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수질오염이란.
2.수질오염의 유형
3.결론 및 방안
2.수질오염의 유형
3.결론 및 방안
본문내용
연못에는 식물과 동물의 생존에 필요한 많은 유기물과 무기영양소가 들어 있다. 이러한 물질이 정상보다 많으면 오염물질이 된다.
(1) 유기물
오염이 되지 않은 깨끗한 물에도 유기물은 들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양이 적다. 이러한 유기물은 수중 박테리아와 곰팡이의 중요한 먹이원이다. 가축사육장과 도시의 하수처리장 그리고 펄프 공장이나 육류가공 공장 등은 물을 오염시키는 유기물을 배출하는 대표적인 곳이다. 수중에 있는 박테리아는 유기호흡을 하는 과정에서 유기물을 분해 시킨다. 오염되지 않은 하천수에서는 유기물의 양이 적어 박테리아의 생장이 제한되나 유기물이 많은 하천수에서는 박테리아의 생장이 가속화된다. 이때 박테리아는 물 속에 녹아 있는 산소를 소비하게 되는데 심할 경우 물 속의 산소가 완전히 고갈된다. 용존 산소가 줄어듬에 따라 물고기나 다른 수중생물이 사라지게 된다. 산소가 계속 줄어들면 극히 소수의 수중벌레만이 살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혐기성 박테리아가 유기물을 분해하여 유독한 냄새와 독성이 있는 황화수소나 메탄 등이 발생된다.
물 속에 유기물이 줄어들면 용존 산소의 양은 정상으로 돌아와 강은 회복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자정작용이라고 한다. 그러나 자정작용은 항상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자정작용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① 강의 흐름을 따라 유기물을 배출하는 곳이 많으면 강의 회복은 불가능하다.
② 용존 산소는 대기 중의 산소와 수중식물의 광합성에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해 재충전된다.
③ 유속이 느릴 때는 산소가 천천히 재충전된다.
④ 개울과 하천의 산소부족은 연중 더운 여름에 빨리 진행되는데, 여름에는 유입되는 유기물의 농도가 높고 수온이 높아 박테리아의 분해작용이 축진되기 때문이다.
⑤ 가을에는 낙엽이 떨어져 자연적인 유기물오염이 야기될 수 있는데, 낙엽이 분해되는 동안 일시적으로 산소가 결핍된다.
⑥ 정수생태계는 유수생태계에 비하여 오염의 회복이 훨씬 느리다.
(2) 무기영양소
유기물이 박테리아의 먹이가 되는 데 비해 무기영양소는 수중식물의 생장을 촉진한다. 무기영양소에는 질소, 인, 칼륨, 철, 황, 나트륨 등이 있다. 암모니아태질소와 질산태질소, 그리고 인산염 형태로 존재하는 인은 오염이 되지 않은 하천수에서도 농도가 낮기 때문에 조류나 대형 수중식물의 생장을 제한한다. 그러나 이러한 영양소가 많아지면 식물생장이 급격히 증가하여 조류와 수중식물이 호소나 하천을 메우게 된다. 담수생태계의 경우는 보통 인산이 제한요인이 되며 해수는 질소성분이 제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가을에는 수중식물의 지상부가 죽어 수중에서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는데 그 결과 산소가 부족되어 수서동물이 죽는다. 용존 산소가 줄어들면 혐기성 박테리아가 분해를 시작하여 유해한 물질이 생성된다. 따라서 무기영양소에 의한 수질오염도 결국 유기물과 동일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단시 용존 산소가 고갈되는 시기가 가을이 올 때까지 지연된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3) 부영양화
호소나 연못과 같은 정수생태계에는 이입되는 무기영양소의 양이 적다. 그러나 호소나 연못의 분수역이 벌목이나 경작지 조성 혹은 하수처리 공장과 같은 중요한 오염물질 공급원에 의하여 교란을 받게 되면 유입되는 영양염류의 양이 많아진다. 이처럼 호소의 영양염류 농도가 증가되는 현상을 부영양화라고 한다.
부영양화는 천이를 유발시키는데 깨끗한 호소가 점차적으로 탁한 호소로 변하며, 늪 단계를 거쳐 결국 건조한 육지로 된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천이, 즉 침전물이 호소에 퇴적되어 육지로 되는 과정은 수백 년이 소요된다.
