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공요인
(1) 미국
(2) 중국
(3) 유럽
(4) 다른 나라 및 공통적인 성공요인
2. 최근 현대자동차의 모습
(1) 현대자동차와 도요타 리콜사태 비교를 통해 본 현대차의 오늘과 미래
(2) 현대차의 강점인 ‘할부·리스제도’
(3) 현대차의 수직적 통합
3. SWOT 분석을 통한 현대차 분석
(1) 현대자동차의 강점(S)
(2) 현대자동차의 약점(W)
(3) 현대자동차의 기회(O)
(1) 미국
(2) 중국
(3) 유럽
(4) 다른 나라 및 공통적인 성공요인
2. 최근 현대자동차의 모습
(1) 현대자동차와 도요타 리콜사태 비교를 통해 본 현대차의 오늘과 미래
(2) 현대차의 강점인 ‘할부·리스제도’
(3) 현대차의 수직적 통합
3. SWOT 분석을 통한 현대차 분석
(1) 현대자동차의 강점(S)
(2) 현대자동차의 약점(W)
(3) 현대자동차의 기회(O)
본문내용
액정식 계기판을 채택하였다. 또한 국내 최고급 차종에 적용하는 오디오 리모콘 스위치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했고 가죽시트, 가죽 도어트림, 스티어링 휠, 가죽커버 등 최고급 내장의 가죽 패키지를 적용해 고급스런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이처럼 현대는 고객의 욕구를 반영하여 세련미에 안정성과 편의성을 더한 신차개발에도 앞장섰다.
현대는 Y2를 개발할 때 고객들의 욕구를 반영하였다. 국내에선 실내 공간의 확대를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기대가 높았고, 미국에선 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중형세단을 원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현대는 내수용과 수출 전략형의 차이를 배기량으로 정했다. 국내 소비자는 큰 차체, 적은 배기량을 선호했지만 미국은 차체가 작아도 배기량은 커야 제대로 된 자동차라는 대접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③ 고객의 성향에 따른 다양한 Option 부여
쏘나타는 인간과 자동차 사이의 정서적 일체감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정서적 일체감’을 느끼게 해주는 새로운 개념의 승용차를 개발하는데 노력을 하였다.
그 예로 앤티다이브 지오메트리라는 특수구조를 통해 급제동 시에도 차체 및 승객의 상체가 앞으로 심하게 숙여지지 않도록 배려했다. 이것은 미국시장을 겨냥한 것으로 미국은 안정성이 밑받침 돼야 소비자들의 인정을 받을 수 있었다.
또한 일정한 기계적 소음을 즐기는 유럽인과 달리 미국이나 국내 소비자들은 소음에 무척 민감하다는 것을 반영하여 엔진 내의 타이밍벨트에 고무 대신 사일런트 체인을 사용하는 등 각 나라의 고객의 성향에 맞춘 Option들을 부여했다.
④ 빠른 신차 출시
현대는 위와 같이 고객의 성향과 욕구를 반영하여 신차를 빠르게 신차를 출시해 왔다. 이러한 출시의 원동력은 현대의 끝까지 밀어붙이는 불도저식 경영이 큰 역할을 하였다.
현대의 신차 출시의 예로 하이브리드카를 들어보자. 최근 고유가 시대를 맞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하이브리드카는 미래형 저공해 자동차로 각광받는 추세이다. 현대는 이 차를 시작으로 앞으로 10년 안에 도요타를 따라 잡을 계획이다.
또한 2012년까지 3천억 원을 추가로 투자해 연간 30만 대 규모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양산 체제를 구축한 뒤 대중화를 실현했다. 다음 표 현대자동차의 신차 출시 예정표를 보면 다양한 형태와 방향으로 계속해서 신차가 출시 될 것을 알 수 있다.
