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해가 잘 되지 않은 부분도 많았는데 갖가지 실험결과들을 통해 우리나라 사람들이 왜 어떤 특수한 경향이 강한지 이해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뿐만 아니라 모든 동양인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대해 궁금하거나 여러 문화와 교류하는 사람이라면 그 행동의 형이상학적 원인과 나아가 그에 대응하는 방법이나 개선해야할 점들을 배울 수 잇는데 좋은 책이다.
추천자료
음악의 소재,요소,형식,종류,기원,역할,서양음악,동양음악,한국?
동양 문화권과 서양 문화권의 교류
동양의 유교사상과 서양의 기독교사상 비교
동서문화비교 - 동양문화, 서양문화 비교
[자연관][동서고금]동서고금의 다양한 자연관 분석(동양의 자연관, 장자의 자연관, 도가의 자...
전통중국사회와 발전형태 이론의 이해(- 동양을 바라보는 서양 학자들의 경제적.사회적 이론...
[사회과학] 아동을 바라보는 관점이 시대에 따라 많이 변해왔다.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
[사회과학] 아동을 바라보는 관점이 시대에 따라 많이 변해왔다.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
아동을 바라보는 관점/ 시대에 따라 서양 동양 그리고 우리나라의 변천과정
아동을 바라보는 관점이 시대에 따라 많이 변해왔다.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서양...
동양의 성문화와 서양의 성문화를 비교해 보고, 현대를 살아가는 한 사람으로서 본인이 생각...
라이프니츠를 통해본 동양과 서양 철학의 만남
동양 의학 (명상, 타이치, 침술요법, 동양 약과 서양 약의 차이점, 음과 양, 요가, 허브약은 ...
[전통윤리와 윤리의 변동] 사회변동과 인간관계, 전통윤리와 인간관계(동양윤리와 서양윤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