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메이크업(Make-up) 이란?
2. 메이크업(Make-up)의 목적
3. 메이크업(Make-up)의 기원
4. 한국화장(Make-up)의 역사
5. 서양 메이크업의 역사
6. 20세기 메이크업 & 스타일
2. 메이크업(Make-up)의 목적
3. 메이크업(Make-up)의 기원
4. 한국화장(Make-up)의 역사
5. 서양 메이크업의 역사
6. 20세기 메이크업 & 스타일
본문내용
한 오존층 파괴가 사회문제가 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자외선의 부작용과 피부암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피부에 더욱 신경을 기울이게 되었다. 패션이나 화장에 있어서도 능력 있는 강인한 여성, 건강미 넘치는 섹시한 여성 이미지를 선호하면서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는 다양한 스타일을 연출하였다. 이러한 부류를 여피(Yuppie: Young Urban Professional)라고 하였다.
■ 메이크업 (Make-up)
80년대는 "춤"으로 시작했다고 이야기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전 세계적으로 ' 디스코' 열풍이 불었던 시기이다. 존 트라볼타(John Travolta) 주연의 '토요일 밤의 열기'의 붐으로 메이크업에도 화려함이 강조되어 '펄' 이 많이 들어간 화려하고 다양한 컬러가 유행하였다. 화려한 디스코로 댄스에 어울리는 황금, 노랑색 펄을 눈 두덩이에 바르고 볼터치도 펄이 있는 색을 발라 화려함을 더욱 강조하였다. 립스틱도 빨강, 주홍 등 짙고 화려한 색이 유행하였다.
8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건강한 피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초반의 화려했던 색은 점차 사라지고 부드럽고 여성스러움이 강조된 내추럴한 화장법이 유행하여 자연스러운 눈썹과 연핑크, 연갈색, 살구색 등의 연한 색의 아이섀도우를 즐겨 사용하였다.
■ 헤어 (Hair)
헤어스타일에도 디스코의 열풍이 불어 긴 머리를 땋아 내린 ‘ 디스코 머리'라는 형태가 유행하였다. 또한 다이애나의 자연스러운 헤어 커트도 선호하였고 여전히 펑크 스타일의 영향으로 기하학전인 커트나 아주 짧은 스타일의 커트도 등장하였다. 또한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사람들 사이에 유명한 헤어샵에서 정성스럽게 머리를 손질할 만큼 미(美)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시기였다.
■ 패션 (Fashion)
70년대의 펑크 스타일의 유행이 그대로 이어져 가죽 재킷에 미니 스커트, 커다란 링 귀걸이 같은 파격적인 패션이 여전히 유행하였다. 그리고 가장 대표적인 80년대 스타일로는 빅 룩(Big Look)이 있다. 빅 룩은 넓은 어깨에 직선적인 각을 강조한 남성전인 슈트 느낌의 의상이고, 레이어드 룩은 80년대 일본 디자이너의 영향으로 일본식의 겹쳐 입고 둘러 입는 식의 의상을 의미한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조깅과 에어로빅 등의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운동복이 실용적인 일상복으로 대체될 만큼 보편화 되어갔다.
10) 1990년대
1987년 미국 증시의 폭락 『블랙 먼데이(Black Monday)』으로 세계적으로 경제 대 공황을 맞게 되면서 80년대의 물질 만능주의에 대한 반성이 일어나고 보다 정신적인 것을 추구하는데 노력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기존의 획일화되고 정형화된 틀에 박힌 스타일이 아닌 다양하게 개성을 표현하는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이 생기게 되는데, 이 포스트모더니즘은 예술, 문학, 학문 등 사회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고 이러한 경향은 메이크업과 패션에도 특이한 경향이 없이 다양하게 발전하는 새로운 시도를 불러 일으켰다. 또한 인터넷의 보급으로 전 세계의 서로 다른 다양한 문화를 손쉽게 접하게 되면서 유행의 흐름도 빠르게 전달되게 되었다. 10대들의 문화도 빠르게 발전하면서 그들만의 새로운 신세대문화가 생성된 시기이기도 하다.
■ 메이크업 (Make-up)
일반인들도 메이크업을 하는데 있어 T. P. O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프로급으로 연출할 수 있을 정도로 메이크업은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위치를 갖게 되었다. 과거의 메이크업을 현대에 맞게 새롭게 창출한 ‘ 복고풍 메이크업' 은 20~30년대의 가는 아치형 눈썹에 50년대의 과장된 아이라인을 각자의 개성에 맞게 연출하였다.
다양한 스타일이 공존하던 시기로 "자연으로 돌아가자"는 캠페인을 계기로 "에콜로지풍(Ecologie)"의 메이크업이 유행하였는데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이용한 자연스러운 피부연출에 초록, 연한 갈색, 밤색 계열의 아이섀도우를 눈 두덩이에 펴주고 입술은 갈색 펜슬로 라인을 살려 그린 뒤 살색과 연한 밤색의 립스틱을 바르는 게 특징이었다. 또한 20대 초반의 여성들 사이에 유행했던 ' 누드 메이크업' 은 화장을 하지 않은 듯한 아주 자연스러운 메이크업으로 얇게 페이스 파우더만 바르고 눈 화장도 화이트 컬러로 깨끗하게 펴 준 뒤 입술에는 립글로스만 발라주는 것으로 지금까지도 인기를 얻고 있다.
