 말의 전제개혁
2
19
2
최승로의 광종비판
2
20
2
조선시대 법전
2
21
3
유향소와 경재소
2
22
4
예송논쟁
2
23
2
식민사관
2
24
1
개화정책
1.5
25
4
정약용의 탕론
2.5
26
4
좌우합작7원칙
2.5
27
4
맥아더 포고문
2
28
4
북위의 균전제
2
29
1
사기
2
30
3
왕망의 개혁
2
31
3
중국 근대 조약
2
32
1
대약진운동
1.5
33
3
로마의 관직체계
2
34
2
인도의 사상
2
35
2
마키아벨리즘
2
36
2
종교회의
2.5
37
4
트루먼 독트린
2
38
2
뮌헨협정
2
39
5
일본의 대외 침략
2
40
4
오스만제국의 개혁
1.5
1. ③
자료의 내용은 근대역사학의 역사인식과 관련된 내용이다. 보기의 (라)는 포스트모던 역사학의 역사인식과 관련된 내용이다.
2. ④
(가)는 역사적 설명방식 중 재연에 해당된다.
3. ①,④
4. ①
교사는 교과서의 서술 순서에 따라 학생들과 문답을 하면서 교과서 내용을 그대로 충실히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끝에 가서 후백제가 경주를 침입해서 ‘경애왕을 죽였다’는 교과서에는 나오지 않는 내용이 덧붙여지고 있다. 이는 수업시간에 교과서 내용을 그대로 다룬다고 하더라도 설명의 흐름상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여기에서 ‘경애왕’은 중요한 지식이라기보다는 교사에게 익숙한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식은 대체로 이야기 등을 통해 많이 듣는 것들로, 교사의 입장에서는 학생들이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고 생각하기보다는 한번 이야기해 준다는 정도의 의미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다른 수업내용이 교과서에 그대로 있는 것이기 때문에, 학생들은 새로 추가된 내용도 다른 내용과 같은 비중으로 기억해야 한다고 생각할 가능성도 있다.
5. ②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당시 문교부는 72년 5월 11일 국사교육강화를 위한 몇 가지 시책을 밝혔다. 그 내용은 대학입학 예비고사에 국사를 독립 과목으로 추가하여 30점을 배정하며, 현존 14개 국사 관계학회를 통합하여 한국학센터를 설치하고, 국사 연구비를 대폭 증액하며, 초중등 학교에서도 국사를 독립 교과로 하며, 국사교육 강화를 위하여 17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발족시킨다는 것이다. 이 발표 자리에서 문교부장관은 주체적이고 발전적인 사관을 확립시켜 ‘국적 찾는 교육’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국사교육 강화책에 따라 문교부 자문기구로서 새로 설치된 국사교육 강화위원회는 7월 5일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독립된 교과로 국사과목을 신설하고, 대학에 교양 필수과목으로 국사교과를 설정한다는 등의 국사 교육과정 구조 개편안을 마련, 문교부에 건의하였다. 그 내용은 대학의 국사교과 이수학점을 3~4학점으로 할 것과, 고등학교에서는 6단위 필수, 중학교에서는 2(2학기), 3(1학기) 학년에 각각 실시하고, 국민학교에서는 1, 2, 3학년에 사회과 연간 시간의 1/4 정도를 국사내용을 가르쳐 역사의식과 민족의식을 기르고, 4학년에서는 사회과 연간 시간수의 1/3정도를 가르치며, 6학년 1학기에 체계있는 국사교육을 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사교육위원회는 개편안을 건의하면서 국사과의 신설은 찬성하였으나 교재의 획일화, 특히 역사 교재의 국정화는 민족사적 교육의 강화보다는 엉뚱한 부작용을 초래하며, 역행적인 결과를 자초할 것이라고 반대하였으나 이 의견은 문교당국에 의하여 묵살되었다고 한다.
