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포츠와 정치의 개념
2. 스포츠 정치화의 기원
3. 스포츠의 정치적 기능
4. 스포츠와 정치의 관계
5. 스포츠의 정치화(올림픽의 정치화) 사례
참고문헌
2. 스포츠 정치화의 기원
3. 스포츠의 정치적 기능
4. 스포츠와 정치의 관계
5. 스포츠의 정치화(올림픽의 정치화)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리, 부정 등을 은폐하는 수단으로 정체체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포츠정치사회화의 결과 스포츠가 바람직한 방향에서 정치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전한 국민의 정치태도를 형성한다. 즉 스포츠 활동은 일반사회에서 요구하는 법적 장치 내에서 애국심, 민족애, 협동정신, 봉사정신, 준법정신을 고양시킴으로써 국민일체감, 시민의무감, 정치신뢰, 정치효능, 정치참여 등 국민의 건전한 정치태도를 형성한다.
둘째, 민족단합 및 사회통합을 유도한다. 즉 스포츠는 일정한 규칙 하에서 이루어지는 경쟁적 신체활동이기 때문에 국제경기에서의 승리를 통하여 타민족 타 국가에 대한 민족적 자긍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민족단합, 사회통합을 유도할 수 있다. 셋째, 이데올로기적 정통성의 확보이다. 우수한 운동선수, 지도자, 시설, 용구, 정책 등을 통하여 정치체제와 이데올로기의 정통성에 대한 신념을 국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인류공영 및 세계평화에 기여한다. 즉 문화, 예술분야처럼 민간 외교적 활동으로서 올림픽 또는 세계선수권대회에서의 운동경기, 인권보호운동 인종차별철폐운동, 여성해방운동, 핵확산금지운동에의 참여를 통하여 인류공영 및 세계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최영란, \"스포츠참여와 정치태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체육학과 논문, 1989.05.
5. 스포츠의 정치화(올림픽의 정치화) 사례
1896 아테네
- 그리스가 지중해와 에게해에서의 터키 침략정책을 국내외에 폭로하여 저지하겠다는 정치적 의미가 내포되어 결국 터키는 그리스와의 적대관계로 인하여 불참
- 마라톤 경기를 클라이막스 경기로 계획하여 그들이 서양문화를 보존하고 있음을 서구 세계에 보여주고 아울러 지중해와 에게해에서 터키의 침략정책을 계속해서 저지하겠다는 결의를 나타낸 경기
1900 안트워프
- 올림픽 개최에 필요한 경비를 확보하지 못하여 독립된 국제대회가 되지 못하자 파리의 국제박람회를 위한 부속행사로 전락.
- 원리 1900년 7월 14일로 예정되었던 개최일자가 프랑스 혁명 기념일이라는 이류로 경기 개막일이 다음날로 연기되었으나 그날은 미국인들에게 안식일이었으므로 미국선수 중 일부는 불참.
1904 세인트루이스
- 일본해군이 러시아 함대를 침몰시키고 함대를 해산시키자 이러한 불길한 국제정세에 대비하여 영국과 프랑스는 불참.
1908 런던
- 스웨덴, 핀란드, 미국의 국기를 게양하지 않자 스웨덴의 일부선수들은 즉각 철수하였으나, 핀란드는 국제적인 관심을 얻기 위해 출전.
- 입장 행렬시 미국의 기수가 영국의 국왕(에드워드 7세)에게 고개를 숙이지 않자 영국과 미국의 적대관계가 과열됨.
- 영국의 식민지인 인도와 남아프라카가 영국 시민들 앞에 독립된 대표단으로 출전하여 대영제국내의 관계변화를 시사함.
1912 스톡홀롬
- 미국 팀의 짐 도프(Jim Thorpe)는 10종경기와 5종경기를 승리하였으나 과거 프로야구 선수로 활약했던 것이 밝혀져 그의 우승과 영광이 반납.
1916 베를린
- 세계대전으로 인해 올림픽 중단
1920 안트워프
- 세계대전을 일으킨 당사국인 독일, 오스트리아, 터키의 출전이 금지되었고, 구소련 역시 IOC기구 및 조직에 대한 서방국가와의 견해 차이로 초청되지 못함.
