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전래동요지도(전래동요교육)의 용어정의
1. 국악동요
2. 전래동요
3. 국악기
4. 국악표현
Ⅲ. 전래동요지도(전래동요교육)의 학습 사례
1. 흥겨운 우리 노래1
2. 흥겨운 우리 노래2
Ⅳ. 전래동요지도(전래동요교육)의 학년별 놀이방법
1. 저학년용
1) 뻔데기 노래
2) 꼭꼭 숨어라
3) 쎄쎄쎄
4) 종지놀음 노래
2. 중학년용
1) 짬자리통 파리통
2)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3. 고학년용
1) 동동 동대문을 열어라
2) 우리집에 왜왔니
3) 꼬마야 꼬마야
4) 여우야 여우야
Ⅴ. 향후 전래동요지도(전래동요교육)의 실천 과제
1. 전래동요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아이들에게 의미가 있다
2. 우선 시작하자
3. 아주 중요하고 기본적인 것
참고문헌
Ⅱ. 전래동요지도(전래동요교육)의 용어정의
1. 국악동요
2. 전래동요
3. 국악기
4. 국악표현
Ⅲ. 전래동요지도(전래동요교육)의 학습 사례
1. 흥겨운 우리 노래1
2. 흥겨운 우리 노래2
Ⅳ. 전래동요지도(전래동요교육)의 학년별 놀이방법
1. 저학년용
1) 뻔데기 노래
2) 꼭꼭 숨어라
3) 쎄쎄쎄
4) 종지놀음 노래
2. 중학년용
1) 짬자리통 파리통
2)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3. 고학년용
1) 동동 동대문을 열어라
2) 우리집에 왜왔니
3) 꼬마야 꼬마야
4) 여우야 여우야
Ⅴ. 향후 전래동요지도(전래동요교육)의 실천 과제
1. 전래동요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아이들에게 의미가 있다
2. 우선 시작하자
3. 아주 중요하고 기본적인 것
참고문헌
본문내용
불러본다.(모둠 번호 순서대로)
(3) 가장 멋진 노랫말을 정하여 노랫말 띠에 쓴 뒤 모둠 친구들과 함께 힘찬 목소리로 3번 부른다.
2. 흥겨운 우리 노래2
(1) ‘둥개 둥개 둥개야’ 노래를 불러보고 재미있는 노랫말을 새로 지어본다.
둥개 둥개 둥개야
1.둥개둥개 둥개야- 두둥둥개 둥개야,
2.날아가는 학선아- 구름밑에 신선아,
3.얼음밑에 수달피- 썩은나무에 부엉이,
4.둥개둥개 둥개야- 두둥둥개 둥개야.
○○○○ ○○○- ○○○○ ○○○
(2) 모둠 친구들 앞에서 내가 지은 노랫말로 불러본다.(모둠 번호 순서대로)
(3) 가장 멋진 노랫말을 정하여 노랫말 띠에 쓴 뒤 모둠 친구들과 함께 힘찬 목소리로 3번 불러본다.
Ⅳ. 전래동요지도(전래동요교육)의 학년별 놀이방법
1. 저학년용
1) 뻔데기 노래
뻔데기 뻔데기 뻔뻔데기데기/뻔데기 일(가위,바위,보)/뻔데기 이(가위,바위,보)/뻔데기 삼(가위,바위,보)/뻔데기 사(가위,바위,보)/뻔데기 오(가위,바위,보)
가위, 바위, 보 놀이는 다른 어떤 놀이보다도 그 수가 많고 다양하다. 또한 놀이에 따르는 노래도 매우 다양하다. 횡성 지방에 구전되는 노래의 종류만도 다섯 가지가 넘는다. 이것은 이 놀이가 간편하고 흥미 있기 때문일 것이다. 노래의 가사를 살펴보면 처음부터 끝까지 ‘뻔데기’라는 단어 하나로만 이어져 있다. 언뜻 보기에 노래 같지도 않아 보일 정도로, 단순한 단어의 나열에 불과 해 보이지만 이런 단순성 때문에 많은 어린이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오늘날까지 그 생명력을 유지했는지 모른다. 이렇듯 전래동요는 단순해야 한다. 그리고 가사도 어린이들 정서에 걸맞게 쉬워야 한다.
이 놀이는 인원 제한이 없다. 빙 둘러앉아 노래를 부르며 손뼉을 치고 수를 세고 그리고 가위, 바위, 보를 해 매 맞을 사람을 가려내면 된다. 정신을 똑바로 차려 숫자 세는 것을 놓치지 말아야 공매를 피 할 수 있다.아이들에게 수 개념과 재치, 그리고 순발력을 길러주는 놀이이다.