2. 최근 현대차의 모습
(1)현대자동차와 도요타 리콜사태 비교를 통해 본 현대차의 오늘과 미래
① 현대차 vs 도요타
현대자동차(이하 현대)는 올해 2월(4만7천여대)과 9월(14만여대) 두차례에 걸쳐 리콜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리콜대상은 신형 쏘나타였으며, 문제점은 ‘도어잠금 장치 결함’과 ‘조향장치 결함’의 문제였다. 이 두가지 문제점은 부품결함은 아닌 ‘조립불량’으로 나타났다. 두가지 문제 모두 차를 AS센터로 가져가면 1시간 이내에 해결가능한 것이라고 한다. 이 두 번의 리콜은 모두 ‘자발적 리콜’이라는 점에서 도요타와 비교된다.
반면 도요타는 지난해 8월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서 ‘가속 페달 문제로 인한 차량 폭주’의 가능성을 제기 하였으나, 도요타 측은 이를 부인하고 운전석 바닥의 매트(깔판)이 움직이며 페달을 누를 수 있다며 매트를 갈아주는 리콜을 380만대 실시하고, 로비를 통하여 향후 제기될 수 있는 리콜문제를 마무리 지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미국 도로교통안전국과 미국 언론들은 가속페달의 구조적 결함의 문제를 계속 제기하였고, 결국 올해 1월에 230만대의 차량을 가속력 복원 문제로 리콜을 실시하였다. 이후 도요타는 같은 문제로 900만여대의 차량에 대한 리콜을 실시하였고, 올해 8월에는 엔진정지 문제로 120만여대를 리콜하였다. 이 사태로 인하여 도요타의 기업이미지는 추락하였고 그 손실규모 또한 60조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② 현대차의 ‘자발적 리콜’의 장·단점
-장점
현대차의 리콜은 지난해 도요타와 달리 문제를 부인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실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도요타는 리콜로 인해 막대한 타격을 받았으나 이후 현대의 리콜은 점화효과(Priming Effect, 먼저 제시된 정보에의해 나중에 제시된 정보의 해석이 영향을 받는 것)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즉, 결함을 부인한 도요다에 비해 사소한 문제라도 인정하고 리콜을 실시하는 현대차는 ‘안전을 우선시하는 회사’라는 이미지를 소비자의 머릿속에 강하게 각인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후 올해 8월까지 미국 시장 점유율이 8.6%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을 보면의 그 효과가 어느정도 였는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단점
반면 현대차의 리콜은 두 가지 정도의 부작용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첫 번째는 단기적으로는 ‘주가의 손실’을 들 수 있다. 그 예로, 현대차의 증시는 9월 29일 기준 1.92%의 하락하여 15만 3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두 차례의 리콜이 ‘브랜드 이미지의 하락’을 가져올 수도 있다. 비록 현대의 리콜은 자발적 리콜이었으나, 리콜의 원인이 ‘조립불량’ 즉 관리감독 미흡으로 인한 리콜이기 때문에 현대차가 모토로 삼고 있는 ‘값싸고 안전한 차’이미지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점이다.
(2) 현대차의 강점인 ‘할부·리스제도’
현대차는 국내에서는 현대캐피탈을 통해, 미국에서는 현대자동차금융회사 (HMFC)를 통해 할부 및 리스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 현대캐피탈은 9월기준 ‘업계 1위’를 고수하고 있다. 현대캐피탈의 자동차 금융 상품은 신차·중고차할부, 자동차리스, 장기렌터카, 법인리스·렌터카로 총 5개 운영하고 있다. 이 중 신차·중고차 할부제도, 자동차리스(클라스오토)제도는 현대캐피탈 부동의 1위의 원동력이 되고있다. 신차 및 중고차 할부는 연 7.95%정도의 낮은금리, YF쏘나타의 경우에는 ‘연 1% 초저가금리 이벤트’와, 자동차 사고 시 본인과실 50% 미만이면서 자차 30% 이상 파손됐을 경우에 신차로 교환 및 사고위로금 100만원을 지급해주는 \'신차교환서비스’를 통해 판매율을 높이고 있다. 또한 자동차리스, 일명 ‘클라스오토’는 업계최대 차량 잔존가치 설정, 현대·기아네트
이처럼 현대는 고객의 욕구를 반영하여 세련미에 안정성과 편의성을 더한 신차개발에도 앞장섰다.
