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대신 복지관 방과 후 프로그램에서 예습 및 복습을 한다.
ct는 공부에 흥미를 느끼고, 과제나 수행평가 등에 최선을 다한다.
(7) 의료 상황
현재 ct에게는 건강상의 문제가 보이지 않으나, 조모의 암 투병생활이 장기간인 탓에 간병인 역할까지 수행하는 중이다. ct의 가족에게는 보다 적극적인 의료지원이 필요하다.
(8) 지역사회 상황
ct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는 모두 영구임대아파트로만 구성되어진 아파트단지이며, 주변에 중, 고등학교 등 교육시설과 성남중앙도서관이 바로 뒤편으로 있다. 복지관 또한 아파트단지 내에 위치하여 문화적으로나 지리적으로나 많은 혜택을 박고 있는 편이며, 학교사회사업이 잘 구축되어진 곳이라 ct와 더불어 많은 아이들이 복지관 프로그램을 이용중이다.
(9) 심리사회적 상황
ct의 심리사회적 상태는 함께 복지관에서 공부하는 친구들과의 관계를 좋으나, 학교 내 다른 친구들과는 별로 어울리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음. 즉 친구를 골라 사귀는 경향이 있음.
4.사정 (assessmant)
(1) 현재의 주요 문제
ct에게는 무엇보다 모와 함께 하는 시간이 부족, 또한 조모의 암 투병으로 인해 집안 분위기 자체가 침체되어 있음, 이러한 상황을 5년 연속 지켜 오다 보니 현실수용으로 가버리는 경향이 있다. (ex: 원래 우리 집은 그래요 라는 형식의 말투를 자주 이용)
ct는 또래 아이들처럼 놀러 가고 싶어 하지만, 가정형편이 부족해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도 보인다.
인터넷을 하고 싶지만, 집안에는 컴퓨터가 없으며, 사회복지관에서 할 수 밖에 없으므로 컴퓨터에 강한 집착을 보인다.
(2) ct의 강점 및 지원
ct는 수학과목에 흥미를 매우 느끼며, 교우관계도 좋다, 자신의 환경을 나쁘게 받아들이지 않고 밝게 살아가는 모습이 ct에게는 강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조모의 건강을 염려하고 고모와 끈끈한 관계를 유지하며, 특히 여동생을 챙기는 등 앞으로 ct의 가족을 이끌어 갈 잠재력을 소유했다.
(3) 개입방법 및 계획
1. 사회복지관에서 앞으로 더 많은 프로그램을 통해 ct가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2. ct와 가족들이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ex: 공원산책, 문화체험)
3. ct의 가정에 도와줄 수 있는 후원자를 알아보기
4. ct가 열심히 공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주기
5. ct에게 컴퓨터 무상 대여해주기
(ex: 문제집 기증, 학습 도우미 서비스 등)
6. 빈곤아동을 위한 정책적 지원하기
(ex: 학교, 보건소,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등의 연결성 구축)
7. 건강체크서비스 지원하기-> ct의 조모에게
8. 올바른 부모역할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지원하기-> ct의 모에게
* 결론
ct의 가족은 따지고 보면, 복합적 가족이라 할 수 있다. 노인부양가족, 혹은 한부모 가족이다. 실질적으로 따지고 보면, ct의 조모는 역할 없는 역할을 가져 가족 내에서 수행역할이 존재하지 않아 한부모 가족이라 할 수 있다.
한번은 시계를 잃어버려서 운동장에서 종일 울면서 시계를 찾아 돌아다녔다고 한다. 요즘 아이들에게 볼 수 없는 순수함이 배여 있는 초등학생 5학년의 평범한 소년이었다. 다른 친구들처럼 갖고 싶은 것, 하고 싶은 것도 많은 나이지만 그렇지 못한 형편을 너무나 잘 알고 있는 ct는 밝고 명랑하였으며 보통 정상적인 가정 내 아동이라 생각이 들 정도였다 한다. ct는 선천적으로 긍정적 성격을 소유하여 자신의 어려움을 수월하게 헤쳐가고 있었으며, 공부하는 만큼 축구를 하고 싶어 하지만 저녁 늦게 조모를 돌봐야하므로 운동을 하지 못한다는 마음에 슬프다. 연락이 된다면 한번의 마음이라도 쓰고 싶다.
ct는 공부에 흥미를 느끼고, 과제나 수행평가 등에 최선을 다한다.
(7) 의료 상황
현재 ct에게는 건강상의 문제가 보이지 않으나, 조모의 암 투병생활이 장기간인 탓에 간병인 역할까지 수행하는 중이다. ct의 가족에게는 보다 적극적인 의료지원이 필요하다.
