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몸짓언어의 중요성
2. 각 나라의 몸짓언어
2.1. 아랍인의 몸짓언어
2.1.1. 담화를 수반하지 않고도 충분히 이해 가능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 동작
2.1.2. 특정 대화 시에 사용되며 담화 없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회화적 의미의 동작
2.2. 미국인들의 몸짓언어
2.2.1. 대화 시의 몸짓언어
2.2.2. 손이나 손가락과 관련된 몸짓언어
2.3. 서양과 동양의 몸짓언어 차이
3. 각 나라의 조심해야 할 몸짓언어
3.1. 얼굴에서 유의 해야할 몸짓
3.2. 손과 팔에서 유의해야 할 몸짓
Ⅲ. 결론
Ⅳ. 관련사이트
Ⅱ. 본론
1. 몸짓언어의 중요성
2. 각 나라의 몸짓언어
2.1. 아랍인의 몸짓언어
2.1.1. 담화를 수반하지 않고도 충분히 이해 가능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 동작
2.1.2. 특정 대화 시에 사용되며 담화 없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회화적 의미의 동작
2.2. 미국인들의 몸짓언어
2.2.1. 대화 시의 몸짓언어
2.2.2. 손이나 손가락과 관련된 몸짓언어
2.3. 서양과 동양의 몸짓언어 차이
3. 각 나라의 조심해야 할 몸짓언어
3.1. 얼굴에서 유의 해야할 몸짓
3.2. 손과 팔에서 유의해야 할 몸짓
Ⅲ. 결론
Ⅳ. 관련사이트
본문내용
나타내기도 한다.
⊙ 귀 잡기: 인도에서는 ‘후회하거나 성실성, 사과하는 것‘을 스코틀랜드에서 귀를 만지는 것은불신의 뜻을 의미한다.
⊙ 코 때리기: 영국에선 비밀이나 은밀함을 나타내며, 이탈리아에서는 다정한 충고를 의미한다.
⊙ 코 흔들기: 푸에르토리코에서는 ‘무슨 일이 있느냐’는 뜻을 가진다.
⊙ 엄지로 코 밀기: 유럽에서 가장 많이 알려져 있으며 조롱을 의미한다. 양손을 사용하여 강조하기도 한다.
⊙ 코에 원 그리기: 전형적인 미국의 ok사인이 코 위로 덧붙여지는 경우 콜롬비아에서는 ‘동성연애자’임을 나타낸다
⊙ 뺨에 손가락 누르기: 이탈리아에서는 칭찬을 나타내는 제스처이다.
⊙ 뺨 두드리기: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에서는 ‘매력적이다’를 유고에서는 ‘성공’을 의미하고 있으나 다른 곳에서는 ‘아프다, 가늘다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 손끝에 키스하기: 이 제스처는 유럽 여러 나라와 라틴 아메리카 여러 나라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아름답다’를 의미하며 그 대상은 여자에서 축구선수 등 사람에서 포도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 턱 두드리기: 이탈리아에서는 ‘별로 흥미 없다’나 ‘꺼져버려’라는 의미로 쓰인다. 그러나 브라질과 파라과이에서는 ‘모르겠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 머리 기울이기: 파라과이에서는 머리를 뒤로 기울이는 것은 ‘잊어버렸다’를 의미한다
⊙ 머리는 갑자기 쳐들기: 남부 이탈리아와 그리스, 말타 그리고 튀니지에서는 부정인 ‘NO‘를 의미한다. 그러나 인도에서는 긍정을 뜻하며 독일과 스칸디나비아에서는 남을 부르는 신호로 사용된다.
⊙ 미소 짓기: 인도에서는 대체로 ‘ok’ 신호로 통하며, 상담 시에는 허락하는 의미로 받아들인다
3.2. 손과 팔에서 유의해야 할 몸짓
⊙ 수평으로 물 만들기: 대부분의 유럽에서는 악령에 대한 자기 방어의 표시로 쓰이는 제스처이다. 그러나 몇몇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이의 변형된 제스처 즉 다른 사람을 향해 검지와 중지를 내미는 제스처가 쓰이고 있는데 이는 상대방에 대한 ‘악의에 찬 시선’으로 이해하고 있다.
