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오리엔탈리즘. 옥시덴탈리즘
2. 아시아적 가치 Asiatic values
3. 인문정신 논쟁
4. 자유주의와 신좌파 논쟁
2. 아시아적 가치 Asiatic values
3. 인문정신 논쟁
4. 자유주의와 신좌파 논쟁
본문내용
사회에 대한 폄하. 열등적인 느낌. 타락. 포지티브보다
광범위 하게 쓰임
-자아 오리엔탈리즘: 동양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실제에 부합하지 않는 새로운 이미지를 만 들고 이를 서양인들에게 보여주려고 하는 경향 ex)장위모 감독
2)옥시덴탈리즘
-관변옥시덴탈리즘: 천샤오메이가 주장
<문명의 충돌> 헌팅턴
-문명을 서양과 이슬람, 동아시아의 문화로 나누고 이들이 충돌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서양 문화를 우월하게 보이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신흥공업국: 아시아의 4마리의 작은 용- 홍콩, 한국, 타이완, 싱가포르
-아시아적 가치: 인치(仁治)/인정(仁政) 등으로 인해 서구의 노사문제 등이 발생하지 않음.
-그러나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아시아적 가치가 이러한 금융위기를 불러왔으며, 관료주의와 족벌자본주의 등을 만들어 냈다고 말함.
-급속하게 발전하는 동양사회에 서양인들이 대항하기위해 만든 것이 ‘아시아적 가치’라고 볼 수도 있음.
-시장경제체제의 확산: 서양문화의 확산
2)논쟁의 초점
-인문정신이 퇴색되었는가?
:대부분 그렇다고 봄. 시장경제체제와 과학적 가치관으로 대표되는 물질만능주의가 그렇게 만들었다고 봄
-과거 전통 문화 가운데 인문정신이란 것이 존재했었는가?
:인문정신이 존재했었다
- 인문정신이 퇴색했었다고 주장하는 대부분의 사람들. 윤리의식, 위계의식 등을 말함.
:인문정신이 존재하지 않았다
- 인문정신이 아니라 문인정신이 아니냐. 사실상 계급의식이 아니냐. 동양사상에는 휴머니즘이 없었음.
*휴머니즘의 대표적인 두 요소
1)이인위본(以人僞本)
2)이민위본(以民僞本)
-서구는 이러한 휴머니즘에서 시민정신이 나오고, 이를 통해 민주국가를 건립하여, 경제발전을 이루었음
-동양의 인문정신과 서양의 휴머니즘은 동양과 서양의 사회적 배경이 다른 만큼 서로 달라야 한다고 생각함
*계몽-자유주의와 연결
*구국-신권위주의와 연결(현재 중국의 입장)
-소련과 동유럽의 붕괴를 보고 자유주의자들은 반성하고 온건한 방향으로 선회를 하게 됨.
*신좌파와 구좌파의 차이점(둘이 별로 연결고리가 없음)
-빈부격차를 해소한다는 측면에서 비슷한 부분이 있으나 차이가 많음
-구좌파의 이론은 진부하고 효력이 상실한 것이나, 신좌파는 현실에서부터 출발한 것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음.
-레닌과 스탈린식의 구좌파의 이론은 현대 마르크스의 이론에 비해 매력이 없다고 말함.
-신좌파는 정치활동과 거리를 두고 있다.
<신좌파와 자유주의의 논쟁>
1. 신좌파- 중국사회는 자본주의
자유주의- 중국사회는 사회주의
2. 신좌파- 서구병과 시장병으로 봄
지유주의- 권력병(사회주의 체제에서 나오는 병)으로 봄
3.역사에 대한 평가
-신좌파: 5.4운동을 서구에 대한 무조건적인 추종으로 봄
신좌파의 중점: 시장경제에 대한 비판
자유주의자의 중점: 정치제도에 대한 개혁
신좌파이론의 한계
-도시화 문제나 환경오염 문제 등, 공공의 복리에 관한 문제가 정치체제에 관련이 되어 있다는 점을 언급하지 않는다는 점은 한계로 볼 수 있음.
-역사와 사상의 이면에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보길 바라며 강의를 마침
광범위 하게 쓰임
-자아 오리엔탈리즘: 동양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실제에 부합하지 않는 새로운 이미지를 만 들고 이를 서양인들에게 보여주려고 하는 경향 ex)장위모 감독
2)옥시덴탈리즘
-관변옥시덴탈리즘: 천샤오메이가 주장
<문명의 충돌> 헌팅턴
-문명을 서양과 이슬람, 동아시아의 문화로 나누고 이들이 충돌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서양 문화를 우월하게 보이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신흥공업국: 아시아의 4마리의 작은 용- 홍콩, 한국, 타이완, 싱가포르
-아시아적 가치: 인치(仁治)/인정(仁政) 등으로 인해 서구의 노사문제 등이 발생하지 않음.