2) 꼭꼭 숨어라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인다/꼭꼭 숨어라 옷자락이 보인다.
살금살금 달아나자/빨리빨리 달아나자
가사를 살펴보면 노래 곳곳에 반복되는 말들이 동요의 맛을 상큼하게 살려주고 있다. 어린이들은 이 노래를 부르며 우리말의 아름다움과 반복율이 갖는 음악성을 자신도 모르게 익힐 것이다. ‘살금살금, 빨리빨리’라는 의태어도 곱다.
이 놀이도 아무런 놀이 기구 없이 그저 몸을 숨길 은신처만 주변에 있으면 가능하다. 술래가 위의 노래를 몇 번이고 반복하며 부르고 나면 아이들은 저마다 적당한 장소에 몸을 숨긴다. 해질녁 은밀한 공간에 너무 꼭꼭 숨었다 아이들이 다 돌아간 놀이터를 혼자서 배회해 본 그런 아름다운 추억을 우리는 가지고 있다. 아직 전조작기에 머문 1, 2학년 어린이들은 이 놀이를 통해 판단력과 추리력, 그리고 규칙 개념과 어휘력이 길러지게 될 것이다.
3) 쎄쎄쎄
쎄쎄쎄/아침바람 찬바람에/울고가는 저기러기/우리선생 계실적 에/엽서 한 장 써주세요/한 장말고 두장이요/두장말고 세장이오/구리구리 멍텅구리(가위, 바위, 보)
학교 문턱엘 기웃거려 보기 전 우리들은 할머니의 주름투성이의 손에 이끌려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고 자란 노래다. 또래 또래의 어린애들은 그 때 처음 ‘기러기, 선생, 엽서 ,편지’ 라는 낮선 어휘를 뜻도 모른 채 그저 할머니의 입 모양을 따라 불렀다. 그렇게 지혜롭게 우리네 할머니들은 손주들에게 우리말의 낱말 공부를 시켰던 것이다. 재미있는 노래를 통해서. 어린이들은 이 놀이를 통해 다양한 신체 표현과 어휘력, 그리고 아름다운 정서가 자연스레 길러질 것이다.
4) 종지놀음 노래
돌아간다
돌아간다
돌아간다
돌아간다
찾아봐
여
(3) 가장 멋진 노랫말을 정하여 노랫말 띠에 쓴 뒤 모둠 친구들과 함께 힘찬 목소리로 3번 부른다.
2. 흥겨운 우리 노래2
(1) ‘둥개 둥개 둥개야’ 노래를 불러보고 재미있는 노랫말을 새로 지어본다.
둥개 둥개 둥개야
1.둥개둥개 둥개야- 두둥둥개 둥개야,
2.날아가는 학선아- 구름밑에 신선아,
3.얼음밑에 수달피- 썩은나무에 부엉이,
4.둥개둥개 둥개야- 두둥둥개 둥개야.
○○○○ ○○○- ○○○○ ○○○
(2) 모둠 친구들 앞에서 내가 지은 노랫말로 불러본다.(모둠 번호 순서대로)
(3) 가장 멋진 노랫말을 정하여 노랫말 띠에 쓴 뒤 모둠 친구들과 함께 힘찬 목소리로 3번 불러본다.
Ⅳ. 전래동요지도(전래동요교육)의 학년별 놀이방법
1. 저학년용
1) 뻔데기 노래
뻔데기 뻔데기 뻔뻔데기데기/뻔데기 일(가위,바위,보)/뻔데기 이(가위,바위,보)/뻔데기 삼(가위,바위,보)/뻔데기 사(가위,바위,보)/뻔데기 오(가위,바위,보)
가위, 바위, 보 놀이는 다른 어떤 놀이보다도 그 수가 많고 다양하다. 또한 놀이에 따르는 노래도 매우 다양하다. 횡성 지방에 구전되는 노래의 종류만도 다섯 가지가 넘는다. 이것은 이 놀이가 간편하고 흥미 있기 때문일 것이다. 노래의 가사를 살펴보면 처음부터 끝까지 ‘뻔데기’라는 단어 하나로만 이어져 있다. 언뜻 보기에 노래 같지도 않아 보일 정도로, 단순한 단어의 나열에 불과 해 보이지만 이런 단순성 때문에 많은 어린이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오늘날까지 그 생명력을 유지했는지 모른다. 이렇듯 전래동요는 단순해야 한다. 그리고 가사도 어린이들 정서에 걸맞게 쉬워야 한다.