⊙ 수직으로 물 만들기: 이탈리아에서는 ‘당신의 아내가 부정을 저지르고 있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브라질이나 라틴 아메리카의 여러 지역에서는 행운의 표시로 사용된다.
⊙ V자 표시하기: 대부분 유럽에서 손바닥을 바깥쪽을 향하여 이 제스처를 사용하면 ‘승리’ 를 손바닥을 안쪽으로 행하면 ‘꺼져버려’라는 의미로 통한다. 비영국적인 나라에서는 ‘두개’를 뜻한다.
⊙ 손짓하기: 손가락 하나를 사용해서 누군가를 부르는 것은 대부분의 중동과 극동 지방에서 ‘모욕’을 뜻한다. 이 지역 대부분의 나라와 포르투갈, 스페인, 라틴 아메리카 둥에서는손바닥을 아래로 하고 손가락들이나 손 전체를 흔들어 사람을 부르는 것이 좋다.
⊙ 손가락으로 원 만들기: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OK표시로 ‘알았다’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브라질, 남미에서는 상스러운 ‘외설’로 간주된다. 이 제스처는 그리스와 소련에서도 역시 무례한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 일본에서는 ‘돈’을 뜻하며 남부 프랑스에서는 숫자의 의미 그대로 ‘영’이나 ‘아무런 가치가 없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튜니지아: 살인의 조짐, 몰타섬: 남색, 그리스: 외설, 남성이나 여성에게 통하는 모욕, 레바논, 독일: 크다, 완벽하다, 아르헨티나, 멕시코: 좋다]
⊙ 손가락 교차하기: 유럽에서는 교차된 손가락은 ‘방어’나 ‘행운’의 의미로 많이 쓰인다.하지만 파라과이에서는 상대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 있는 좋지 않는 제스처이다.
⊙ 손가락 꺾기: 프랑스와 벨기에서는 양손의 손가락을 꺾는 것은 상스런 의미를 갖는다. 브라질에서는 이 제스처가 과거의 일을 상기시키는데 사용된다.
⊙ 손가락 하나로 가리키기: 대부분의 중동이나 극동 지역에서는 검지를 사용하여 사물을 가리키는 것은 무례하게 생각한다, 대신 손가락을 펴거나 인도네시아에서처럼 엄지로 가리키는 것이 관례다.
⊙ 두 손가락 맞대기: 이집트에서는 ‘남녀가 동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중지 내밀기: 어디서든 별로 좋지 않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로마 사람들은 중지를 ‘염치없는 손가락’으로 불렀다.
⊙ 중지 끌어들이기: 아랍지역에서 위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 손바닥으로 주먹치기: 이탈리아, 중국, 그리고 많은 다른 지역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위협으로 사용되며 주먹으로 손바닥을 치는 것도 같은 뜻이다.
⊙ 앞으로 팔 내밀기: 지중해연안 국가에서 위와 같은 비슷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영국에서는 ‘성적유혹’을 의미하기도 한다.
⊙ 엄지를 위로 올리기: 호주에서는 무례한 제스처로 여겨진다. 하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단순히 ‘OK’를 의미한다.
⊙ 펼친 손을 까딱이기: 골칫거리의 근원을 향해서 손가락을 까딱이는 이 제스처는 ‘가버려라’나‘사라져버려라’는 뜻을 가진다.
⊙ 손으로 주머니 모양 만들기: 의문이나 행운 또는 불안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탈리아에서 자주 쓰인다.
⊙ 손으로 톱질하기: 남미의 콜롬비아에서 거래상의 이익을 나눈다는 의미이다. 한 손 손바닥을 아래로 한 채 다른 한 손으로 그 위에 마치 톱질하듯 하는 몸짓이다.
