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수립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과제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소규모 개방경제국의 경우, 현재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건전성감독 규제를 일거에 전면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지에 대한 신중한 평가가 선행돼야 한다. 금융당국은 BCBS 최고위급 회의에서 확정된 자본 및 유동성 규제에 따라 국내 제도를 정비하고, 국내 은행들로 하여금 새로운 규제내용을 미리 준비토록 지도해 나가야 할 것이며 G20 의장국 입장에서 합리적 수준의 타협안 및 국제적 합의 도출을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신흥시장국의 경제적 특성에 적합한 시스템리스크 모니터링 체제 구축, 국제 유동성위험의 완화 방안 등 신흥시장국의 금융안정을 달성하기 위한 국제적인 공조 논의를 활성화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추천자료
국제금융(IMF)과 국제정세 - 국 제 통 화 기 금(IMF)과 금 융 위 기
[IMF][한국경제][한국경제정책][한국경제개혁][IMF외환위기][IMF금융위기][IMF경제위기][경제...
동유럽발 금융위기와 글로벌금융위기
[IMF][외환위기][경제위기][금융위기]IMF외환위기(경제위기)의 3가지 측면, IMF외환위기(경제...
금융위기와금융개혁 : 씨티뱅크와 산업은행
글로벌 기업의 위기극복 전략과 한국기업의 금융위기 극복 사례분석
금융위기에 의한 미국 자동차 Big 3(GM.포드,크라이슬러)의 위기
[금융기관론] 금융위기 이후 금융기관의 경영행태 변화와 과제
[금융위기] 우리나라에 중심의 금융위기 원인 결과 및 대책
IMF 금융위기를 초래한 금융정책 및 직접적 발생원인
[아시아][아시아 사회적 자본][아시아 신흥공업국][IMF]아시아 사회적 자본, 아시아 신흥공업...
[동아시아IMF경제위기]동아시아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 IMF금융위기)의 원인, 동아시아IMF...
[고용조정][IMF경제위기]고용조정의 유형, 고용조정의 중요성, 고용조정의 요인, 고용조정의 ...
재정위기 및 금융위기 - 무역장벽 <무역장벽의 이론과 사례>, 인센티브 <무역인센티브의 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