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의 중요성, 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의 실태, 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의 악기, 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의 주법지도, 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 관련 시사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의 중요성, 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의 실태, 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의 악기, 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의 주법지도, 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 관련 시사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의 중요성과 실태

Ⅲ. 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의 악기
1. 꽹과리
2. 징
3. 장구
4. 북

Ⅳ. 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의 주법지도
1. 사물 악기의 기본 주법 지도
1) 꽹과리
2) 장구
3) 북
4) 징
2. 장단
1) 꽹과리 기본 가락
2) 징 기본 장단
3) 장구 기본 장단
4) 북의 기본 장단

Ⅴ. 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 관련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노루가죽을 대 가죽이 좀 두껍고 소리가 낮으며, 오른쪽(채편)은 보통 말가죽이나 개가죽을 대 가죽이 얇고 높은 소리를 낸다. 가죽으로는 개가죽이 소리도 크고 제일 좋다. 장구의 통은 사기, 기와, 쇠, 나무, 바가지, 양철 따위를 쓰는데, 보통 미루나무와 오동나무를 많이 쓰고, 오동나무가 가벼우며 소리도 좋다.
장구통의 궁통과 채통을 이어 주는 곳을 조롱목이라 하는데, 조롱목이 너무 넓으면 소리가 헤프고, 조롱목이 너무 좁으면 소리가 되바라진다. 장구통을 만드는 방법에 따라 통째로 깎아 만든 통장구와 나무조각을 깎아서 보통 두 쪽 내지 세 쪽으로 맞춘 쪽장구가 있다. 철테(원철) 둘레에 8개의 쇠고리(쇠갈고리, 구철)를 걸어 무명을 꼬아 만든 줄(숫바, 홍진사, 축승)로 얽어매고, 죔줄(축수, 부전)을 좌우로 움직여 소리를 조절한다.
장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려 문종 30년(1076년)에 대악관현방(大樂菅絃房)을 정할 때 장고업사(杖鼓業師 : 장구 연주자라는 뜻)가 있었다고 한다. 지금의 장구보다 작은 크기의 장구를 요고(腰鼓)라 하고 인도에서 만들어져 중국 남북조 시대를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왔다고 하며, 고구려 집안현 제4호 무덤벽화와 신라 상원사 동종의 아래쪽에 그려진 주악도, 그리고 감은사지 청동제 사리기 기단에 그려진 그림(통일신라 신문왕 2년, 682년)에서 볼 수 있다.
장구가 요즘에 쓰이는 형태로 크기가 커진 것은 고려 때로 추측되며, 장구가 중국에서 만들어져 우리나라로 전해진 것에 대하여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중국 한 무제 때 만들어져 고려 예종왕 9년 송나라에서 새로운 악기가 들어올 때 장고이십면(杖鼓二十面)이 포함된 기록이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장구가 중국 당나라 때부터 쓰여 고려 때 들어왔다는 견해가 있다.
『고려사악지』의 [당악기조], [향악기조]에 각각 장고가 들어 있고, 조선 세종 때 『악학궤범』 에 의하면 장구(장고라 쓰였지만 여기서는 장구로 통일함)가 당악과 향악에 어울려 쓴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장구는 처음에 당악(당에서 들어온 음악), 향악(옛날부터 내려오는 우리의 음악)에 쓰였으며 지금은 정악, 산조, 잡가, 민요, 풍물굿, 무악 등 거의 쓰이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이다. 그리고 장구의 옛날 꼴로 생각되는 물장구, 모래장구도 있었다고 한다.