6. ①
㉠에 들어갈 말은 성취기준(교육목표)이다. 성취기준과 관련하여 현행 역사학습의 평가 방법의 문제점은 목표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학생들의 상대적 서열이나 비교를 중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7. ④
문제해결학습은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에서 강조되었던 학습방법이다.
8. ③
보기의 내용은 역사학습의 목적을 교양으로서의 역사에 두었을 때에 대한 문제점이다. (가)는 교훈으로서의 역사, (라)는 민족공동체의식의 고취, (마)는 역사의식의 함양에 해당한다.
9. ④
자료의 역사 설명방식은 사건을 일어난 순서대로 설명하는 발생적 설명방식이다. 발생적 설명은 2개 이상의 사건들의 연속적인 진행과정을 설명할 때 사용하며, 설명의 각 단계사이의 인과적·논리적 연결을 위해서 단계가 바뀔 때마다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별개의 법칙(L)과 어떤 기술(C)을 사용한다. 그러나 법칙은 주요한 단계에 한해 제시하고 상식적 수준의 것은 생략해도 무방하다.
10. ④
롤랑 바르트는 독자적
32. ②
(나)의 철도 부설권은 외국자본이 독점경영하던 것을 이권회수운동으로 겨우 되찾아서 민간자본으로 새로운 철도가 건설중에 있었다. (다)의 봉기 주축은 신군(新軍)이었다.
33. ①
자료의 시기에는 백제의 영향이 강한 불교 중심의 문화인 아스카 문화가 발달하였다. ㉢, ㉣은 헤이안 전기 문하에 대한 설명이다.
34. ④
사이렌드라 왕조는 8~9세기에 걸쳐 자바섬에 있던 국가로 보로부두르 사원이 유명하다.
35. ④
④번은 옴미아드왕조시기에 대한 설명이다.
36. ①
자료는 키케로의 편지 중 일부이다. 키케로는 철저한 공화주의자로 로마 공화정의 전통을 매우 존중하였다.
37. ③
A는 카노사의 굴욕이, B는 아비뇽 유수가 발생한 년도이다. 후스파의 성체배령이 인정된 이그라우 협정은 1436년에 체결되었다.
38. ④
(가)는 홉스, (나)는 로크의 사회계약설이다. 보기의 ㉣일반의지는 루소에 의해 정립된 개념이다.
39. ③
40. ⑤
제3회 모의고사 정답 및 해설
문제
정답
출제항목
배점
1
3
근대역사학의 역사인식
2
2
4
설명이론
2.5
3
1.4
와인버그의 발견법
2
4
1
교사의 설명방식
2
5
2
국사교육 및 교과서 정책
2.5
6
1
역사학습의 평가
2
7
4
인지발달론과 역사학습
2
8
3
역사학습의 목적
2
9
4
역사 설명 방식
1.5
10
4
독자와 텍스트
2
11
5
역사학습의 평가
1.5
12
5
역사학습의 평가
2
13
2
삼국항쟁
2
14
3
광개토대왕릉비 신묘년 기사
2
15
5
발해
2
16
3
통일신라 토지제도
2
17
2
고려 역사서
2
18
3
고려 말의 전제개혁
2
19
2
최승로의 광종비판
2
20
2
조선시대 법전
2
21
3
유향소와 경재소
2
22
4
예송논쟁
2
23
2
식민사관
2
24
1
개화정책
1.5
25
4
정약용의 탕론
2.5
26
4
좌우합작7원칙
2.5
27
4
맥아더 포고문
2
28
4
북위의 균전제
2
29
1
사기
2
30
3
왕망의 개혁
2
31
3
중국 근대 조약
2
32
1
대약진운동
1.5
33
3
로마의 관직체계
2
34
2
인도의 사상
2
35
2
마키아벨리즘
2
36
2
종교회의
2.5
37
4
트루먼 독트린
2
38
2
뮌헨협정
2
39
5
일본의 대외 침략
2
40
4
오스만제국의 개혁
1.5
1. ③
자료의 내용은 근대역사학의 역사인식과 관련된 내용이다. 보기의 (라)는 포스트모던 역사학의 역사인식과 관련된 내용이다.