⊙ 손으로 쓸어 내리기: 라틴 아메리카와 네델란드에서 마치 ‘누군가가 도둑질을 하고 있다’거나 ‘누군가가 물건을 훔쳐 달아나고 있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그러나 페루에서는 ‘돈’이나 ‘지불하라’는 의미로 쓰인다
⊙ 손 펴고 흔들기: 그리스와 나이지리아에서 ‘당신의 일이 잘 되지 않기를 바란다’ 는 모욕적인 제스처이다. 유럽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손바닥을 바깥쪽으로 펴들고 흔드는 제스처는 ‘GOOD BYE\'의 뜻이며 손 전체를 흔드는 것은 \'NO\'를 의미하고 페루에서는 ’이리로 오라‘는 뜻이다
⊙ 합장하기: 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인사법이다
⊙ 팔짱끼기: 핀란드에서 팔짱을 끼는 것은 ‘오만과 자존심의 표시로 사용된다. 그러나 피지에서는 ’경멸‘을 표시 한다
⊙ 팔꿈치 두드리기: 네델란드에서 ‘그는 믿을 수 없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콜롬비아에서는 ‘당신은 까다롭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 엄지와 중지 사이에 검지 끼어 넣기: 몇몇 유럽 국가들과 연안 나라에서 ‘경멸’을 의미하는 상스럼 제스처로 쓰인다. 그러나 브라질과 베네주
⊙ 귀 잡기: 인도에서는 ‘후회하거나 성실성, 사과하는 것‘을 스코틀랜드에서 귀를 만지는 것은불신의 뜻을 의미한다.
⊙ 코 때리기: 영국에선 비밀이나 은밀함을 나타내며, 이탈리아에서는 다정한 충고를 의미한다.
⊙ 코 흔들기: 푸에르토리코에서는 ‘무슨 일이 있느냐’는 뜻을 가진다.
⊙ 엄지로 코 밀기: 유럽에서 가장 많이 알려져 있으며 조롱을 의미한다. 양손을 사용하여 강조하기도 한다.
⊙ 코에 원 그리기: 전형적인 미국의 ok사인이 코 위로 덧붙여지는 경우 콜롬비아에서는 ‘동성연애자’임을 나타낸다
⊙ 뺨에 손가락 누르기: 이탈리아에서는 칭찬을 나타내는 제스처이다.
⊙ 뺨 두드리기: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에서는 ‘매력적이다’를 유고에서는 ‘성공’을 의미하고 있으나 다른 곳에서는 ‘아프다, 가늘다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 손끝에 키스하기: 이 제스처는 유럽 여러 나라와 라틴 아메리카 여러 나라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아름답다’를 의미하며 그 대상은 여자에서 축구선수 등 사람에서 포도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 턱 두드리기: 이탈리아에서는 ‘별로 흥미 없다’나 ‘꺼져버려’라는 의미로 쓰인다. 그러나 브라질과 파라과이에서는 ‘모르겠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 머리 기울이기: 파라과이에서는 머리를 뒤로 기울이는 것은 ‘잊어버렸다’를 의미한다
⊙ 머리는 갑자기 쳐들기: 남부 이탈리아와 그리스, 말타 그리고 튀니지에서는 부정인 ‘NO‘를 의미한다. 그러나 인도에서는 긍정을 뜻하며 독일과 스칸디나비아에서는 남을 부르는 신호로 사용된다.
⊙ 미소 짓기: 인도에서는 대체로 ‘ok’ 신호로 통하며, 상담 시에는 허락하는 의미로 받아들인다
3.2. 손과 팔에서 유의해야 할 몸짓
⊙ 수평으로 물 만들기: 대부분의 유럽에서는 악령에 대한 자기 방어의 표시로 쓰이는 제스처이다. 그러나 몇몇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이의 변형된 제스처 즉 다른 사람을 향해 검지와 중지를 내미는 제스처가 쓰이고 있는데 이는 상대방에 대한 ‘악의에 찬 시선’으로 이해하고 있다.
⊙ 수직으로 물 만들기: 이탈리아에서는 ‘당신의 아내가 부정을 저지르고 있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브라질이나 라틴 아메리카의 여러 지역에서는 행운의 표시로 사용된다.
⊙ V자 표시하기: 대부분 유럽에서 손바닥을 바깥쪽을 향하여 이 제스처를 사용하면 ‘승리’ 를 손바닥을 안쪽으로 행하면 ‘꺼져버려’라는 의미로 통한다. 비영국적인 나라에서는 ‘두개’를 뜻한다.
⊙ 손짓하기: 손가락 하나를 사용해서 누군가를 부르는 것은 대부분의 중동과 극동 지방에서 ‘모욕’을 뜻한다. 이 지역 대부분의 나라와 포르투갈, 스페인, 라틴 아메리카 둥에서는손바닥을 아래로 하고 손가락들이나 손 전체를 흔들어 사람을 부르는 것이 좋다.
