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한글맞춤법의 원리
Ⅲ. 한글맞춤법의 역사
1. 우리 민족 언어 생활의 역사
2. 영어 등 서양 언어의 사례
Ⅳ. 한글맞춤법의 총칙
1. 제 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제 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3. 제 3항 외래어는 ꡐ외래어 표기법ꡑ에 따라 적는다
Ⅴ. 한글맞춤법의 내용
1. 자음
2. 구개음화
3. 모음
4. 두음법칙
1)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경우
2) 한자음 ‘랴, 려,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경우
3)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경우
5. 어간과 어미
6.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7.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3) 두 말이 어울릴 적에 ‘ㅂ’소리나 ‘ㅎ’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음
8. 띄어쓰기
Ⅵ. 한글맞춤법의 파괴
1. 연철
2. 자모 표기의 오류
1) 홀소리의 교체
2) 닿소리의 교체
Ⅶ. 한글맞춤법과 표준어
Ⅷ.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Ⅸ.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Ⅱ. 한글맞춤법의 원리
Ⅲ. 한글맞춤법의 역사
1. 우리 민족 언어 생활의 역사
2. 영어 등 서양 언어의 사례
Ⅳ. 한글맞춤법의 총칙
1. 제 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제 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3. 제 3항 외래어는 ꡐ외래어 표기법ꡑ에 따라 적는다
Ⅴ. 한글맞춤법의 내용
1. 자음
2. 구개음화
3. 모음
4. 두음법칙
1)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경우
2) 한자음 ‘랴, 려,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경우
3)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경우
5. 어간과 어미
6.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7.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3) 두 말이 어울릴 적에 ‘ㅂ’소리나 ‘ㅎ’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음
8. 띄어쓰기
Ⅵ. 한글맞춤법의 파괴
1. 연철
2. 자모 표기의 오류
1) 홀소리의 교체
2) 닿소리의 교체
Ⅶ. 한글맞춤법과 표준어
Ⅷ.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Ⅸ.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ㄴ’소리가 덧나는 것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가윗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 두 음절로 된 한자어
곳간(고간) 셋방(세방) 숫자(수자) 찻간(차간) 툇간(퇴간) 횟수(회수)
3) 두 말이 어울릴 적에 ‘ㅂ’소리나 ‘ㅎ’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음
* ‘ㅂ’ 소리가 덧나는 것
댑싸리 멥쌀 볍씨 입때 입쌀 접때 좁쌀 햅쌀
* ‘ㅎ’ 소리가 덧나는 것
머리카락 살코기 수캐 수컷 수탉 안팎 암캐 암컷 암탉
8. 띄어쓰기
가. 의존 명사는 띄어 씀
아는 것이 힘이다. 나도 할 수 있다. 먹을 만큼 먹어라. 아는 이를 만났다. 네가 뜻한 바를 알겠다. 그가 떠난 지가 오래다.
나.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씀
한 개 차 한 대 금 서 돈 소 한 마리 옷 한 벌 열 살 조기 한 손
연필 한 자루 버선 한 죽 집 한 채 신 두 켤레 북어 한 쾌
* 단위를 나타내는 말이라고 하더라도 우리말로 표기된 것은 띄어 쓰고, 기호로 된 것은 숫자에 붙여 쓰면 됨.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음.
두시 삼십분 오초 제일과 삼학년 육층 1446년 10월 9일 2대대 16동 502호 제1실습실 80원 10개 7미터
다. 수를 적을 적에는 ‘만(만)’ 단위로 띄어 씀
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
12억 3456만 7898
라.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다음의 말들은 띄어 씀
국장 겸 과장 열 내지 스물 청군 대 백군 책상, 걸상 등이 있다
이사장 및 이사들 사과, 배, 귤 등등 사과, 배 등속 부산, 광주 등지
마.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음
그때 그곳 좀더 큰것 이말 저말 한잎 두잎
바.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씀.
김양수(김양수) 서화담(서화담) 채명신 씨 최치원 선생 박동식 박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
* 다만, 성과 이름, 성과 호를 분명히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음.
