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요약 및 정리 - 제 1장. 말에도 고향이 있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요약 및 정리 - 제 1장. 말에도 고향이 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제 1장. 말에도 고향이 있다

5. 방언의 분포는 어떻게 확인하나
(1) 방언의 분포

6. 방언 분포를 표시하는 방법
(1) 언어지도(linguistic map)
(2) 언어지도의 종류
(3) 방언구획

7. 방언은 어떻게 생기는가?
(1) 이주설
(2) 파문설

8. 방언을 조사하는 방법
(1) 조사방법
(2) 조사문항
(3) 질문지
(4) 질문법
(5) 조사지점
(6) 제보자
(7) 전사(轉寫; transcription)

- 돌아보기(문제 풀이) -

본문내용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제 1장. 말에도 고향이 있다
5. 방언의 분포는 어떻게 확인하나
지리적 제약 - 거주민간의 교통과 왕래를 차단하는 지리적 장애 (높은 산, 강, 바다 등)
⑴ 방언의 분포
등어선 - 서로 다른 언어적 특징을 지닌 두 지역을 가르는 분계선
① 방언 경계가 단순한 경우
㉠ 단선 등어선 : 두 가지 변종이 나타나는 두 지역 사이를 통과하는 하나의 등어선
㉡ 복선 등어선 : 서로 마주하고 있는 두 지점이 대립적인 변종을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변종을 사용하는 지점들을 이은 두 개의 등어선
② 방언 경계가 복잡한 경우
㉠ 부채꼴 등어선 : 산이나 강 등의 지형적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 잇는 경우 방언의 경계가
극단적으로 분기하여 마치 부채살 같은 모양이 나타나는 경우
㉡ 교차 등어선 : 여러 가지 언어 특징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등어선 마다 저마다의
흐름을 가진 언어 현상을 나타냄
③등어선속 - 여러 개의 등어선이 동일한 지점에 형성되는 현상
6. 방언 분포를 표시하는 방법
⑴ 언어지도(linguistic map)
①특정한 언어현상이 개별지역에서 어떤 방언형으로 나타나는가를 보여주는 지도로,
여러 방언의 지리적 분포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 만든다.
②여러 방언 분화형들의 지리적 분포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어떤 방언형이 가장 큰 세력을 지니고
있는가 그리고 어디를 분기점으로 하여 방언이 분화되는가, 그리고 그 방향이 어디로인가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려는 목적으로 작성된 지도이다.
③언어지도첩(linguistic atlas): 개별적인 언어지도를 종합해서 만든 책.
(예) <한국 언어 지도집>(학술원, 1993)
⑵ 언어지도의 종류 -분류 기준: 방언자료를 기입하는 방법
①진열지도(display map)
조사된 방언형을 그대로 생생하게 써놓거나, 특수한 기호나 또는 번호를 이용하여 조사된 방언형
을 해당지역에 기입해 넣는 방식을 취한다.
때로는 지도가 너무 복잡하여 지도를 판독하거나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며 지도를 작성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따르게 된다.
방언형의 기입 방식에 따라 음성기호지도, 도안형지도, 천연색지도, 분포도지도 형식이 있다.
②해석지도(interpretive map)
희귀한 어형은 빼버리고 우세한 분화형을 중심으로 지도상에 그 분포를 그려 넣음으로써 방언분
화의 분포추이를 표시한 지도.
방언의 분포를 한눈에 볼 수 있음.
⑶ 방언구획
① 일정한 지역을 몇 개의 독자적인 방언권으로 나눈 일. 전국적이고 철저한 방언조사를
전제로 한다.
② 우리나라의 방언구획: 서울경기도 방언, 강원도방언, 충청도방언, 전라도방언, 경상도방언,