90년대 말 무렵에는 펄과 반짝이를 이용한 사이버 분위기의 ' 아방가르드' 식 메이크업이 등장하였는데 패션쇼나 잡지의 모델들이 표현하던 화장기법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려는 젊은이들 사이에 퍼져 나갔다.
■ 헤어 (Hair)
헤어를 연출하는데 있어서도 각자의 개성에 따라 굵고 완만한 웨이브에 젤이나 무스를 이용해 자연스럽게 손질한 스타일, 다양한 컬의 퍼머 머리, 자연스러운 생 머리에 헤어 핀이나 밴드로 장식한 스타일 등 다양한 연출법이 나타났다. 다양한 색의 헤어 컬러링이 보편화되면서 블리치나 매쉬 등 부분염색으로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패션가발도 대중화되었다. 복고풍의 유행은 헤어에도 영향을 미쳐 크라운 부위에 볼륨을 많이 넣는 스타일이 유행하였다.
■ 패션 (Fashion)
80년대 유행하던 권력 상징의 색인 ' 자주색'이나 블루계열 색의 의상은 쇠퇴하고 블랙 진, 블랙 드레스, 블랙의 장신구 등 검정이나 브라운, 회색의 무채색 계열의 의상들이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패션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자연스러운 의상 스타일인 '에콜로지'풍이 등장하였고 인터넷의 보급으로 서로의 문화를 공유할 수 있게 되면서 각 나라의 민속의상 스타일의 '에스닉'풍이 등장하였다. 1993년 리바이벌 된 영화 "드라큘라"에서 여배우 위노라 라이너의 복고풍 의상과 십자가 목걸이는 많은 여성들의 인기를 차지하면서 '신복고'풍의 의상도 등장하였다.
또한 깨끗하고 모던한 이미지의 ' 미니멀리즘(Minimalism)'은 90년대를 대표하는 패션 스타일로 등장하였다. 힙합 음악과 함께 10대들 사이에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힙합 패션은 헐렁하고 바닥에 끌리는 길이의 긴 바지와 함께 새로운 10대들의 문화를 이끌어갔다.
■ 메이크업 (Make-up)
80년대는 "춤"으로 시작했다고 이야기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전 세계적으로 ' 디스코' 열풍이 불었던 시기이다. 존 트라볼타(John Travolta) 주연의 '토요일 밤의 열기'의 붐으로 메이크업에도 화려함이 강조되어 '펄' 이 많이 들어간 화려하고 다양한 컬러가 유행하였다. 화려한 디스코로 댄스에 어울리는 황금, 노랑색 펄을 눈 두덩이에 바르고 볼터치도 펄이 있는 색을 발라 화려함을 더욱 강조하였다. 립스틱도 빨강, 주홍 등 짙고 화려한 색이 유행하였다.
8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건강한 피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초반의 화려했던 색은 점차 사라지고 부드럽고 여성스러움이 강조된 내추럴한 화장법이 유행하여 자연스러운 눈썹과 연핑크, 연갈색, 살구색 등의 연한 색의 아이섀도우를 즐겨 사용하였다.
■ 헤어 (Hair)
헤어스타일에도 디스코의 열풍이 불어 긴 머리를 땋아 내린 ‘ 디스코 머리'라는 형태가 유행하였다. 또한 다이애나의 자연스러운 헤어 커트도 선호하였고 여전히 펑크 스타일의 영향으로 기하학전인 커트나 아주 짧은 스타일의 커트도 등장하였다. 또한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사람들 사이에 유명한 헤어샵에서 정성스럽게 머리를 손질할 만큼 미(美)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시기였다.
■ 패션 (Fashion)
70년대의 펑크 스타일의 유행이 그대로 이어져 가죽 재킷에 미니 스커트, 커다란 링 귀걸이 같은 파격적인 패션이 여전히 유행하였다. 그리고 가장 대표적인 80년대 스타일로는 빅 룩(Big Look)이 있다. 빅 룩은 넓은 어깨에 직선적인 각을 강조한 남성전인 슈트 느낌의 의상이고, 레이어드 룩은 80년대 일본 디자이너의 영향으로 일본식의 겹쳐 입고 둘러 입는 식의 의상을 의미한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조깅과 에어로빅 등의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운동복이 실용적인 일상복으로 대체될 만큼 보편화 되어갔다.