1924 파리
- 안트워프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독일의 출전이 금지되었고, 오스트리아 선수들도 리비에라의 테니스 경기에 참가하지 못함.
- 소련 역시 초청 받지 못하자 그들은 국내에서 노동자체육대회를 개최하여 국제 공산권 스포츠대회를 조직.
- 고대 올림픽에서 동계올림픽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승인하지 않았던 동계올림픽 대회가 IOC에 의해 프랑스의 샤모니에서 처름으로 인정받음.
- 30년간 올림픽 운동에 헌신해 온 쿠베르탱이 은퇴하고 바이에 라투르백작이 그 후임으로 선출.
1928 암스테르담
- 제 1차 대전에서 중립을 지켜온 덴마크는 독일의 출전을 인정하였으나, 독일 선수들은 난폭한 경기 자세를 보여 국제적 이미지를 매우 손상하게 됨.
- 미국 올림픽위원회의 위원장인 맥아더장군은 올림픽을 \"국력의 평가장\"으로 보고 국가별 채점제를 주장하였으나 IOC가 거부.
1932 로스엔젤레스
- 일본은 만주사별 후 올림픽에 만주국의 참가를 신청하여 하나의 국가로서 인정받으려고 하였으나 IOC는 그들의 신청을 거부.
1936 베를린
- 히틀러는 베를린에서 올림픽 게임을 나치 독일의 정치 선전의 쇼로서 모든 세계적 이목을 집중시킴.
- 미국은 나치의 승인을 얻기 위해 400미터 릴레이 두 명의 유태인 선수들을 제명시킴.
1940~1944
- 제 2차 세계대전으로 올림픽 게임이 중담.
1948 런던
- 아랍 보이코트의 협박 이후 이스라엘은 올림픽에서 축출.
- 제 2차 세계대전 후 동유럽의 대부분을 점령하여 이들 국가를 구소련에 병합시키려는 세력과 이를 저지하려는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서방 세력 간의 정치적 갈등의 장이 됨.
1952 헬싱키
- 중공이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승인을 얻게 되자 대만은 올림픽 게임을 보이코트.
- 구동독은 \"승인 받지 못한 국가\"라는 이유로 올림픽 출전 자격이 주어지지 않았으며, 구동독은 구서독과 함께 단일팀으로 출전하는 것을 강하게 반대함.
- 구소련이 처음 참가함으로써 올릭피아드는 미.소 양 진영 간의 세력 각축장으로 변모하는 계기가 됨.
1956 멜버른
- 수에즈 운하의 침략과 헝가리 혁명에 의해 아랍국가는 멜버른 올림픽을 보이코트 하였고, 그 결과 구소련과 헝가리는 수구경기에서 대명하게 되자 대학살이 발생.
- IOC는 중공과 대만 NOC를 모두 인정하여 \"한 국가에 하나의 NOC\"라는 IOC의 원칙을 위배하게 됨.
1960 로마
- IOC는 북한과 남한이 단일 팀으로써 똑같은 국기와 엠블렘 그리고 유니폼을 사용하여 출전해야 한다고 선언하였으나 북한은 그러한 그건으로 출전하는 것을 반대.
- 대만은 타이완이라는 이름 하에 출전할 것을 강요받았고, 개막식에서 플래카드 기수는 재조사하는 스텐드를 통과하는 순간 \"Under Protest\"라는 연설의 신호를 보이며 무언의 반대의사를 보임.
1964 도쿄
- 남아프리카는 아파르헤이드 정책
이러한 스포츠정치사회화의 결과 스포츠가 바람직한 방향에서 정치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전한 국민의 정치태도를 형성한다. 즉 스포츠 활동은 일반사회에서 요구하는 법적 장치 내에서 애국심, 민족애, 협동정신, 봉사정신, 준법정신을 고양시킴으로써 국민일체감, 시민의무감, 정치신뢰, 정치효능, 정치참여 등 국민의 건전한 정치태도를 형성한다.