2. ④
(가)는 역사적 설명방식 중 재연에 해당된다.
3. ①,④
4. ①
교사는 교과서의 서술 순서에 따라 학생들과 문답을 하면서 교과서 내용을 그대로 충실히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끝에 가서 후백제가 경주를 침입해서 ‘경애왕을 죽였다’는 교과서에는 나오지 않는 내용이 덧붙여지고 있다. 이는 수업시간에 교과서 내용을 그대로 다룬다고 하더라도 설명의 흐름상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여기에서 ‘경애왕’은 중요한 지식이라기보다는 교사에게 익숙한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식은 대체로 이야기 등을 통해 많이 듣는 것들로, 교사의 입장에서는 학생들이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고 생각하기보다는 한번 이야기해 준다는 정도의 의미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다른 수업내용이 교과서에 그대로 있는 것이기 때문에, 학생들은 새로 추가된 내용도 다른 내용과 같은 비중으로 기억해야 한다고 생각할 가능성도 있다.
5. ②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당시 문교부는 72년 5월 11일 국사교육강화를 위한 몇 가지 시책을 밝혔다. 그 내용은 대학입학 예비고사에 국사를 독립 과목으로 추가하여 30점을 배정하며, 현존 14개 국사 관계학회를 통합하여 한국학센터를 설치하고, 국사 연구비를 대폭 증액하며, 초중등 학교에서도 국사를 독립 교과로 하며, 국사교육 강화를 위하여 17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발족시킨다는 것이다. 이 발표 자리에서 문교부장관은 주체적이고 발전적인 사관을 확립시켜 ‘국적 찾는 교육’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국사교육 강화책에 따라 문교부 자문기구로서 새로 설치된 국사교육 강화위원회는 7월 5일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독립된 교과로 국사과목을 신설하고, 대학에 교양 필수과목으로 국사교과를 설정한다는 등의 국사 교육과정 구조 개편안을 마련, 문교부에 건의하였다. 그 내용은 대학의 국사교과 이수학점을 3~4학점으로 할 것과, 고등학교에서는 6단위 필수, 중학교에서는 2(2학기), 3(1학기) 학년에 각각 실시하고, 국민학교에서는 1, 2, 3학년에 사회과 연간 시간의 1/4 정도를 국사내용을 가르쳐 역사의식과 민족의식을 기르고, 4학년에서는 사회과 연간 시간수의 1/3정도를 가르치며, 6학년 1학기에 체계있는 국사교육을 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사교육위원회는 개편안을 건의하면서 국사과의 신설은 찬성하였으나 교재의 획일화, 특히 역사 교재의 국정화는 민족사적 교육의 강화보다는 엉뚱한 부작용을 초래하며, 역행적인 결과를 자초할 것이라고 반대하였으나 이 의견은 문교당국에 의하여 묵살되었다고 한다.
6. ①
㉠에 들어갈 말은 성취기준(교육목표)이다. 성취기준과 관련하여 현행 역사학습의 평가 방법의 문제점은 목표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학생들의 상대적 서열이나 비교를 중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7. ④
문제해결학습은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에서 강조되었던 학습방법이다.
8. ③
보기의 내용은 역사학습의 목적을 교양으로서의 역사에 두었을 때에 대한 문제점이다. (가)는 교훈으로서의 역사, (라)는 민족공동체의식의 고취, (마)는 역사의식의 함양에 해당한다.
9. ④
자료의 역사 설명방식은 사건을 일어난 순서대로 설명하는 발생적 설명방식이다. 발생적 설명은 2개 이상의 사건들의 연속적인 진행과정을 설명할 때 사용하며, 설명의 각 단계사이의 인과적·논리적 연결을 위해서 단계가 바뀔 때마다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별개의 법칙(L)과 어떤 기술(C)을 사용한다. 그러나 법칙은 주요한 단계에 한해 제시하고 상식적 수준의 것은 생략해도 무방하다.
10. ④
롤랑 바르트는 독자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