이 놀이는 인원 제한이 없다. 빙 둘러앉아 노래를 부르며 손뼉을 치고 수를 세고 그리고 가위, 바위, 보를 해 매 맞을 사람을 가려내면 된다. 정신을 똑바로 차려 숫자 세는 것을 놓치지 말아야 공매를 피 할 수 있다.아이들에게 수 개념과 재치, 그리고 순발력을 길러주는 놀이이다.
2) 꼭꼭 숨어라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인다/꼭꼭 숨어라 옷자락이 보인다.
살금살금 달아나자/빨리빨리 달아나자
가사를 살펴보면 노래 곳곳에 반복되는 말들이 동요의 맛을 상큼하게 살려주고 있다. 어린이들은 이 노래를 부르며 우리말의 아름다움과 반복율이 갖는 음악성을 자신도 모르게 익힐 것이다. ‘살금살금, 빨리빨리’라는 의태어도 곱다.
이 놀이도 아무런 놀이 기구 없이 그저 몸을 숨길 은신처만 주변에 있으면 가능하다. 술래가 위의 노래를 몇 번이고 반복하며 부르고 나면 아이들은 저마다 적당한 장소에 몸을 숨긴다. 해질녁 은밀한 공간에 너무 꼭꼭 숨었다 아이들이 다 돌아간 놀이터를 혼자서 배회해 본 그런 아름다운 추억을 우리는 가지고 있다. 아직 전조작기에 머문 1, 2학년 어린이들은 이 놀이를 통해 판단력과 추리력, 그리고 규칙 개념과 어휘력이 길러지게 될 것이다.
3) 쎄쎄쎄
쎄쎄쎄/아침바람 찬바람에/울고가는 저기러기/우리선생 계실적 에/엽서 한 장 써주세요/한 장말고 두장이요/두장말고 세장이오/구리구리 멍텅구리(가위, 바위, 보)
학교 문턱엘 기웃거려 보기 전 우리들은 할머니의 주름투성이의 손에 이끌려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고 자란 노래다. 또래 또래의 어린애들은 그 때 처음 ‘기러기, 선생, 엽서 ,편지’ 라는 낮선 어휘를 뜻도 모른 채 그저 할머니의 입 모양을 따라 불렀다. 그렇게 지혜롭게 우리네 할머니들은 손주들에게 우리말의 낱말 공부를 시켰던 것이다. 재미있는 노래를 통해서. 어린이들은 이 놀이를 통해 다양한 신체 표현과 어휘력, 그리고 아름다운 정서가 자연스레 길러질 것이다.
4) 종지놀음 노래
돌아간다
돌아간다
돌아간다
돌아간다
찾아봐
여
추천자료
한국과 서양의 전래 동화
[교육과정] 초등 음악 4학년 그네 1차시 세안 지도안
동시감상지도(수업, 교육)방법, 철봉운동지도(수업, 교육)방법, 발표력향상지도(수업, 교육)...
영어과 의사소통중심학습지도(교육지도), 국어과 북한말학습지도(교육지도), 수학과 수준별학...
동시지도(동시수업, 동시교육, 학습) 배경과 목표, 동시지도(동시수업, 동시교육, 학습) 과정...
수학과(수업,교육) 동화학습지도, 영어과(수업,교육) 열린학습지도, 과학과(수업,교육) 탐구...
동시의 개념, 동시교육(동시학습, 동시지도, 수업) 배경, 동시교육(동시학습, 동시지도, 수업...
[인성교육][인성지도][심성][품성]인성교육의 개념, 인성교육의 필요성, 인성교육의 현황, 인...
동시 특성과 필요성, 동시감상지도(동시감상교육) 중요성, 동시감상지도(동시감상교육) 초점,...
전래동화와 창작동화 유형을 각각 한가지 예를 찾아 소개한 뒤 그 의의와 특징을 서로 비교정...
동화책을 활용한 언어지도 방법과 교육적가치에 대해 기술
[독서교육]독서교육(독서지도) 사례1, 독서교육(독서지도) 사례2, 독서교육(독서지도) 사례3,...
[독일동화][독일][동화][독일동화 여성상][독일동화와 한국전래동화][독일동화와 민족정신][...
[유아문학] <유아문학> 유아문학의 장르별 개념과 이념 - 운문(동시), 산문(전래동화, 환상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