둘째, 민족단합 및 사회통합을 유도한다. 즉 스포츠는 일정한 규칙 하에서 이루어지는 경쟁적 신체활동이기 때문에 국제경기에서의 승리를 통하여 타민족 타 국가에 대한 민족적 자긍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민족단합, 사회통합을 유도할 수 있다. 셋째, 이데올로기적 정통성의 확보이다. 우수한 운동선수, 지도자, 시설, 용구, 정책 등을 통하여 정치체제와 이데올로기의 정통성에 대한 신념을 국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인류공영 및 세계평화에 기여한다. 즉 문화, 예술분야처럼 민간 외교적 활동으로서 올림픽 또는 세계선수권대회에서의 운동경기, 인권보호운동 인종차별철폐운동, 여성해방운동, 핵확산금지운동에의 참여를 통하여 인류공영 및 세계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최영란, \"스포츠참여와 정치태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체육학과 논문, 1989.05.
5. 스포츠의 정치화(올림픽의 정치화) 사례
1896 아테네
- 그리스가 지중해와 에게해에서의 터키 침략정책을 국내외에 폭로하여 저지하겠다는 정치적 의미가 내포되어 결국 터키는 그리스와의 적대관계로 인하여 불참
- 마라톤 경기를 클라이막스 경기로 계획하여 그들이 서양문화를 보존하고 있음을 서구 세계에 보여주고 아울러 지중해와 에게해에서 터키의 침략정책을 계속해서 저지하겠다는 결의를 나타낸 경기
1900 안트워프
- 올림픽 개최에 필요한 경비를 확보하지 못하여 독립된 국제대회가 되지 못하자 파리의 국제박람회를 위한 부속행사로 전락.
- 원리 1900년 7월 14일로 예정되었던 개최일자가 프랑스 혁명 기념일이라는 이류로 경기 개막일이 다음날로 연기되었으나 그날은 미국인들에게 안식일이었으므로 미국선수 중 일부는 불참.
1904 세인트루이스
- 일본해군이 러시아 함대를 침몰시키고 함대를 해산시키자 이러한 불길한 국제정세에 대비하여 영국과 프랑스는 불참.
1908 런던
- 스웨덴, 핀란드, 미국의 국기를 게양하지 않자 스웨덴의 일부선수들은 즉각 철수하였으나, 핀란드는 국제적인 관심을 얻기 위해 출전.
- 입장 행렬시 미국의 기수가 영국의 국왕(에드워드 7세)에게 고개를 숙이지 않자 영국과 미국의 적대관계가 과열됨.
- 영국의 식민지인 인도와 남아프라카가 영국 시민들 앞에 독립된 대표단으로 출전하여 대영제국내의 관계변화를 시사함.
1912 스톡홀롬
- 미국 팀의 짐 도프(Jim Thorpe)는 10종경기와 5종경기를 승리하였으나 과거 프로야구 선수로 활약했던 것이 밝혀져 그의 우승과 영광이 반납.
1916 베를린
- 세계대전으로 인해 올림픽 중단
1920 안트워프
- 세계대전을 일으킨 당사국인 독일, 오스트리아, 터키의 출전이 금지되었고, 구소련 역시 IOC기구 및 조직에 대한 서방국가와의 견해 차이로 초청되지 못함.
1924 파리
- 안트워프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독일의 출전이 금지되었고, 오스트리아 선수들도 리비에라의 테니스 경기에 참가하지 못함.
- 소련 역시 초청 받지 못하자 그들은 국내에서 노동자체육대회를 개최하여 국제 공산권 스포츠대회를 조직.
- 고대 올림픽에서 동계올림픽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승인하지 않았던 동계올림픽 대회가 IOC에 의해 프랑스의 샤모니에서 처름으로 인정받음.
- 30년간 올림픽 운동에 헌신해 온 쿠베르탱이 은퇴하고 바이에 라투르백작이 그 후임으로 선출.
1928 암스테르담
- 제 1차 대전에서 중립을 지켜온 덴마크는 독일의 출전을 인정하였으나, 독일 선수들은 난폭한 경기 자세를 보여 국제적 이미지를 매우 손상하게 됨.