10) 1990년대
1987년 미국 증시의 폭락 『블랙 먼데이(Black Monday)』으로 세계적으로 경제 대 공황을 맞게 되면서 80년대의 물질 만능주의에 대한 반성이 일어나고 보다 정신적인 것을 추구하는데 노력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기존의 획일화되고 정형화된 틀에 박힌 스타일이 아닌 다양하게 개성을 표현하는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이 생기게 되는데, 이 포스트모더니즘은 예술, 문학, 학문 등 사회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고 이러한 경향은 메이크업과 패션에도 특이한 경향이 없이 다양하게 발전하는 새로운 시도를 불러 일으켰다. 또한 인터넷의 보급으로 전 세계의 서로 다른 다양한 문화를 손쉽게 접하게 되면서 유행의 흐름도 빠르게 전달되게 되었다. 10대들의 문화도 빠르게 발전하면서 그들만의 새로운 신세대문화가 생성된 시기이기도 하다.
■ 메이크업 (Make-up)
일반인들도 메이크업을 하는데 있어 T. P. O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프로급으로 연출할 수 있을 정도로 메이크업은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위치를 갖게 되었다. 과거의 메이크업을 현대에 맞게 새롭게 창출한 ‘ 복고풍 메이크업' 은 20~30년대의 가는 아치형 눈썹에 50년대의 과장된 아이라인을 각자의 개성에 맞게 연출하였다.
다양한 스타일이 공존하던 시기로 "자연으로 돌아가자"는 캠페인을 계기로 "에콜로지풍(Ecologie)"의 메이크업이 유행하였는데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이용한 자연스러운 피부연출에 초록, 연한 갈색, 밤색 계열의 아이섀도우를 눈 두덩이에 펴주고 입술은 갈색 펜슬로 라인을 살려 그린 뒤 살색과 연한 밤색의 립스틱을 바르는 게 특징이었다. 또한 20대 초반의 여성들 사이에 유행했던 ' 누드 메이크업' 은 화장을 하지 않은 듯한 아주 자연스러운 메이크업으로 얇게 페이스 파우더만 바르고 눈 화장도 화이트 컬러로 깨끗하게 펴 준 뒤 입술에는 립글로스만 발라주는 것으로 지금까지도 인기를 얻고 있다.
90년대 말 무렵에는 펄과 반짝이를 이용한 사이버 분위기의 ' 아방가르드' 식 메이크업이 등장하였는데 패션쇼나 잡지의 모델들이 표현하던 화장기법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려는 젊은이들 사이에 퍼져 나갔다.
■ 헤어 (Hair)
헤어를 연출하는데 있어서도 각자의 개성에 따라 굵고 완만한 웨이브에 젤이나 무스를 이용해 자연스럽게 손질한 스타일, 다양한 컬의 퍼머 머리, 자연스러운 생 머리에 헤어 핀이나 밴드로 장식한 스타일 등 다양한 연출법이 나타났다. 다양한 색의 헤어 컬러링이 보편화되면서 블리치나 매쉬 등 부분염색으로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패션가발도 대중화되었다. 복고풍의 유행은 헤어에도 영향을 미쳐 크라운 부위에 볼륨을 많이 넣는 스타일이 유행하였다.
■ 패션 (Fashion)
80년대 유행하던 권력 상징의 색인 ' 자주색'이나 블루계열 색의 의상은 쇠퇴하고 블랙 진, 블랙 드레스, 블랙의 장신구 등 검정이나 브라운, 회색의 무채색 계열의 의상들이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패션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자연스러운 의상 스타일인 '에콜로지'풍이 등장하였고 인터넷의 보급으로 서로의 문화를 공유할 수 있게 되면서 각 나라의 민속의상 스타일의 '에스닉'풍이 등장하였다. 1993년 리바이벌 된 영화 "드라큘라"에서 여배우 위노라 라이너의 복고풍 의상과 십자가 목걸이는 많은 여성들의 인기를 차지하면서 '신복고'풍의 의상도 등장하였다.
또한 깨끗하고 모던한 이미지의 ' 미니멀리즘(Minimalism)'은 90년대를 대표하는 패션 스타일로 등장하였다. 힙합 음악과 함께 10대들 사이에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힙합 패션은 헐렁하고 바닥에 끌리는 길이의 긴 바지와 함께 새로운 10대들의 문화를 이끌어갔다.
추천자료
한국화학 산업의 현황
한국의 근대 여성과 서구 중심주의: 식민지, 박정희 정권, 현재의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 최근 샴푸시장 현황 및 시장분석과 향후전망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한국사회 웰빙(well being)의 실태와 바람직한 방향 모색
[가구][가구의 의의][가구의 분류][가구의 조건][가구의 형성][가구의 발달][한국 가구의 역...
한국 헤어케어 시장 과 그 동향 및 전망(2002 - 2007)
한국과 일본의 차이
한국과 일본의 차이PPTX
한국기업들의 브랜드 네이밍
한국전통복식의 현대화 방안
글로벌기업성공적사례,로레알마케팅전략,로레알한국진출전략,로레알한국마케팅
[한국콜마 기업분석] 한국콜마 경영전략분석-해외시장진출 보고서
[한국콜마 기업분석] 한국콜마 경영전략분석-해외시장진출 PPT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