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아동교육사상을 읽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통아동교육사상을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고 하는 것이며, 셋째, 아동교육과 구별하여 유아의 발달상 특징을 고려하여 절제나 절도를 강조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4. 유교의 아동교육관
유교에서 말하는 소학 교육기는 오늘의 아동 교육기, 소년 교육기에 해당된다. 소학 교육기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면 소학 교육은 인간 교육의 기본 교육이며, 그 방법은 물 뿌리고 쓸고 응대하는 등의 일상생활 속에서의 실천을 통한 교육인 것이다. 소학의 의의는 근본배양에 있다고 하였다.
아동교육의 시작은 태교며, 아동의 특성은 생각과 뜻이 확실히 굳어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 시기의 교육은 좋은 말과 타당한 생각들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려주어야 하고, 그렇게 하여 습관이 될 때 아동의 마음이 스승의 교육내용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다고 보았다. 또 아동교육은 나무를 키우는 것과 같다고 했다. 나무도 미리 어릴 때 전지해 주어야 큰 재목으로 자랄 수 있듯이, 아동교육도 어릴 때부터 적극적으로 간하여 나쁜 행동과 생각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해아 한다는 것이 유교 교육의 원리다.
제 6절 동학과 아동교육
1. 동학의 인간관
동학의 인간관은 동학의 신관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동학사상의 본질은 동학의 신관을 이해함으로써 파악될 수 있으며 동학의 신관은 수운의 관점과 해월의 관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수운의 신관을 알아보면 첫째, 신의 명칭은 \'한울(님)‘ 이고, 한자 표기로는 天(主) 또는 上帝이다. 둘째, 한울은 초월적이며, 인격적인 존재다. 그리하여 인간에게 말을 하 룻 있고, 계시도 내려줄 수 있다. 셋째, 한울은 자연의 이법으로도 나타난다. 자연의 변화와 운행법칙이 다 한울로 인한 것이다. 넷째, 한울은 인간의 ’몸‘ 속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이사의수운의 신관을 정리해보면 신인 한울은 추월적인 존재로서, 인간과 자연이 다 한울로 인하여 생사성쇠를 거듭하고 있다. 그런데 인간은 다른 생물들보다 신령스런 존재로 바른 마음과 기운으로 하늘을 모실 수 있다.
2. 동학의 아동관
해원은 ‘사람이 바로 한울’ 이며, “한울과 땅과 사람이 모두 한 이치와 기운일 따름이다.” 라는 천ㆍ지ㆍ인의 유기적 우주관, 인간관 아래 xi아의 임신 및 출생, 성장이 단지 인간만의 일이 아닌 천지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우주적인 일’ 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3. 소파 방정환의 아동관
동학 사상이 어떻게 근대적 사상으로 변모되었는가를 소파 방정환의 아동교육사상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소파의 아동운동은 크게 출판운동, 예술문화운동, 소년단체조직 등의 세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소파의 아동운동을 아동교육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양자의 목적이 모두 아동의 올바른 성장과 발달이라는 점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소파의 소년운동을 한국 전통 아동교육사상의 탐구라는 큰 주제 하에서 고찰하는 이유는 바로 그의 아동교육운동을 뒷받침하는 사상적 기반이 그의 종교였던 동학이기 때문이다.
유교적인 관점에서의 아동교육에서는 성인과 아동의 서열을 중시했으며, 그러한 사상을 전 일상생활 영역에서 행동으로 습관화시키는 것이 유교 아동교육의 목표였다. 이와 같은 유교의 가치관이 지배하는 전통사회에서는 ‘장유유서’라는 덕목이 아동의 사회적 위치나 ‘바람직한’ 아동관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즉, 이러한 덕목이 지배하는 사회에서의 바람직한 아동은 ‘애다운 애’이며, 이 ‘애답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어른과의 관계 속에서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소파의 아동관과 아동교육관을 살펴보면, 동학에서는 ‘사람이 곧 한울’이라고 하였지만 소파에게서는 ‘어린이가 곧 한울’이었다. 소파가 장래의 어머니가 될 또는 이미 어린이의 어머니가 된 여성을 대상으로 쓴 「어린이 찬미」에서 그는 어린이를 “한울 뜻 그대로의 산 한우님”이라고 하였고, 그의 얼굴에서 “한우님의 얼굴”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어린이가 자는 모습을 그는 “어린 한우님이 편안하고 고요한 잠을 자는” 이라 표현하였고, 어린이의 세계, 그것은 곧 “죄 없고 허물없는 평화롭고 자유로운 한울나라”이며, 그 세계에서 어린이가 부르는 노래는 “한울의 소리”, 어린이가 뛰노는 모양은 “그대로가 한울의 자태” 라고 보았던 것이다. 이것이 소파의 아동관이다. 그리고 이러한 소파의 아동관은 앞서 살펴보았던 사인여천, 인내천 사상에 바탕한 동학적 아동관의 계승이라 할 수 있다.
4.소파 방정환의 아동교육관
소파는 아동관에 대해 성선의 입장에 있다. 그는 천도교회의 간부인 조정호에게 보낸 편지에서 “
  • 가격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10.13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