- 미국 올림픽위원회의 위원장인 맥아더장군은 올림픽을 \"국력의 평가장\"으로 보고 국가별 채점제를 주장하였으나 IOC가 거부.
1932 로스엔젤레스
- 일본은 만주사별 후 올림픽에 만주국의 참가를 신청하여 하나의 국가로서 인정받으려고 하였으나 IOC는 그들의 신청을 거부.
1936 베를린
- 히틀러는 베를린에서 올림픽 게임을 나치 독일의 정치 선전의 쇼로서 모든 세계적 이목을 집중시킴.
- 미국은 나치의 승인을 얻기 위해 400미터 릴레이 두 명의 유태인 선수들을 제명시킴.
1940~1944
- 제 2차 세계대전으로 올림픽 게임이 중담.
1948 런던
- 아랍 보이코트의 협박 이후 이스라엘은 올림픽에서 축출.
- 제 2차 세계대전 후 동유럽의 대부분을 점령하여 이들 국가를 구소련에 병합시키려는 세력과 이를 저지하려는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서방 세력 간의 정치적 갈등의 장이 됨.
1952 헬싱키
- 중공이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승인을 얻게 되자 대만은 올림픽 게임을 보이코트.
- 구동독은 \"승인 받지 못한 국가\"라는 이유로 올림픽 출전 자격이 주어지지 않았으며, 구동독은 구서독과 함께 단일팀으로 출전하는 것을 강하게 반대함.
- 구소련이 처음 참가함으로써 올릭피아드는 미.소 양 진영 간의 세력 각축장으로 변모하는 계기가 됨.
1956 멜버른
- 수에즈 운하의 침략과 헝가리 혁명에 의해 아랍국가는 멜버른 올림픽을 보이코트 하였고, 그 결과 구소련과 헝가리는 수구경기에서 대명하게 되자 대학살이 발생.
- IOC는 중공과 대만 NOC를 모두 인정하여 \"한 국가에 하나의 NOC\"라는 IOC의 원칙을 위배하게 됨.
1960 로마
- IOC는 북한과 남한이 단일 팀으로써 똑같은 국기와 엠블렘 그리고 유니폼을 사용하여 출전해야 한다고 선언하였으나 북한은 그러한 그건으로 출전하는 것을 반대.
- 대만은 타이완이라는 이름 하에 출전할 것을 강요받았고, 개막식에서 플래카드 기수는 재조사하는 스텐드를 통과하는 순간 \"Under Protest\"라는 연설의 신호를 보이며 무언의 반대의사를 보임.
1964 도쿄
- 남아프리카는 아파르헤이드 정책
추천자료
FIFA를 통해 본 글로벌 스포츠 시스템
[장애인복지] 장애인 스포츠의 정의, 가치, 장애인체육기구, 발전과정, 한국의 실태와 문제점...
이벤트를 통한 프로야구 활성화 방안 - 스포츠 마케팅
성공적인 프로젝트로 가는 길(스포츠기사를 인용한 사례 포함)
소논문 _ 스포츠
체육사,체육철학-로마시대의 체육,로마시대의 스포츠,로마시대의 체육학자
국제경기대회를 통한 스포츠마케팅 사례연구 f1
사회과학적인 관점에서 본 스포츠
[노동자 정치세력화][노동자][근로자]노동자 정치세력화의 정의, 노동자 정치세력화의 전개, ...
[한일]한일월드컵(2002 한일월드컵), 한일스포츠, 한일애니메이션공동제작, 한일드라마공동제...
[일본정치, 상징천황제]일본정치와 상징천황제, 일본정치와 에도시대, 일본정치와 막부정치, ...
[한일월드컵축구대회]한일월드컵축구대회(2002 한일월드컵)와 한일공동개최, 한일방송교류, ...
[장애인복지론] 장애인 스포츠권과 그 실현방안에 대하여
(세계의정치와경제 2017년>교재 10장 성과 정치, 경제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근자에 우리 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