현대는 Y2를 개발할 때 고객들의 욕구를 반영하였다. 국내에선 실내 공간의 확대를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기대가 높았고, 미국에선 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중형세단을 원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현대는 내수용과 수출 전략형의 차이를 배기량으로 정했다. 국내 소비자는 큰 차체, 적은 배기량을 선호했지만 미국은 차체가 작아도 배기량은 커야 제대로 된 자동차라는 대접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③ 고객의 성향에 따른 다양한 Option 부여
쏘나타는 인간과 자동차 사이의 정서적 일체감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정서적 일체감’을 느끼게 해주는 새로운 개념의 승용차를 개발하는데 노력을 하였다.
그 예로 앤티다이브 지오메트리라는 특수구조를 통해 급제동 시에도 차체 및 승객의 상체가 앞으로 심하게 숙여지지 않도록 배려했다. 이것은 미국시장을 겨냥한 것으로 미국은 안정성이 밑받침 돼야 소비자들의 인정을 받을 수 있었다.
또한 일정한 기계적 소음을 즐기는 유럽인과 달리 미국이나 국내 소비자들은 소음에 무척 민감하다는 것을 반영하여 엔진 내의 타이밍벨트에 고무 대신 사일런트 체인을 사용하는 등 각 나라의 고객의 성향에 맞춘 Option들을 부여했다.
④ 빠른 신차 출시
현대는 위와 같이 고객의 성향과 욕구를 반영하여 신차를 빠르게 신차를 출시해 왔다. 이러한 출시의 원동력은 현대의 끝까지 밀어붙이는 불도저식 경영이 큰 역할을 하였다.
현대의 신차 출시의 예로 하이브리드카를 들어보자. 최근 고유가 시대를 맞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하이브리드카는 미래형 저공해 자동차로 각광받는 추세이다. 현대는 이 차를 시작으로 앞으로 10년 안에 도요타를 따라 잡을 계획이다.
또한 2012년까지 3천억 원을 추가로 투자해 연간 30만 대 규모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양산 체제를 구축한 뒤 대중화를 실현했다. 다음 표 현대자동차의 신차 출시 예정표를 보면 다양한 형태와 방향으로 계속해서 신차가 출시 될 것을 알 수 있다.
2. 최근 현대차의 모습
(1)현대자동차와 도요타 리콜사태 비교를 통해 본 현대차의 오늘과 미래
① 현대차 vs 도요타
현대자동차(이하 현대)는 올해 2월(4만7천여대)과 9월(14만여대) 두차례에 걸쳐 리콜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리콜대상은 신형 쏘나타였으며, 문제점은 ‘도어잠금 장치 결함’과 ‘조향장치 결함’의 문제였다. 이 두가지 문제점은 부품결함은 아닌 ‘조립불량’으로 나타났다. 두가지 문제 모두 차를 AS센터로 가져가면 1시간 이내에 해결가능한 것이라고 한다. 이 두 번의 리콜은 모두 ‘자발적 리콜’이라는 점에서 도요타와 비교된다.