남궁억/남궁 억 독고준/독고 준 황보지봉(황보지봉)/황보 지봉
사. 성명 이외의 고유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음
대한 중학교(대한중학교) 한국 대학교 사범 대학(한국대학교 사범대학)
아.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음.
만성 골수성 백혈병(만성골수성백혈병)
중거리 탄소 유도탄(중거리탄소유도탄)
Ⅵ. 한글맞춤법의 파괴
‘한글 맞춤법’은 1933년에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바탕으로 몇 번의 개정을 거쳐 현재는 1989년 3월 1일에 공포된 것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이 우리말을 표기할 때 지켜야 할 규범이다. 그러므로 각급 학교에서는 이에 대한 교육을 시켜야 하고, 학생들도 이를 따라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각급 학교 학생들을 이를 무시하고, 규범에도 없는 표기를 마구 하고 있으며, 그런 현상은 점점 도를 더해 가고 있는 중이다.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은 규범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의 결과이기도 하지만, 요즘 학생들이 흔히 사용하는 컴퓨터의 자판과 휴대전화의 글자판에서 속도 위주로 문자를 치다 보면, 순간적으로 오자나 이상한 문자가 만들어지기 쉬운데, 이를 다시 고치기보다는 그냥 그것을 놓아두거나, 남에게 전신으로 보내 버리는 데에서 습관화가 된 것이라고 본다.
1. 연철
연철은 앞 음절이 닿소리로 끝나고, 뒤 음절이 홀소리로 시작될 때 앞 음절의 받침닿소리가 뒤 음절의 첫소리로 발음되는 현상이다. ‘한글 맞춤법’에서는 하나의 형태소에서 나타나는 이런 현상은 발음되는 대로 표기하나, 그렇지 않고 두 개의 형태소들이 배합될 때에는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하여, 형태소의 기본 형태[basic morph]를 밝혀 적는다든가, 받침을 연철시켜 적도록 하고 있다.(국립국어연구원)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기본 형태를 밝혀 적어야 할 경우에 학생들은 그냥 발음되는 대로 적거나, 기본 형태의 어떤 자모를 생략해 버린 채로 연철해서 쓰기도 한다.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는 것은 앞의 음절의 받침이 뒤의 음절이 홀소리로 시작될 때 그 앞으로 옮겨가는 것만이 아니라, 음소와 음소가 합쳐지거나, 한 음소가 묵음이 되는 것까지를 포함한다. 이 경우 형태소 위주의 표기법은 완전히 무시된다. 다음의 예들을 보자.
(1)ㄱ. 사라미(사람이) 인가니(인간이) 나미(남이) 미수기(미숙이) 열씨미(열심히), 지으니(지은이), 마자요(맞아요), 이써요(있어요), 마라(말아), 해써요(했어요), 이씀(있음), 가튼데(같은데), 되자나(되잖아), 죽자나요(죽잖아요), 알아써요(알았어요), 무러봐도(물어봐도), 이써요(있어요)(이하 생략)
ㄴ. 추카추카(축하축하), 만타(많다), 조치(좋지), 조귁네(좋겠네), 조타(좋다), 그러케(그렇게), 차칸(착한), 실코(싫고), 더러피는(더럽히는), 가치(같이)
ㄷ. 시러(싫어), 시른데(싫은데), 되자너(되잖아), 모르자너(모르잖아), 저나(전화), 많아서(마나서), 되자나(되잖아), 조아(좋아), 마니(많이), 조아(좋아), 마니마니(많이많이), 어리자너(어리잖아)
(1ㄱ)은 앞 음절의 홑받침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로 연철되는 것을 그대로 적은 예들이고, (1ㄴ)은 두 음운이 배합되어 하나의 음소로 변동되거나, 다른 음소로 바뀌는 것을 소리대로 적은 것이며, (1ㄷ)은 형태소에서 한 음소가 축약된 다음 연철되는 것을 그대로 적은 예들이다.
2. 자모 표기의 오류
자모 표기의 오류는 학생들이 올바른 자모의 쓰임을 모르는 데 기인한다고 볼 수도 있으나, 표준 발음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또는 그냥 재미로 그렇게 쓰는 것이 대부분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는 홀소리 교체와 닿소리 교체, 자모 또는 음절의 첨가와 탈락이 있다.
