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강의 고사성어 (중간고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이버강의 고사성어 (중간고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슴을 말이라 해도 - 정치 = 9
2. 쇠절구 갈아 바늘 만들기 - 노력 = 19
3. 들어 줄이 없으면 거문고줄을 끊으리 - 우정 = 29
4. 주머니 속의 송곳 - 인재(人才) = 39
5. 쓸모 없는 것의 유용함 - 처세 = 49
6. 세 사람의 말이면 호랑이도 만든다 - 언어 = 59
7. 남을 제압하려면 선수를 쳐라 - 전략

본문내용

호랑이도 만든다 - 언어 = 59
▒ 盲人說象 맹인설상: 맹인이 코끼리를 설명하다. 자기 경험만을 근거해서 주장을 세우다. (= 衆盲評象 중맹평상)
▒ 道聽途說 도청도설: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하다. 스스로 사고하지 않고 남에게서 들은 말만 옮기는 것.
▒ 寸鐵殺人 촌철살인: ㅖ은 쇠로 사람을 죽이다. 정곡을 찌르는 날카로운 경구가 수천 마디의 말을 능가한다.
▒ 駟不及舌 사불급설: 네 마리가 끄는 마차로도 혀를 따라잡지 못한다. 한 번 뱉은 말은 거둘 수 없으니, 말을 삼가야 한다.
▒ 三人成虎 삼인성호: 세 사람이면 호랑이도 만들어 낸다. 거짓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하면 곧이들린다.
龐與太子質於邯鄲 謂魏王曰 今一人言市有虎 王信之乎 王曰 否.
二人言市有虎 王信之乎 王曰 寡人疑之矣. 三人言虎 王信之乎.
王曰 寡人信之矣.
龐曰 夫市之無虎明矣 然而三人言而成虎 今邯鄲去大梁也遠於市
而議臣者過於三人矣 願王察之矣. 王曰 寡人自爲知. 於是辭行
而讒言先至. 後太子罷質 果不得見.
방총여태자질어감단 위위왕왈 금일인언시유호 왕신지호 왕왈 부.
이인언시유호 왕신지호 왕왈 과인의지의. 삼인언호 왕신지호.
왕왈 과인신지의.
방총왈 부시지무호명의 연이삼인언이성호 금감단거대량야원어시
이의신자과어삼인의 원왕찰지의. 왕왈 과인자위지. 어시사행
이참언선지. 후태자파질 과부득견.
▒ 李布一諾 계포일락: 계포가 한 번 응낙하다. 신뢰할 수 있는 약속.
▒ 口如懸河 구여현하: 입에서 나오는 말이 쏜살같이 흐르는 강물과 간다. 말을 막힘없이 하다.
▒ 口禍之門 구화지문: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다. 말을 삼가야 한다.
▒ 衆口삭金 중구삭금: 많은 사람들의 입이 쇠를 녹인다. 여론의 힘은 크다.
▒ 漱石枕流 서석침류: 돌로 양치질하고 흐르는 물을 베다. 말재주가 좋아 없는 사실을 가지고 억지 부리다.
7. 남을 제압하려면 선수를 쳐라 - 전략
▒ 先則制人 선즉제인: 선수를 치면 남을 제압할 수 있다. <-> 후즉위인소제
先 먼저 선
則 법칙 칙, 곧 즉
制 절제할 제
人 사람 인
▒ 聲東擊西 성동격서: 동쪽에서 소리 지르고 서쪽을 치다.
겉으로 드러내는 것과 실제 의도하는 것이 다르다.
聲 소리 성
東 동녘 동
擊 칠 격
西 서녘 서
▒ 鷄肋 계륵: 닭의 갈비뼈. 특별히 쓸모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버리기에는 아까운 사물. (鷄 닭 계, 肋 갈빗대 륵(늑), 힘줄 근)
▒ 脣亡齒寒 순망치한: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
서로 상보적인 긴밀한 관계여서 떨어질 수 없다.