반면 도요타는 지난해 8월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서 ‘가속 페달 문제로 인한 차량 폭주’의 가능성을 제기 하였으나, 도요타 측은 이를 부인하고 운전석 바닥의 매트(깔판)이 움직이며 페달을 누를 수 있다며 매트를 갈아주는 리콜을 380만대 실시하고, 로비를 통하여 향후 제기될 수 있는 리콜문제를 마무리 지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미국 도로교통안전국과 미국 언론들은 가속페달의 구조적 결함의 문제를 계속 제기하였고, 결국 올해 1월에 230만대의 차량을 가속력 복원 문제로 리콜을 실시하였다. 이후 도요타는 같은 문제로 900만여대의 차량에 대한 리콜을 실시하였고, 올해 8월에는 엔진정지 문제로 120만여대를 리콜하였다. 이 사태로 인하여 도요타의 기업이미지는 추락하였고 그 손실규모 또한 60조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② 현대차의 ‘자발적 리콜’의 장·단점
-장점
현대차의 리콜은 지난해 도요타와 달리 문제를 부인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실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도요타는 리콜로 인해 막대한 타격을 받았으나 이후 현대의 리콜은 점화효과(Priming Effect, 먼저 제시된 정보에의해 나중에 제시된 정보의 해석이 영향을 받는 것)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즉, 결함을 부인한 도요다에 비해 사소한 문제라도 인정하고 리콜을 실시하는 현대차는 ‘안전을 우선시하는 회사’라는 이미지를 소비자의 머릿속에 강하게 각인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후 올해 8월까지 미국 시장 점유율이 8.6%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을 보면의 그 효과가 어느정도 였는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단점
반면 현대차의 리콜은 두 가지 정도의 부작용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첫 번째는 단기적으로는 ‘주가의 손실’을 들 수 있다. 그 예로, 현대차의 증시는 9월 29일 기준 1.92%의 하락하여 15만 3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두 차례의 리콜이 ‘브랜드 이미지의 하락’을 가져올 수도 있다. 비록 현대의 리콜은 자발적 리콜이었으나, 리콜의 원인이 ‘조립불량’ 즉 관리감독 미흡으로 인한 리콜이기 때문에 현대차가 모토로 삼고 있는 ‘값싸고 안전한 차’이미지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점이다.
(2) 현대차의 강점인 ‘할부·리스제도’
현대차는 국내에서는 현대캐피탈을 통해, 미국에서는 현대자동차금융회사 (HMFC)를 통해 할부 및 리스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 현대캐피탈은 9월기준 ‘업계 1위’를 고수하고 있다. 현대캐피탈의 자동차 금융 상품은 신차·중고차할부, 자동차리스, 장기렌터카, 법인리스·렌터카로 총 5개 운영하고 있다. 이 중 신차·중고차 할부제도, 자동차리스(클라스오토)제도는 현대캐피탈 부동의 1위의 원동력이 되고있다. 신차 및 중고차 할부는 연 7.95%정도의 낮은금리, YF쏘나타의 경우에는 ‘연 1% 초저가금리 이벤트’와, 자동차 사고 시 본인과실 50% 미만이면서 자차 30% 이상 파손됐을 경우에 신차로 교환 및 사고위로금 100만원을 지급해주는 \'신차교환서비스’를 통해 판매율을 높이고 있다. 또한 자동차리스, 일명 ‘클라스오토’는 업계최대 차량 잔존가치 설정, 현대·기아네트
추천자료
노조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현대자동차사례를 중심으로
국제경영 레포트 ( 현대자동차 미국진출 성공 사례 분석 )
[기업전략]현대자동차의 인도진출사례
[산업공학 물류] 현대자동차 글로비스 SCM 혁신사례에 관한 보고서
[유통관리/생산관리A+] 현대자동차 SCM전략 (공급사슬관리) 및 유통관리전략 분석
[국제마케팅]현대자동차의 해외시장 진출분석과 향후전략분석
[국제마케팅]현대자동차의 중국진출 사례연구 분석
다국적기업의 분석 (현대자동차)
[국제마케팅론]현대자동차의 인도진출
(A+ ) 현대자동차의 글로벌 경영전략
현대자동차의 글로벌 경영전략
윤리경영 사례조사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한국전력공사, SK)
[국제마케팅] 현대자동차 마케팅 - 중국시장진출,미국시장진출,인도시장,글로벌마케팅,감성마...
중국시장의 떠오르는 대세 현대자동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