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민장군 일대기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시민장군 일대기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주요업적
2.생애
3.조선왕조실록 연대별 요약
4.김시민장군 문화재
5.교훈

본문내용

월19일
빈청이 정왜 공신의 첨삭에의 문제점과 2등에는 녹훈자가 없음을 아뢰다
1604
선조37년
6월21일
빈청이 무신들의 녹훈이 미온한 것과, 유영경이 없이 의계함이 미안함을 아뢰다
1604
선조37년
6월21일
빈청이 지금까지 의논한 공신단자를 다시 써서 입계하겠다고 하다
1604
선조37년
6월25일
대대적으로 공신을 봉하니 명칭은 호성 공신, 선무 공신, 청난 공신이다.
(선무 공신 1등은 이순신·권율·원균 세 대장을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 공신, 2등은 신점·권응수·김시민·이정암·이억기를 효충장의협력선무 공신, 3등은 정기원·권협·유사원·고언백·이광악·조경·권준·이순신·기효근·이운룡인데 효충장의선무 공신이라 함. 각각 관작을 내리고 군(君)으로 봉했는데 모두 18인이다)
1604
선조37년
10월29일
선무 공신의 교서를 반급할 때에 선독한 별교서
(권응수(權應銖)·김시민(金時敏)·이정암(李廷)·이억기(李億祺)를 2등에 봉하고 모습을 그려 후세에 전하며 관작과 품계를 두 자급 초천한다)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jsp#
■ 김시민 장군 유형문화재
김시민 장군 전공비
- 경남유형문화재 제1호
-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
김시민 장군 유허지
- 충청북도기념물 제166호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가전리에 있는 김시민의 생가지
김시민 장군 충민사
- 충무공 김시민, 문숙공, 김제갑의 위패를 봉안, 제향하는 사당.
■ 교훈
- 진주대첩의 영웅, 충무공 김시민 장군! 이번 한국사 레포트의 조사인물을 김시민장군으로 결정하게되어 그의 일대기와 역사적사실에 대해서 조사하게 되었다.
사실 나는 국사에 대해서 관심도 없고 잘 모르고 있어서 임진왜란을 생각하면 이순신장군밖에 떠오르지 않고 3대 대첩 중에서도 이순신장군의 한산도대첩에 대해서밖에 몰랐다. 권율장군과 김시민장군, 행주대첩과 진주대첩을 모두 알고 있긴 했지만 각각 인물과 대첩에 대해서는 알긴 했지만 매칭이 안됐다. 그리고 김시민장군과 권율장군이 임진왜란 때 왜적으로부터 나라를 지킨 인물이었다는 걸 모르고 있었다는 게 너무 부끄러웠다. 중고등학교 때 분명 배운 내용 이었을 텐데 얼마나 관심이 없었으면 기억을 못할까, 그래도 이렇게나마 지난 역사에 대해서 공부하고 내가 모르는 지식을 채울 수 있어서 자료를 짜 맞추기만 하느라 정신없었던 게 아니라 좋은 역사 공부가 되었다.
다시 한 번 임진왜란의 우리나라를 지킨 주요 3대 대첩과 인물을 살펴보면 권율장군의 행주대첩, 이순신장군의 한산도대첩, 진주대첩의 김시민장군으로 들 수 있다. 그들은 우리나라를 왜적으로부터 지킨 영웅들이다.
이 중 내가 이번 과제를 하면서 조사한 김시민 장군은 비록 39세라는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신 우리나라의 영웅이다. 우리들은 그를 ‘진주대첩 김시민장군!’이니까 모두 백성들에게 좋은 관리, 장군으로만 알고 있는데 그에게도 과거에는 백성들의 구휼에 적극적이지 않고 백성들을 돌보지 않아 관직에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1.22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00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