-그러나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아시아적 가치가 이러한 금융위기를 불러왔으며, 관료주의와 족벌자본주의 등을 만들어 냈다고 말함.
-급속하게 발전하는 동양사회에 서양인들이 대항하기위해 만든 것이 ‘아시아적 가치’라고 볼 수도 있음.
-시장경제체제의 확산: 서양문화의 확산
2)논쟁의 초점
-인문정신이 퇴색되었는가?
:대부분 그렇다고 봄. 시장경제체제와 과학적 가치관으로 대표되는 물질만능주의가 그렇게 만들었다고 봄
-과거 전통 문화 가운데 인문정신이란 것이 존재했었는가?
:인문정신이 존재했었다
- 인문정신이 퇴색했었다고 주장하는 대부분의 사람들. 윤리의식, 위계의식 등을 말함.
:인문정신이 존재하지 않았다
- 인문정신이 아니라 문인정신이 아니냐. 사실상 계급의식이 아니냐. 동양사상에는 휴머니즘이 없었음.
*휴머니즘의 대표적인 두 요소
1)이인위본(以人僞本)
2)이민위본(以民僞本)
-서구는 이러한 휴머니즘에서 시민정신이 나오고, 이를 통해 민주국가를 건립하여, 경제발전을 이루었음
-동양의 인문정신과 서양의 휴머니즘은 동양과 서양의 사회적 배경이 다른 만큼 서로 달라야 한다고 생각함
*계몽-자유주의와 연결
*구국-신권위주의와 연결(현재 중국의 입장)
-소련과 동유럽의 붕괴를 보고 자유주의자들은 반성하고 온건한 방향으로 선회를 하게 됨.
*신좌파와 구좌파의 차이점(둘이 별로 연결고리가 없음)
-빈부격차를 해소한다는 측면에서 비슷한 부분이 있으나 차이가 많음
-구좌파의 이론은 진부하고 효력이 상실한 것이나, 신좌파는 현실에서부터 출발한 것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음.
-레닌과 스탈린식의 구좌파의 이론은 현대 마르크스의 이론에 비해 매력이 없다고 말함.
-신좌파는 정치활동과 거리를 두고 있다.
<신좌파와 자유주의의 논쟁>
1. 신좌파- 중국사회는 자본주의
자유주의- 중국사회는 사회주의
2. 신좌파- 서구병과 시장병으로 봄
지유주의- 권력병(사회주의 체제에서 나오는 병)으로 봄
3.역사에 대한 평가
-신좌파: 5.4운동을 서구에 대한 무조건적인 추종으로 봄
신좌파의 중점: 시장경제에 대한 비판
자유주의자의 중점: 정치제도에 대한 개혁
신좌파이론의 한계
-도시화 문제나 환경오염 문제 등, 공공의 복리에 관한 문제가 정치체제에 관련이 되어 있다는 점을 언급하지 않는다는 점은 한계로 볼 수 있음.
-역사와 사상의 이면에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보길 바라며 강의를 마침
추천자료
자연관에 대한 동양철학적 이해와 서양철학적 이해 비교
노자의 사상 [인문과학]
[인문과학] 유가사상에 대해서
불교사상의 기본 이론
동서양사상에서의 환경윤리 비교
공자사상의 현대적 재해석
[주자, 주자의 사상] 주자의 사상과 철학
<노장사상> 독후감
[도가사상]道(도)의 정의, 道(도)의 깨달음, 도가사상(노장사상)의 개념, 도가사상(노장사상)...
인간과 자연의 관계문제 (동양 자연관)
[인간관][서양][동양][성리학][유교][불교][원불교][기독교][인간]서양의 인간관, 동양의 인...
[중화사상, 중화사상 의미, 중화사상 역사, 중화사상의 민족중심문화, 중화사상의 우월의식, ...
한용운(韓龍雲)이 말하는 사상 연구 - 침묵에 관한 연구, 시에 나타난 님의 견해, 승려 한용...
한중일 삼국의 ‘개화기’ 역사의 철학적 고찰 (동양 삼국의 철학과 서구 철학의 충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