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간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환자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소화기계환자간호
외과계환자간호
심혈관계환자간호
호흡기계환자간호
수분전해질
x-ray
욕창간호

본문내용

ay
manifested accessory pathway
one-way bypass
AVNRT : two pathways (fast / solw)
different refractory periods
different conduction times
3) Atrial septal defect : ASD sinus venosus
ASD secundum - 5~10% of all CHD defect in atrial septum, at site of fossa ovalis
ASD primum : patial typ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1~2% of all congenital heart diseas
4) Parti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returm : fewer than 1% of all CHD
5) Patent ductus arteriosus : 5~10% of all congenital heart disease more common in female and prmature infant
6) Coarctation of the aorta : 8~10% of all CHD
tubular hypoplasis
discrete COA
7) IAA : complete separation of Asc.Ao -Desc.Ao
type - interruption distal Lt subclavian artery
interruption between carotid & subclavian artery
interruption between carotid artery
8) Aortic stenosis : 3~6% of all CHD
of 75% valvular / 5% supravalvular / 20% subvalvular
9) DAA : rt < 4th aortic arch - embryonic remnant
sx : stridor & wheezing
dx : esophagogram-indentation
cardiac cath . multi - detector CT & MRI - confirmed
tx : op - excision
10) 할로 4징 : most common cyanotic CHD beyond infancy
11) 심실중격결손을 가진 폐동맥폐쇄 : severe form of TOF
pul supplied by PDA or AP collaterals
tx : occ, PG E1, infusion
coil embolization
if multiple Aortopulmonary collaterals
12) 폐동맥폐쇄 : severs cyanosis after birth
no murmur in many pt
13) 심부전 : 심장내 결손으로 좌우 단락이 있는 선천성 심기형
해부학적으로는 연결이 잘못되어 심장내 혈류는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청색증 을 보이는 경우가 있음
개심수술 직후의 상태에서도 발견됨
심근염, 심근증
종류 : 좌측성 심부전 - 폐부종 증상
빈맥, 빈호흡, 천명, 운동시 숨이 참
체중 증가가 안되며 식은땀을 잘 흘림
숨이 차서 누워있기 힘들어 함며 창백함
호흡시 흉골의 함몰 발견
우측성 심부전 - 간종대, 부종, 확장된 경정맥, 흉막삼출액 발견
우심장의 비대, 폐울혈, 폐부종
좌+우측성이 동반된 경우
tx : 안정, 반좌위, o2흡입, 나트륨의 제한, 이뇨제 투여, 약물요법
4. 심장 혈관 조영술 및 중재시술
1) 관상동맥 질환
만성 안정형 협심증 - atherosclerotioc fixde lesion
70% stenosis in diameter
no thrombus
typical effort pain
tx : aspirin, ca-bloker, nitrate
불안정 협심증 / 급성 심근 경색 / 변이형 협심증
stable angina
NSTEMI
STEMI
chest pain
effort
resting
resting
EKG
normal
T inversion
normal
T inversion
ST depression
ST elevation
cardiac enzyme
normal
normal
elevation
elevation
myocardial damage
none
reversible
irreversible
irreversible
angiogram
elective
elective
emergency
emergency
2) 관상동맥 질환이 아닌 질환 : 확장성 심근증 / 심근염
3) 비특이적 흉통질환 : 근골격계 증상 / 신체화 증상 / 위식도 질환
4) Angiogram : both inguinal area
shaving (femoral vein / femoral artery)
skin disinfectant (betadine / alcohol)
radial artery
femoral artery
less bleeding
standard
early ambulation
inconvenience
small diameter
free in diameter
technical difficulty
technically easy
painful
more bleeding
drape
5. 심장질환 관련 약물
1) 서맥 : 인공심방동기로서 심박수를 올리는 것이 최대의 효과를 얻음
isoproterenol, atropine등의 약물 투여
2) 빈맥 : 저혈량인 경우 수액을 공급하고 통증은 진통제 투여함
ca 길항제의 경우 verapamil, prano을 투여
3) 부정맥 : 전해질 분균형, 저산소증, 산증, 심근허혈등을 교정함
필요시에는 항부정맥제의 사용을 병행함 (lidocain, digoxin)
인공심박조율기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도 있음
4) 전부하의 증가 : 수액의 공급 - 부하의 감소나 저혈압의 원인은 순환혈액량의 감소로
식염수나 하트만 용액등의 정질액이나 알부민, 덱스트 란 등의 교질액, 또는 혈액을 투여하는 수액요법을 사용
투여량은 CVP와 LAP의 심실충진압의 적정여부
심장탐폰의 증상 : BP↑ CVP↓ 이로인해 개방성을 유지와 배액시도 5) 심근수축력의 증가 : 적절한 심박수와 동성리듬, 충분한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62페이지
  • 등록일2010.08.31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87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