(= 輔車相依 보거상의, 假道滅 가도멸괵)
脣 입술 순, 꼭 맞을 민
亡 망할 망, 없을 무
齒 이 치
寒 찰 한
晉侯復假道於虞以伐(진후복가도어우이벌괵) : 진나라 임금이 다시 우나라에게 길을 빌어 괵나라를 정벌하고자 하니
宮之奇諫曰(궁지기간왈) : 우나라의 궁지기가 우나라 임금에게 간하기를
虞之表也(괵우지표야) : \'괵나라 우리 우나라의 방패입니다
亡(괵망) : 그래서 괵나라가 망하면
虞必從之(우필종지) : 우리 나라도 반드시 망하게 됩니다
晉不可啓(진불가계) : 진나라의 욕심을 열어주어서는 안되고
寇不可翫(구불가완) : 침략자에게 소흘해서는 안됩니다
一之謂甚(일지위심) : 전에 한번 길을 빌려 준 것만 해도 심한데
其可再乎(기가재호) : 또 다시 빌려 줄 수가 있겠습니까
諺所謂‘輔車相依(언소위보거상의) : 속담에 이른 바\'수레덧방나무와 수레는 서로 의지하고
脣亡齒寒者(순망치한자) : 입술이 망하면 이가 시리다.\'고 했으니
其虞之謂也(기우괵지위야) : 이것은 우리 우나라와 괵나라 사이를 두고 말하는 것입니다.\'라고 했다
弗聽(불청) : 우나라 임금은 그 말을 듣지 않고
許晉使(허진사) : 진나라 사신에게 길을 빌려 줄 것을 허락했다
宮之奇以其族行曰(궁지기이기족행왈) : 궁지기는 가족을 이끌고 다른 나라로 떠나며 말하기를
冬十二月丙子朔(동십이월병자삭) : 과연 겨울 12월 병자일에
晉滅(진멸괵) : 진나라는 괵나라를 멸망시키니
公醜奔京師(괵공추분경사) : 괵나라 임금 추는 주나라의 서울로 달아났다
師還(사환) : 진나라 군대가 돌아올 때에
館于虞(관우우) : 잠시 우나라에 머물렀다가
遂襲虞滅之(수습우멸지) : 재빨리 우나라를 습격하여 멸망시키고
▒ 二桃殺三士 이도살삼사: 복숭아 두 개로 세 사람을 죽이다.
꾀를 내어 상대방을 모두 자멸시키다.
二 두 이
桃 복숭아 도
殺 죽일 살/감할 살, 빠를 쇄, 맴 도는 모양 설, 윗사람 죽일 시
三 석 삼
士 선비 사
▒ 背水陣 배수진: 물을 등지고 진을 친다. 어떤 일에 죽음을 각오하고 대처하다.
(= 必生則死 必死則生 필생즉사 필사즉생)
背 등 배/배반할 배
水 물 수
陣 진 칠 진
兵法右倍山陵(병법우배산릉) 前左水澤(전좌수택) 今者將軍令臣等反背水陳(금자장군령신등반배수진) 曰破趙會食(왈파조회식) 臣等不服(신등불복) 然竟以勝(연경이승) 此何術也(차하술야) 信曰(신왈) 此在兵法(차재병법) 顧諸君不察耳(고제군불찰이) 兵法不曰(병법불왈) 陷之死地而後生(함지사지이후생) 置之亡地而後存(치지망지이후존) 且信非得素循士大夫也(차신비득소부순사대부야) 此所謂(차소위) 驅市人而戰之(구시인이전지) 其勢非置之死地(기세비치지사지) 使人人自爲戰(사인인자위전) 今予之生地(금여지생지) 皆走(개주) 寧尙可得而用之乎(녕상가득이용지호) 諸將皆服曰善(제장개복왈선) 非臣所及也(비신소급야)
▒ 以夷制夷 이이제이: 오랑캐로써 오랭캐를 제압하다. 적들끼리 서로 싸우게 하여 자기는 힘들이지 않고 이득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以 써 이
夷 오랑캐 이
制 절제할 제
夷 오랑캐 이
▒ 七縱七擒 칠종칠금: 일곱 번 잡았다가 일곱 번 놓아주다. 강압적인 수단보다는 책략을 써서 마음으로 굴복하게 만든다.
七 일곱 칠
縱 세로 종, 바쁠 총
七 일곱 칠
擒 사로잡을 금
▒ 狡兎三窟 교토삼굴: 교활한 토끼는 세 개의 굴을 가지고 있다.
어떤 일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대책을 세운다.
狡 교활할 교
兎 토끼 토
三 석 삼
窟 굴 굴
▒ 遠交近攻 원교근공: 먼 나라와 사귀고 가까운 나라를 공격하다.
처세에 있어서 사용하는 수단의 하나.
遠 멀 원
交 사귈 교
近 가까울 근, 어조사 기
攻 칠 공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10.29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67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