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2. 인지발달 단계
1) 감각운동기(sensorimotor period, 0~2세)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2~7세)
가) 전 개념적 사고 단계
나) 직관적 사고 단계
(1) 자기중심적 사고
(2) 물활론적 사고
(3) 상징적 사고
(4) 실재론적 사고
(5) 꿈의 실재론
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 7~11세)
4)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 11세 이후)
3. 주요 용어 정리
1) 도식(schema)
2) 적응(adaptation)
3) 동화(assimilation)
4) 조절(accommodation)
5) 평형(equilibration)
참고자료
2. 인지발달 단계
1) 감각운동기(sensorimotor period, 0~2세)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2~7세)
가) 전 개념적 사고 단계
나) 직관적 사고 단계
(1) 자기중심적 사고
(2) 물활론적 사고
(3) 상징적 사고
(4) 실재론적 사고
(5) 꿈의 실재론
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 7~11세)
4)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 11세 이후)
3. 주요 용어 정리
1) 도식(schema)
2) 적응(adaptation)
3) 동화(assimilation)
4) 조절(accommodation)
5) 평형(equilibration)
참고자료
본문내용
엷은 갈색조를 띠어 종의 생존에 대한 위협을 줄인다. 봄꽃의 아름다운 색채는 봄꽃의 생식과정에 참여하는 곤충을 유인한다. 이와 같이 적응은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는 개인 또는 환경의 수정을 포함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적응은 두 가지의 상호보완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동화와 조절이라는 수단이다.
동화(assimilation)
동화는 기존의 도식에 맞추어서 새로운 경험을 일반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쉽게 말해 새로운 경험을 기존에 가지고 있는 도식에 맞추어 보는 것을 말하는데, 만약 새로운 경험이 기존의 도식에 맞는다면 유기체는 인지적으로 평형상태가 된다. 물론 그렇지 않을 경우도 있다. 날아다니는 모든 물체를 새라고 배운 아이는 날아다니는 비행기를 보면서도 새라고 부르지만, 이 아이는 이것(비행기)이 털도 없고, 날개도 펄럭이지 않는 등 기존에 알고 있던 새와는 다르다고 느끼게 되면서 불평형의 상태가 된다.
조절(accommodation)
앞서 예를 든 것처럼, 만약 새로운 경험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도식에 맞지 않을 때, 유기체는 불평형의 상태를 겪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평형의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도식을 변경하거나 새롭게 만들게 된다. 불평형의 아이는 이제 새가 아니라고 결정짓고, 그것에 대해 새로운 이름을 만들어내게 된다. 이 과정이 곧 조절인 것이다. 아동이 조절을 할 때에는 도식의 형태에 질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아동이 사자를 보고 고양이라고 말할 때, 누군가가 “아니야, 그것은 사자란다.”라고 말해줌으로써 잘못을 바로잡을 수 있다. 이때 아동은 ‘사자’라고 불리는 새로운 도식을 형성하게 된다.
평형(equilibration)
끝으로 평형은 동화와 조절의 균형을 의미한다. 여기서 동화, 조절, 평형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예를 들어 살펴보자. 5세 된 아이가 하늘에 날아다니는 물체는 새라고 배웠다고 하자. 하늘에 날아다니는 물체를 볼 때마다 아이는 그 사물이 자기가 갖고 있는 기존체계, 즉 새라는 것에 자신의 생각을 ‘동화’시킨다. 그런데 어느 날 아이는 하늘을 날아가는 비행기를 보게 된다. 이 새로운 사물을 보고 아이는 그가 갖고 있는 기존개념인 새에 결부시키려고 하나 모양이나 크기 등이 너무 다르다. 그래서 아이는 기존의 체계를 변경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 과정이 ‘조절’이다. 아이는 이제 불평형 상태에 놓이게 된다. 즉 이 새로운 물체가 새인지 아닌지 만약 새가 아니라면 도대체 무엇인지 알 수 없다. 그래서 어머니에게 저 물체가 무엇인지를 물어본 결과 그것은 새가 아니라 비행기라는 답을 듣는다. 그리고 아이는 새와 비행기의 차이를 알게 되는데, 이것이 ‘평형’의 상태이다.
