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 데일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환자실 데일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hange- 부동으로 인해 욕창이 생길 위험이 있으므로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해준다. 특히 체위변경을 하면서 소변이나 대변이 있는 경우엔 바로바로 바꾸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세균이 증식하기도 하고, 욕창이 생기기에 더 쉬울 수 있기 때문이다.
체위변경을 해주면서 흉곽 타진도 같이 해주었는데 호흡기에 있는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호기를 증가시키고 흉강내 압력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2. 약물 mix- 기본간호 실습 이외엔 주사기를 한번도 잡아보지 못했었는데 첫날부터 앰플에서 정확한 약물빼기, saline과 약물 mix한 후 수액에 넣기 등의 수행을 시켜주셨다.
앰플도 손이 다칠까봐 걱정하면서 조심조심 따서 주사기에 약물을 집어넣고 준비하는데 시간은 오래 걸렸지만 그래도 너무 뿌듯했다.
3. BST(Blood sugar test)-중환자실에 입원해 계신 환자분들은 한 질병만 가지고 입원하신것이 아니라 보통 고혈압이 있으시거나 당뇨가 있으신 분들이 많다.
중환자실에서 주로 관찰했던 것은
1. Suction이다. 이것은 SpO2가 떨어지지 않고 기도흡인이 되지 않기 위해서 자주자주 suction을 해주는 것이다.
2. ROM (관절 가동범위운동)-물리치료사가 따로 중환자실에 들어와서 오랫동안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해주었다. 이것은 인체분절의 운동은 근 수축 또는 외부 힘에 의해 뼈가 움직임으로써 일어난다. 뼈는 관절을 중심으로 움직이며 관절의 구조는 관절을 지나는 연부조직의 유연성(flexibility)과 완전성(integrity) 뿐만 아니라 두 뼈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운동에 영향을 주는데, 이때 일어나는 완전한 운동을 ROM이라 한다.
-정상적인 가동범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그 인체분절은 가능한 관절가동범위와 근육범위가 주기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가동범위를 감소시키는 많은 요소가 있는데 전신질환, 관절질환, 신경학적 질환, 근육질환, 수술 혹은 외상으로 인한 고정 혹은 무활동(inactivity) 등이다.
-운동치료학적으로 가동범위 활동들은 관절과 연부조직의 운동성을 관리하는 것이며 구축형성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3. 억제대 적용- 난 억제대가 정신과에서만 사용되는 줄 알았는데 중환자실에서 억제대를 쓰는 것을 알고 놀랐다. 울혈성심부전을 가진 환자분께서 너무 움직임도 심하시고 침대에서 뛰어내려오려고 하자 팔, 다리, 조끼억제대를 사용해서 억제시키었다. 무의식도 아니고 정신이 멀쩡한 상태에 억제대를 하려니 답답하신지 자꾸 풀어달라고 소리치셨다.
4. IV side- 이것은 주로 3-way를 통해서 약물을 주입하는데 중환자실에는 보통 3-way가 5~6개씩 달려있었다.
7. 심장초음파 -억제대를 적용했떤 CHF환자분이신데 의사선생님들이 와서 초음파 검사를 했다.
8. 의식수준 사정(GCS)

-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의식 사정 도구
- 의식 상태 및 전반적 환자 상태를 평가하는 도구로 자극에 대한 행동반응을 기록한 것.
- 인지기능 변화를 사정할 때는 정확성이 떨어진다.
- 간호사의 정확한 서술이 요구되고 stupor 이상의 환자에게만 적용이 됨.
영역
반 응
점수
eye opening pesponse
(개안 반응)
spontaneous
자발적으로 눈을 뜬다
4
to voice
불러서 눈을 뜬다
3
to pain
통증 자극에 눈을 뜬다
2
no response
전혀 눈을 뜨지 않는다
1
verbal
response
(언어반응)
oriented
지남력이 있다
5
confused
대화가 혼돈되어 있다
4
inappropriate
언어 사용이 잘못되어 있다
3
incomprehensive
이해 불명의 말을 한다(ex:신음소리)
2
no response
전혀 반응이 없다
1
motor
response
(운동반응)
obey commands
지시에 따라 움직인다
6
localizes
통증 부위를 지적한다.
5
withdrawal
통증 자극에 적극적으로 피하려는 반응을 한다
4
abnormal flexion
이상 굴곡반응
3
abnormal extension
이상 신전 반응
2
no response
반응이 없다
1
10. Position change- 의식이 떨어져서 움직이지 못하는 대상자들에게 욕창 방지를 위해서 2시간마다 한 번씩 체위를 변경해준다.
11. Vital sign- 중환자실 vital sign은 1시간마다 check된다.
monitor기계를 모두 달고 있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수치가 나오거나 위험한 상황에는 알람이 울리도록 하고 station에 있는 전체 모니터에는 전 침상의 모니터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 사후처치- 오늘 본 것중 가장 충격적인 것이였다.
하얀 포로 돌돌 싸고 부착되있던 기계를 다 떼내고 가족들을 부른 후에 영안실로 이동했다.
[느 낌]
중환자실 실습지 가장 힘들어 보이는 실습지였다. 정말 긴장한 탓인지 그 전날 잠을 네시간밖에 못자고 병원에 출근했다. 처음 중환자실에 들어왔을 때 누구하나 의식이 제대로 된 환자가 없었다. 처음 몇 분 동안은 무서워서 환자침상까지도 다가가지도 못하고 계속 어질어질 했었다.
하지만 미래의 나의 일은 아픈환자에게 다가가 간호행위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마음을 굳게 먹고 간호사 선생님들이 하는 간호행위를 따라다니면서 하나하나 관찰하기 시작했다.
난 호흡기계 질환이나 심혈관계 질환 환자가 많을 줄 알았는데 대부분 신경계질환 환자들이였다. 특히 뇌졸중이 많았었다.
간호사 선생님들께서 환자들을 돌보면서 자꾸 눈떠보라고 하거나 여기가 어딘지, 혹은 팔을 들어보라고 하거나 하는 것 등을 시키는걸 보면서 처음엔 왜 저렇게 잠자고 있는 환자를 깨울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것이 GCS 의식수준을 사정하는 것이었다.
선생님들을 따라다니면서 관찰을 하다가 나에게 옆 침상 할아버지 혈압을 물어보시는 것이었다. 모니터엔 43/20이라고 체크되어 있었고, 나는 너무 낮은 혈압에 의아해하면서 선생님께 말씀드렸다. 그 할아버지께선 얼굴색도 다른 환자분과 다르게 어둡게 변하셨고 호흡만 간신히 하고 계셨다. 그리고 점심식사 후 돌아와서 몇 분이 안
  • 가격1,3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0.09.17
  • 저작시기201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1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