(8) 지역사회 상황
ct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는 모두 영구임대아파트로만 구성되어진 아파트단지이며, 주변에 중, 고등학교 등 교육시설과 성남중앙도서관이 바로 뒤편으로 있다. 복지관 또한 아파트단지 내에 위치하여 문화적으로나 지리적으로나 많은 혜택을 박고 있는 편이며, 학교사회사업이 잘 구축되어진 곳이라 ct와 더불어 많은 아이들이 복지관 프로그램을 이용중이다.
(9) 심리사회적 상황
ct의 심리사회적 상태는 함께 복지관에서 공부하는 친구들과의 관계를 좋으나, 학교 내 다른 친구들과는 별로 어울리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음. 즉 친구를 골라 사귀는 경향이 있음.
4.사정 (assessmant)
(1) 현재의 주요 문제
ct에게는 무엇보다 모와 함께 하는 시간이 부족, 또한 조모의 암 투병으로 인해 집안 분위기 자체가 침체되어 있음, 이러한 상황을 5년 연속 지켜 오다 보니 현실수용으로 가버리는 경향이 있다. (ex: 원래 우리 집은 그래요 라는 형식의 말투를 자주 이용)
ct는 또래 아이들처럼 놀러 가고 싶어 하지만, 가정형편이 부족해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도 보인다.
인터넷을 하고 싶지만, 집안에는 컴퓨터가 없으며, 사회복지관에서 할 수 밖에 없으므로 컴퓨터에 강한 집착을 보인다.
(2) ct의 강점 및 지원
ct는 수학과목에 흥미를 매우 느끼며, 교우관계도 좋다, 자신의 환경을 나쁘게 받아들이지 않고 밝게 살아가는 모습이 ct에게는 강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조모의 건강을 염려하고 고모와 끈끈한 관계를 유지하며, 특히 여동생을 챙기는 등 앞으로 ct의 가족을 이끌어 갈 잠재력을 소유했다.
(3) 개입방법 및 계획
1. 사회복지관에서 앞으로 더 많은 프로그램을 통해 ct가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2. ct와 가족들이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ex: 공원산책, 문화체험)
3. ct의 가정에 도와줄 수 있는 후원자를 알아보기
4. ct가 열심히 공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주기
5. ct에게 컴퓨터 무상 대여해주기
(ex: 문제집 기증, 학습 도우미 서비스 등)
6. 빈곤아동을 위한 정책적 지원하기
(ex: 학교, 보건소,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등의 연결성 구축)
7. 건강체크서비스 지원하기-> ct의 조모에게
8. 올바른 부모역할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지원하기-> ct의 모에게
* 결론
ct의 가족은 따지고 보면, 복합적 가족이라 할 수 있다. 노인부양가족, 혹은 한부모 가족이다. 실질적으로 따지고 보면, ct의 조모는 역할 없는 역할을 가져 가족 내에서 수행역할이 존재하지 않아 한부모 가족이라 할 수 있다.
한번은 시계를 잃어버려서 운동장에서 종일 울면서 시계를 찾아 돌아다녔다고 한다. 요즘 아이들에게 볼 수 없는 순수함이 배여 있는 초등학생 5학년의 평범한 소년이었다. 다른 친구들처럼 갖고 싶은 것, 하고 싶은 것도 많은 나이지만 그렇지 못한 형편을 너무나 잘 알고 있는 ct는 밝고 명랑하였으며 보통 정상적인 가정 내 아동이라 생각이 들 정도였다 한다. ct는 선천적으로 긍정적 성격을 소유하여 자신의 어려움을 수월하게 헤쳐가고 있었으며, 공부하는 만큼 축구를 하고 싶어 하지만 저녁 늦게 조모를 돌봐야하므로 운동을 하지 못한다는 마음에 슬프다. 연락이 된다면 한번의 마음이라도 쓰고 싶다.
추천자료
가족복지- 한부모가족복지
가족복지) 한국 가족복지의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가족복지 A+) 우리나라 장애인 가족복지의 현황과 문제점 및 대책과 발전방향
가족복지) 우리나라 가족복지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과제
가족복지) 우리나라 빈곤 가족복지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가족복지 A+) 우리나라 가족복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가족복지) 한국 가족복지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과제
가족복지) 한국 가족복지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가족복지A+) 한국 빈곤가족복지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가족복지 A+) 우리나라 입양가족복지의 문제점과 대책방안
가족복지) 우리나라 미혼모 가족복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가족복지의 주체와 가족복지서비스의 기능상의 특성에 따른 유형을 서술.
가족복지서비스의 개념과 내용 - 가족복지
가족복지정책의 현황 [가족복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