참고자료
위키백과, ko.wikipedia.org
곽금주 외, 아동발달심리학, 박학사, 2006.1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06.9
김동일 외, 아동발달과 학습, 교육출판사, 2004.9
권중돈, 김동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07. 9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작성자
동화(assimilation)
동화는 기존의 도식에 맞추어서 새로운 경험을 일반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쉽게 말해 새로운 경험을 기존에 가지고 있는 도식에 맞추어 보는 것을 말하는데, 만약 새로운 경험이 기존의 도식에 맞는다면 유기체는 인지적으로 평형상태가 된다. 물론 그렇지 않을 경우도 있다. 날아다니는 모든 물체를 새라고 배운 아이는 날아다니는 비행기를 보면서도 새라고 부르지만, 이 아이는 이것(비행기)이 털도 없고, 날개도 펄럭이지 않는 등 기존에 알고 있던 새와는 다르다고 느끼게 되면서 불평형의 상태가 된다.
조절(accommodation)
앞서 예를 든 것처럼, 만약 새로운 경험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도식에 맞지 않을 때, 유기체는 불평형의 상태를 겪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평형의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도식을 변경하거나 새롭게 만들게 된다. 불평형의 아이는 이제 새가 아니라고 결정짓고, 그것에 대해 새로운 이름을 만들어내게 된다. 이 과정이 곧 조절인 것이다. 아동이 조절을 할 때에는 도식의 형태에 질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아동이 사자를 보고 고양이라고 말할 때, 누군가가 “아니야, 그것은 사자란다.”라고 말해줌으로써 잘못을 바로잡을 수 있다. 이때 아동은 ‘사자’라고 불리는 새로운 도식을 형성하게 된다.
평형(equilibration)
끝으로 평형은 동화와 조절의 균형을 의미한다. 여기서 동화, 조절, 평형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예를 들어 살펴보자. 5세 된 아이가 하늘에 날아다니는 물체는 새라고 배웠다고 하자. 하늘에 날아다니는 물체를 볼 때마다 아이는 그 사물이 자기가 갖고 있는 기존체계, 즉 새라는 것에 자신의 생각을 ‘동화’시킨다. 그런데 어느 날 아이는 하늘을 날아가는 비행기를 보게 된다. 이 새로운 사물을 보고 아이는 그가 갖고 있는 기존개념인 새에 결부시키려고 하나 모양이나 크기 등이 너무 다르다. 그래서 아이는 기존의 체계를 변경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 과정이 ‘조절’이다. 아이는 이제 불평형 상태에 놓이게 된다. 즉 이 새로운 물체가 새인지 아닌지 만약 새가 아니라면 도대체 무엇인지 알 수 없다. 그래서 어머니에게 저 물체가 무엇인지를 물어본 결과 그것은 새가 아니라 비행기라는 답을 듣는다. 그리고 아이는 새와 비행기의 차이를 알게 되는데, 이것이 ‘평형’의 상태이다.
참고자료
위키백과, ko.wikipedia.org
곽금주 외, 아동발달심리학, 박학사, 2006.1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06.9
김동일 외, 아동발달과 학습, 교육출판사, 2004.9
권중돈, 김동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07. 9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작성자
추천자료
피아제의 인지발달론
[사회복지]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에 대한 조사 연구
유아교육학과의 입장에서 본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사범/법학]
교육심리학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피아제 인지발달단계 실험 분석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근거하여 유아기의 중요성을 설명
피아제 인지발달이론에 근거하여 유아기의 중요성을 설명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 중 감각운동기와 전조작기 세분화하여 비교 설명.
피아제의 인지발달론에 대해서 설명하고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어떻게 적용할수있는지 논하시오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에서 영아기는 감각운동기에 속한다.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사회복지현장 적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