모든 호소에서 다 부영양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영양염류의 농도가 낮고 수심이
(1) 유기물
오염이 되지 않은 깨끗한 물에도 유기물은 들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양이 적다. 이러한 유기물은 수중 박테리아와 곰팡이의 중요한 먹이원이다. 가축사육장과 도시의 하수처리장 그리고 펄프 공장이나 육류가공 공장 등은 물을 오염시키는 유기물을 배출하는 대표적인 곳이다. 수중에 있는 박테리아는 유기호흡을 하는 과정에서 유기물을 분해 시킨다. 오염되지 않은 하천수에서는 유기물의 양이 적어 박테리아의 생장이 제한되나 유기물이 많은 하천수에서는 박테리아의 생장이 가속화된다. 이때 박테리아는 물 속에 녹아 있는 산소를 소비하게 되는데 심할 경우 물 속의 산소가 완전히 고갈된다. 용존 산소가 줄어듬에 따라 물고기나 다른 수중생물이 사라지게 된다. 산소가 계속 줄어들면 극히 소수의 수중벌레만이 살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혐기성 박테리아가 유기물을 분해하여 유독한 냄새와 독성이 있는 황화수소나 메탄 등이 발생된다.
물 속에 유기물이 줄어들면 용존 산소의 양은 정상으로 돌아와 강은 회복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자정작용이라고 한다. 그러나 자정작용은 항상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자정작용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① 강의 흐름을 따라 유기물을 배출하는 곳이 많으면 강의 회복은 불가능하다.
② 용존 산소는 대기 중의 산소와 수중식물의 광합성에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해 재충전된다.
③ 유속이 느릴 때는 산소가 천천히 재충전된다.
④ 개울과 하천의 산소부족은 연중 더운 여름에 빨리 진행되는데, 여름에는 유입되는 유기물의 농도가 높고 수온이 높아 박테리아의 분해작용이 축진되기 때문이다.
⑤ 가을에는 낙엽이 떨어져 자연적인 유기물오염이 야기될 수 있는데, 낙엽이 분해되는 동안 일시적으로 산소가 결핍된다.
⑥ 정수생태계는 유수생태계에 비하여 오염의 회복이 훨씬 느리다.
(2) 무기영양소
유기물이 박테리아의 먹이가 되는 데 비해 무기영양소는 수중식물의 생장을 촉진한다. 무기영양소에는 질소, 인, 칼륨, 철, 황, 나트륨 등이 있다. 암모니아태질소와 질산태질소, 그리고 인산염 형태로 존재하는 인은 오염이 되지 않은 하천수에서도 농도가 낮기 때문에 조류나 대형 수중식물의 생장을 제한한다. 그러나 이러한 영양소가 많아지면 식물생장이 급격히 증가하여 조류와 수중식물이 호소나 하천을 메우게 된다. 담수생태계의 경우는 보통 인산이 제한요인이 되며 해수는 질소성분이 제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가을에는 수중식물의 지상부가 죽어 수중에서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는데 그 결과 산소가 부족되어 수서동물이 죽는다. 용존 산소가 줄어들면 혐기성 박테리아가 분해를 시작하여 유해한 물질이 생성된다. 따라서 무기영양소에 의한 수질오염도 결국 유기물과 동일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단시 용존 산소가 고갈되는 시기가 가을이 올 때까지 지연된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3) 부영양화
호소나 연못과 같은 정수생태계에는 이입되는 무기영양소의 양이 적다. 그러나 호소나 연못의 분수역이 벌목이나 경작지 조성 혹은 하수처리 공장과 같은 중요한 오염물질 공급원에 의하여 교란을 받게 되면 유입되는 영양염류의 양이 많아진다. 이처럼 호소의 영양염류 농도가 증가되는 현상을 부영양화라고 한다.
부영양화는 천이를 유발시키는데 깨끗한 호소가 점차적으로 탁한 호소로 변하며, 늪 단계를 거쳐 결국 건조한 육지로 된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천이, 즉 침전물이 호소에 퇴적되어 육지로 되는 과정은 수백 년이 소요된다.
모든 호소에서 다 부영양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영양염류의 농도가 낮고 수심이
추천자료
수질오염과 수질오염 대책
낙동강의 기원과 현황, 수질오염실태와 관리대책, 오염물질총량제도
[수질오염][산업폐수][수질오염대책][환경오염][환경보전]수질오염의 원인, 수질오염과 산업...
[수질오염] 수질오염의 실태와 문제점 및 수질오염의 영향과 수질오염의 대책방안
[수질오염대책, 수질오염] 수질오염의 현황과 사례 및 수질오염의 원인과 수질오염의 대책방안
[수질오염][수질오염대책][물오염][수질관리][환경오염]수질오염의 물질, 수질오염의 측정망...
우리나라의 수질오염과 대책
수질오염의실태및대책방법
각 각 나라에 대한 수질오염 대책방안
3. 수질오염 정의 및 방지대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