1) 홀소리의 교체
홀소리 교체는 음운론적으로는 홑홀소리끼리의 교체, 겹홀소리와 홑홀소리의 교체 등이 있으나, 표기에서 일어나는 이 현상들은 어떤 규칙에 의한다기보다는 착각이거나 습관, 발음의 오류에서 기인한다.
(2) ㄱ ① ㅏ → ㅑ :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가윗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 두 음절로 된 한자어
곳간(고간) 셋방(세방) 숫자(수자) 찻간(차간) 툇간(퇴간) 횟수(회수)
3) 두 말이 어울릴 적에 ‘ㅂ’소리나 ‘ㅎ’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음
* ‘ㅂ’ 소리가 덧나는 것
댑싸리 멥쌀 볍씨 입때 입쌀 접때 좁쌀 햅쌀
* ‘ㅎ’ 소리가 덧나는 것
머리카락 살코기 수캐 수컷 수탉 안팎 암캐 암컷 암탉
8. 띄어쓰기
가. 의존 명사는 띄어 씀
아는 것이 힘이다. 나도 할 수 있다. 먹을 만큼 먹어라. 아는 이를 만났다. 네가 뜻한 바를 알겠다. 그가 떠난 지가 오래다.
나.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씀
한 개 차 한 대 금 서 돈 소 한 마리 옷 한 벌 열 살 조기 한 손
연필 한 자루 버선 한 죽 집 한 채 신 두 켤레 북어 한 쾌
* 단위를 나타내는 말이라고 하더라도 우리말로 표기된 것은 띄어 쓰고, 기호로 된 것은 숫자에 붙여 쓰면 됨.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음.
두시 삼십분 오초 제일과 삼학년 육층 1446년 10월 9일 2대대 16동 502호 제1실습실 80원 10개 7미터
다. 수를 적을 적에는 ‘만(만)’ 단위로 띄어 씀
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
12억 3456만 7898
라.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다음의 말들은 띄어 씀
국장 겸 과장 열 내지 스물 청군 대 백군 책상, 걸상 등이 있다
이사장 및 이사들 사과, 배, 귤 등등 사과, 배 등속 부산, 광주 등지
마.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음
그때 그곳 좀더 큰것 이말 저말 한잎 두잎
바.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씀.
김양수(김양수) 서화담(서화담) 채명신 씨 최치원 선생 박동식 박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
* 다만, 성과 이름, 성과 호를 분명히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음.
남궁억/남궁 억 독고준/독고 준 황보지봉(황보지봉)/황보 지봉
사. 성명 이외의 고유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음
대한 중학교(대한중학교) 한국 대학교 사범 대학(한국대학교 사범대학)
아.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음.
만성 골수성 백혈병(만성골수성백혈병)
중거리 탄소 유도탄(중거리탄소유도탄)
Ⅵ. 한글맞춤법의 파괴
‘한글 맞춤법’은 1933년에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바탕으로 몇 번의 개정을 거쳐 현재는 1989년 3월 1일에 공포된 것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이 우리말을 표기할 때 지켜야 할 규범이다. 그러므로 각급 학교에서는 이에 대한 교육을 시켜야 하고, 학생들도 이를 따라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각급 학교 학생들을 이를 무시하고, 규범에도 없는 표기를 마구 하고 있으며, 그런 현상은 점점 도를 더해 가고 있는 중이다.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은 규범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의 결과이기도 하지만, 요즘 학생들이 흔히 사용하는 컴퓨터의 자판과 휴대전화의 글자판에서 속도 위주로 문자를 치다 보면, 순간적으로 오자나 이상한 문자가 만들어지기 쉬운데, 이를 다시 고치기보다는 그냥 그것을 놓아두거나, 남에게 전신으로 보내 버리는 데에서 습관화가 된 것이라고 본다.