제주도방언, 평안도방언, 함경도방언. (총 8개)
③ 방언경계
방언권의 경계. 등어선에 의해서 결정됨.
등어선의 두께가 클수록(방언차가 클수록) 그 방언권의 경계는 확실하고 각각의 지역은 독자적인
방언권으로 나누어짐.
7. 방언은 어떻게 생기는가?
방언은 어떻게 생기는가? = 언어는 어떻게 분화하는가?
⑴ 이주설: 민족의 이주에 의한 언어분화 (가장 일반적)
예) 기원전 1000년경에 동으로는 인도, 서로는 서유럽까지 진출한 인구어족.
만주의 홍안련 산맥 근처에서 분화되어 나온 알타이 언어.
⑵ 파문설: 수도의 언어가 지방으로 퍼져 나가는 과정을 물결의 전파에 빗대어 설명하는 것
① 개신파 - 주위로 퍼져 나가는 언어현상,
② 방사 원점 - 언어가 퍼져 나가는 중심지
-개신파는 방사 원점을 중심으로 하여 교통을 따라서 주위로 퍼져간다.
-지리적 제약(지형적 장애)과 사회적 인력에 따라 방사의 속도가 정해진다.
전이지대: 두 방원권의 접촉지대(두 곳의 강력한 개신파가 겹쳐지는 지역)
예) 경북 방원권의 중심인 대구와 경남 방원권의 중심인 부산 사이에 있는 밀양, 청도
잔재지역: 언어 변화의 영향권 밖에 남겨진 지역(지리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지역)
예) 제주도
8. 방언을 조사하는 방법
⑴ 조사방법
직접조사
간접조사
정의
일정한 훈련을 받은 조사자가 직접 방언 사용지역에 가서 방언을 조사하는 방식. (cf. 현지조사)
조사의 내용을 질문지 형식으로 만들어 방언 사용자에게 우송한 후 이를 회수하여 자료를 모으는 방식. (cf. 통신조사)
장정
정확하고 충실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짧은 시간에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할 수 있다.
단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
자료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없다.
※ 현재 : 자료의 정확도를 위해서 조사자의 수를 늘여서라도 현지조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⑵ 조사문항
유 형
어휘
농사(123)
경작, 타작, 도정, 곡물, 채소 등
음식(104)
주식, 부식, 별식, 그릇, 부엌 등
가옥(94)
가구, 방, 건물, 마당, 우물 등
의복(61)
복식, 세탁 등
인체(198)
머리, 얼굴, 눈, 코, 귀, 세수, 상체, 하체, 병, 질병, 생리 등
육아(70)
발달, 재롱, 놀이 등
기타
인륜(59), 경제(114), 동물(172), 식물(81), 자연(79), 상태(88), 동작(227)
문법
대명사, 조사, 경어법, 시제, 피동사동, 연결어미, 보조용언, 부사
음운
단모음(6), 이중모음(31), 음장성조(127), 억양(4), 자음탈락(4), 불규칙활용(47), 자음축약(5), 경음화(4), 비음절화(21), 모음조화(9), 움라우트(42), 외래어(14)
※참고
① 자음탈락: 형태소 내부에서 자음이 탈락하는 현상.
(예: 솔나무 → 소나무, 딸님 → 따님)
② 자음축약: 자음과 자음이 이웃한 상태에서 두 소리가 하나의 소리로 합하여지는 것.
(예: 착하니 [차카니], 각하 [가카], 놓다 [노타], 않던 [안턴], 싫지 [실치])
③ 경음화(=된소리되기): 예전에 예사소리였던 것이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
(예: 곶 → 꽃, 곳고리 → 꾀꼬리)
④ 움라우트: 단어 또는 어절에 있어서, ‘ㅏ’, ‘ㅓ’, ‘ㅗ’ 따위의 후설 모음이 다음 음절에 오는 ‘ㅣ’ 나 ‘ㅣ’계(系) 모음의 영향을 받아 전설 모음 ‘ㅐ’, ‘ㅔ’, ‘ㅚ’ 따위로 변하는 현상.
(예: 잡히다 → 잽히다, 먹히다 → 멕히다, 녹이다 →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9.24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6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