⊙ 손가락으로 원 만들기: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OK표시로 ‘알았다’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브라질, 남미에서는 상스러운 ‘외설’로 간주된다. 이 제스처는 그리스와 소련에서도 역시 무례한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 일본에서는 ‘돈’을 뜻하며 남부 프랑스에서는 숫자의 의미 그대로 ‘영’이나 ‘아무런 가치가 없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튜니지아: 살인의 조짐, 몰타섬: 남색, 그리스: 외설, 남성이나 여성에게 통하는 모욕, 레바논, 독일: 크다, 완벽하다, 아르헨티나, 멕시코: 좋다]
⊙ 손가락 교차하기: 유럽에서는 교차된 손가락은 ‘방어’나 ‘행운’의 의미로 많이 쓰인다.하지만 파라과이에서는 상대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 있는 좋지 않는 제스처이다.
⊙ 손가락 꺾기: 프랑스와 벨기에서는 양손의 손가락을 꺾는 것은 상스런 의미를 갖는다. 브라질에서는 이 제스처가 과거의 일을 상기시키는데 사용된다.
⊙ 손가락 하나로 가리키기: 대부분의 중동이나 극동 지역에서는 검지를 사용하여 사물을 가리키는 것은 무례하게 생각한다, 대신 손가락을 펴거나 인도네시아에서처럼 엄지로 가리키는 것이 관례다.
⊙ 두 손가락 맞대기: 이집트에서는 ‘남녀가 동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중지 내밀기: 어디서든 별로 좋지 않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로마 사람들은 중지를 ‘염치없는 손가락’으로 불렀다.
⊙ 중지 끌어들이기: 아랍지역에서 위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 손바닥으로 주먹치기: 이탈리아, 중국, 그리고 많은 다른 지역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위협으로 사용되며 주먹으로 손바닥을 치는 것도 같은 뜻이다.
⊙ 앞으로 팔 내밀기: 지중해연안 국가에서 위와 같은 비슷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영국에서는 ‘성적유혹’을 의미하기도 한다.
⊙ 엄지를 위로 올리기: 호주에서는 무례한 제스처로 여겨진다. 하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단순히 ‘OK’를 의미한다.
⊙ 펼친 손을 까딱이기: 골칫거리의 근원을 향해서 손가락을 까딱이는 이 제스처는 ‘가버려라’나‘사라져버려라’는 뜻을 가진다.
⊙ 손으로 주머니 모양 만들기: 의문이나 행운 또는 불안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탈리아에서 자주 쓰인다.
⊙ 손으로 톱질하기: 남미의 콜롬비아에서 거래상의 이익을 나눈다는 의미이다. 한 손 손바닥을 아래로 한 채 다른 한 손으로 그 위에 마치 톱질하듯 하는 몸짓이다.
⊙ 손으로 쓸어 내리기: 라틴 아메리카와 네델란드에서 마치 ‘누군가가 도둑질을 하고 있다’거나 ‘누군가가 물건을 훔쳐 달아나고 있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그러나 페루에서는 ‘돈’이나 ‘지불하라’는 의미로 쓰인다
⊙ 손 펴고 흔들기: 그리스와 나이지리아에서 ‘당신의 일이 잘 되지 않기를 바란다’ 는 모욕적인 제스처이다. 유럽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손바닥을 바깥쪽으로 펴들고 흔드는 제스처는 ‘GOOD BYE\'의 뜻이며 손 전체를 흔드는 것은 \'NO\'를 의미하고 페루에서는 ’이리로 오라‘는 뜻이다
⊙ 합장하기: 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인사법이다
⊙ 팔짱끼기: 핀란드에서 팔짱을 끼는 것은 ‘오만과 자존심의 표시로 사용된다. 그러나 피지에서는 ’경멸‘을 표시 한다
⊙ 팔꿈치 두드리기: 네델란드에서 ‘그는 믿을 수 없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콜롬비아에서는 ‘당신은 까다롭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 엄지와 중지 사이에 검지 끼어 넣기: 몇몇 유럽 국가들과 연안 나라에서 ‘경멸’을 의미하는 상스럼 제스처로 쓰인다. 그러나 브라질과 베네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