장구의 채로는 궁채(궁글채)와 열채(가락채)가 있는데, 궁채는 대나무 뿌리를 잘 삶아서 똑바로 편 다음, 끝부분에 박달나무와 같이 단단한 나무 또는 뿔을 끼워서 만들고, 열채는 대나무를 깎아서 만든다. 두 손으로 치기 때문에 가장 다양한 소리를 내 어깨춤이 절로 나게 만든다. 분위기를 흐드러지게 하고 풍성하게 만드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악기이며, 민요나 춤 장단을 칠 때는 궁편을 손으로 치기도 한다. 장구를 메는 방법도 지역이나 사람마다 다르고, 그 나름의 맛을 제각기 갖고 있다.
4. 북
북은 꾸밈새가 간단한 까닭으로 그 역사가 오래되고 세계 어디에서나 그 발생을 볼 수 있으며 각 민족의 특징을 지니며 발달했다. 곳과 쓰임에 따라서 여러 가지 종류가 전해져 내려오는데, 풍물굿의 악기 가운데에서 북은 가장 오래된 악기다. 그 까닭은 청동기시대 이전의 목축시대에 만들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악기기 때문이다.
풍물굿에 쓰이는 북은 어깨에 메기가 간편하고 소리가 옹골찬 것을 주로 쓴다. 오동나무나 미루나무의 가운데를 파내고 양편에 소가죽이나 말가죽을 대고 양쪽 가죽을 줄로 엮고 조여서 만든다. 요즘은 나무판을 엮어서 만드는 것이 대부분이다.
북은 잔가락을 운영하는 것이 주가 아니므로 다양한 가락의 연주보다는 박을 힘 있게 짚어 가면서 그 기상을 힘찬 춤으로 펼쳐 나간다. 북은 치는 방법에 따라 보통 왼쪽 어깨에 메고 치는 외북과, 북을 허리에 북끈으로 고정시키고 두 손에 두 개의 북채를 잡고 치는 쌍북이 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춤 위주의 외북을 치고, 쌍북은 상대적으로 가락에 치중한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장구가 발달하여 북소리를 장구의 궁편으로 대신하는 경우가 많으나, 경상도에서는 북이 발달하여 장구의 역할이 감소한다. 따라서 북놀음이나 북가락은 경상도 지방에서 많이 발달되었으며, 전남 진도의 북춤에서는 두 손에 북채를 들고 추는 춤사위가 뛰어나다. 북의 크기도 곳에 따라 다르다. 대체로 경상도 북은 크고 넓으며 전라도 북은 작은 편이다. 북치는 사람의 자리도 경상도에서는 꽹과리, 징 다음에 선다.
Ⅳ. 사물놀이지도(사물놀이교육)의 주법지도
1. 사물 악기의 기본 주법 지도
1) 꽹과리
*잡는 방법-끈을 매는 한 개의 구멍을 통하여 작은 고리를 만들어 엄지손가락에 거는 방법과 두 줄을 엄지손가락에 걸고 돌려서 잡는 방법이 있다. 집게손가락을 쇠의 안쪽에 넣어 받치며, 나머지 손가락을 자연스럽게 펼친다.
*연주법-꽹과리를 가슴 중앙의 위치에 오도록 하고, 보통 꽹과리의 중앙보다 조금 윗부분을 친다. 가락을 칠 때는 꽹과리면과 나란히 굴려 친다. 왼손은 꽹과리의 안쪽 바닥에 대거나 떼는 동작을 함으로써 소리를 조절한다. 음의 조절 방법은 대부분 오른손으로 치기 직전에 대고 뗀다.
부호와 구음
연주 방법

갱, 갠
옆에서 바르게 쳐서 울음을 연다. 강하게 친다.


옆에서 바르게 쳐서 울음을 연다. 약하게 친다.


치고 난 후 울림판을 막는다.


울림판을 막고 친다.
°○
지갠 그랑
감아친다.
2) 장구
*궁채와 열채 잡는 방법-궁채는 채의 윗부분을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사이에 넣어 잡고,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사이에 끼고 가볍게 감싼다. 열채는 엄지와 검지로 잡고, 다른 손가락으로 가볍게 감싸 쥔다.
-궁편 주법 기능-
부호와 구음
연주 방법


울음을 연다.

구르르르....
굴려 쳐서 뒤를 흘린다.
○○
구궁
감아친다.
○○○
구르궁
겹으로 감아친다.
-채편 주법 기능-
부호와 구음
연주 방법

딱, 닥
열채로 채편을 친다.


열채 끝으로 친다.

다르르르....
열채 끝으로 굴려친다.
○○
기닥
감아친다.
※덩(합장단) : 열채와 궁글채로 채편과 궁편을 동시에 친다.
3) 북
*연주자세-북을 왼쪽 무릎에 올려놓고 치기도 하지만 발목 위에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9.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2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