1. 연철
연철은 앞 음절이 닿소리로 끝나고, 뒤 음절이 홀소리로 시작될 때 앞 음절의 받침닿소리가 뒤 음절의 첫소리로 발음되는 현상이다. ‘한글 맞춤법’에서는 하나의 형태소에서 나타나는 이런 현상은 발음되는 대로 표기하나, 그렇지 않고 두 개의 형태소들이 배합될 때에는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하여, 형태소의 기본 형태[basic morph]를 밝혀 적는다든가, 받침을 연철시켜 적도록 하고 있다.(국립국어연구원)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기본 형태를 밝혀 적어야 할 경우에 학생들은 그냥 발음되는 대로 적거나, 기본 형태의 어떤 자모를 생략해 버린 채로 연철해서 쓰기도 한다.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는 것은 앞의 음절의 받침이 뒤의 음절이 홀소리로 시작될 때 그 앞으로 옮겨가는 것만이 아니라, 음소와 음소가 합쳐지거나, 한 음소가 묵음이 되는 것까지를 포함한다. 이 경우 형태소 위주의 표기법은 완전히 무시된다. 다음의 예들을 보자.
(1)ㄱ. 사라미(사람이) 인가니(인간이) 나미(남이) 미수기(미숙이) 열씨미(열심히), 지으니(지은이), 마자요(맞아요), 이써요(있어요), 마라(말아), 해써요(했어요), 이씀(있음), 가튼데(같은데), 되자나(되잖아), 죽자나요(죽잖아요), 알아써요(알았어요), 무러봐도(물어봐도), 이써요(있어요)(이하 생략)
ㄴ. 추카추카(축하축하), 만타(많다), 조치(좋지), 조귁네(좋겠네), 조타(좋다), 그러케(그렇게), 차칸(착한), 실코(싫고), 더러피는(더럽히는), 가치(같이)
ㄷ. 시러(싫어), 시른데(싫은데), 되자너(되잖아), 모르자너(모르잖아), 저나(전화), 많아서(마나서), 되자나(되잖아), 조아(좋아), 마니(많이), 조아(좋아), 마니마니(많이많이), 어리자너(어리잖아)
(1ㄱ)은 앞 음절의 홑받침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로 연철되는 것을 그대로 적은 예들이고, (1ㄴ)은 두 음운이 배합되어 하나의 음소로 변동되거나, 다른 음소로 바뀌는 것을 소리대로 적은 것이며, (1ㄷ)은 형태소에서 한 음소가 축약된 다음 연철되는 것을 그대로 적은 예들이다.
2. 자모 표기의 오류
자모 표기의 오류는 학생들이 올바른 자모의 쓰임을 모르는 데 기인한다고 볼 수도 있으나, 표준 발음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또는 그냥 재미로 그렇게 쓰는 것이 대부분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는 홀소리 교체와 닿소리 교체, 자모 또는 음절의 첨가와 탈락이 있다.
1) 홀소리의 교체
홀소리 교체는 음운론적으로는 홑홀소리끼리의 교체, 겹홀소리와 홑홀소리의 교체 등이 있으나, 표기에서 일어나는 이 현상들은 어떤 규칙에 의한다기보다는 착각이거나 습관, 발음의 오류에서 기인한다.
(2) ㄱ ① ㅏ → ㅑ :
추천자료
한글과 컴퓨터
한글오용사례조사
한글의 우수성과 외국인들의 평가
한글의 우수성과 세계속의 위상
[사회과학] 한글창제의 BSC분석
한글 연구
「한글, 위대한 문자의 탄생」를 활용한 한글 교육의 교수-학습과 평가
[한국][요리][24절기][한글][훈민정음][전통의복][한복][노리개][탈][태극기]한국 요리, 한국...
표준의 정의, 표준의 구분 고찰과 표준화의 중요성, 표준화 관련 주요기구, 표준화의 시장확...
[문자][문자의 발달][한글음성문자][가림토문자][상형문자][비보문자][중국의 문자]문자의 발...
완성형 한글(KSC-5601, 1987 완성형 코드)과 조합형 한글(KSC-5601, 1992 조합형 코드), 유니...
[언어의이해 C형] 한글의 창제에 대해 간략히 기술 - 방통대 중간과제물 한글창제
한글의 창제 원리를 간략히 기술하시오 (노마 히데끼, 한글의 탄생, 1-3장. 돌배게.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