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CU에 있는 환자 전체적인 파악이 중요하기에, 세세한 환자파악 부분은 2군보다 오히려 부족했고, 응급상황에서도 대처방법은 알고 있으나, acting 보다는 charting위주로 M3에 속하는 행동양상을 보였다. 관점은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물품 및 제고 관리 등, 매달 현황을 파악하여, 중환자실 물품관리, 약 관리까지 담당하기에 M4로 진단하였다. 위치 및 자아 인식 면에서는 성숙한 위치에 속하나 수간호사나 간호부 전체로 보았을 때는 하위 그룹으로 종속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중환자실에 특별한 일이 발생 하면, 바로 보고할 수 있는 보고체계를 가지고 있다. 자아인식, 자기통제 또한 1,2군 보다 앞서는 M3로 진단하였다.
이상으로 1군부터 3군까지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와 같다
특성
1군
2군
3군
작업태도
M1
M3
M4
의존성
M1
M3
M4
행위
M2
M4
M3
흥미
M2
M3
M3
관점
M2
M3
M4
위치
M1
M3
M3
자아인식
M2
M2
M3
최빈값
M2
M3
M3
결론적으로 아지리스 미성숙, 성숙 이론을 최빈값으로 진단했을 때 MICU는 M2에서 M3에 속한다.
3. 지도자의 적절한 행동유형
: 시스템 진단이 이루어지면 거기에 적합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찾아낼 수 있다
이 연결은 지도자의 행동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여기서 우리는 오하이오 주립대학 연구팀의 모델을 이용하여 지도자의 행동을 논의할 것이고, 시스템 진단에 이용되었던 이론을 근거로 다음 표와 함께 결합된다.
Ⅱ.사분면
높은 배려
낮은 구조주도
LB3
Ⅰ.사분면
높은 배려
높은 구조주도
LB2
Ⅲ.사분면
이상으로 1군부터 3군까지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와 같다
특성
1군
2군
3군
작업태도
M1
M3
M4
의존성
M1
M3
M4
행위
M2
M4
M3
흥미
M2
M3
M3
관점
M2
M3
M4
위치
M1
M3
M3
자아인식
M2
M2
M3
최빈값
M2
M3
M3
결론적으로 아지리스 미성숙, 성숙 이론을 최빈값으로 진단했을 때 MICU는 M2에서 M3에 속한다.
3. 지도자의 적절한 행동유형
: 시스템 진단이 이루어지면 거기에 적합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찾아낼 수 있다
이 연결은 지도자의 행동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여기서 우리는 오하이오 주립대학 연구팀의 모델을 이용하여 지도자의 행동을 논의할 것이고, 시스템 진단에 이용되었던 이론을 근거로 다음 표와 함께 결합된다.
Ⅱ.사분면
높은 배려
낮은 구조주도
LB3
Ⅰ.사분면
높은 배려
높은 구조주도
LB2
Ⅲ.사분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