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양촌 권근
1. 교육목적
2. 교육방법
3. 저서
Ⅱ.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퇴계 이황
Ⅲ.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율곡 이이
1. 율곡의 사상과 저서
2. 교육사상의 현대적 이해
Ⅳ.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반계 유형원
Ⅴ.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성호 이익
Ⅵ.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다산 정약용
1. 생애
2. 교육사상
Ⅶ.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담헌 홍대용
1. 사상적 근거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교육방법
5. 교육제도 개혁론
참고문헌
1. 교육목적
2. 교육방법
3. 저서
Ⅱ.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퇴계 이황
Ⅲ.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율곡 이이
1. 율곡의 사상과 저서
2. 교육사상의 현대적 이해
Ⅳ.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반계 유형원
Ⅴ.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성호 이익
Ⅵ.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다산 정약용
1. 생애
2. 교육사상
Ⅶ.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담헌 홍대용
1. 사상적 근거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교육방법
5. 교육제도 개혁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서(詩書), 부책(賦策)과 5학(성리학, 훈고학, 문장학, 과거학, 술수학)중심에서 생활의 지혜를 더해 주는 실용적 학문인 농업, 방직, 군사, 의학, 과학, 기술, 교재와 삼국사기, 고려사, 여지승람, 증비록, 연려실기술 등의 과목을 택하고, 과거문과 시험에 천문, 역법, 문리론(영농기구의 이론서), 병서, 산서, 율서 등 이용후생의 과목을 추가할 것을 제의하였다.
학구적인 방법은 이경중경(以經證經 : 고증적 학구법), 선식원의(先識原義 : 근본의 뜻을 먼저 알고), 연정구색(硏精究索 : 정밀하게 원리를 탐색하고), 실리강구(實理講究 : 실용원리를 가르치고 배우며), 성의정심(誠意正心 : 참된 뜻과 바른 마음가짐으로), 득사접물(得事接物 : 사물을 접해 경험을 통한 지식 습득)의 학구법을 제시하고, 그릇된 학습방법은 박문강기(博聞强記 : 많이 알고 애써 기억하는 방법)와 굉사호변(宏詞豪辯 : 큰소리로 읽고 호기스런 변론을 하는 방법)이며 교재의 본지(本旨)와 원의(原義)의 파악을 강조하여 주일무적(主一無適 : 정신 통일의 집중력 제고)방법과 박학(博學 : 많이 배우는 것), 심문(審問 : 자세히 묻는 것), 신사(愼思 : 신중하게 생각하는 것), 독행(篤行 : 성실히 실행하는 것)의 과정학습 중 박학(博學)에만 힘쓰고, 체행지술(體行之術 : 직접 체험하고 실천하는 방법)을 소홀히 하는 폐단을 지적하였다.
사람의 심성은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이루어져 상지(上智)와 하우(下愚)는 천품에 의한 것으로, 변하기 어렵다는 이론을 반박하고, 성상근(性相近 : 천성은 모든 사람에게 유사하며), 습상원(習相遠 : 생후에 획득한 습관에 의하여 현격한 차가 있다)의 논리를 들어 학지(學知 : 배워서 알고), 곤지(困知 : 자질이 둔해서 어렵게 알고), 곤이불학(困而不學) : 아주 다둔하여 도저히 학습할 수 없는 자)의 자연 결정론적 이론을 비판하고, 성효(成效 : 교육의 학습효과)를 통한 교화, 흥학(敎化, 興學 : 학교를 세워 교육시킴)으로써 복지사회를 건설하는 것이 목민관(牧民官)의 책무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사상과 생산적 실용학문을 잡학으로 천시하는 의식과 신분, 문벌, 지방, 당색의 편견을 타파하고 교육의 기회 균등을 실현하는 적성에 따른 특기교육 실시 및 영재의 유학 등 선진적 실학교육을 역설하였다. 다산의 교육 사상은 창의성(創意性), 탐구심(探究心), 숙련도(熟練度), 연마술(硏磨術), 개척력(開拓力)의 배양을 통한 교육입국(敎育立國)에 역점을 두었다.
Ⅶ.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담헌 홍대용
1. 사상적 근거
기철학의 전통에 두면서, 새로운 인간관과 과학적 인식을 통해, 근대 지향적 사상체계를 확립
2. 교육목적
도덕적이면서 실용을 지향하는 실천인 즉, 전인적 인간
3. 교육내용
실용교육과 실증에 기초한 과학기술교육
4. 교육방법
실증적 방법과 실천적 방법
5. 교육제도 개혁론
① 교육기회균등을 위한 교육제도 제안, 의무 교육제도를 실천하고자 함
② 전국은 도로 나누고 도는 9개의 군으로 나누며, 군은 9개의 현으로 나누며, 현은 9개의 사로 나누며 사는 9개의 면으로 나눈다는 행정단위에 따라 안으로는 서울의 9부와 도에서 면에 이르기까지 모두 학교를 설치한다. 그리고 8세 이상의 아동은 신분을 가리지 않고 초등교육기관인 제에 입학하게 함.
참고문헌
김태준, 홍대용 평전, 한길사
금장태(1998), 퇴계의 삶과 철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민족문화추진회(1997), 국역 퇴계집 I
윤천근,김복영(1999), 퇴계 선생과 이황
한국철학사연구회(1997), 한국철학사연구, 한울아카데미
황의동, 율곡 사상의 체계적 이해, 서광사
학구적인 방법은 이경중경(以經證經 : 고증적 학구법), 선식원의(先識原義 : 근본의 뜻을 먼저 알고), 연정구색(硏精究索 : 정밀하게 원리를 탐색하고), 실리강구(實理講究 : 실용원리를 가르치고 배우며), 성의정심(誠意正心 : 참된 뜻과 바른 마음가짐으로), 득사접물(得事接物 : 사물을 접해 경험을 통한 지식 습득)의 학구법을 제시하고, 그릇된 학습방법은 박문강기(博聞强記 : 많이 알고 애써 기억하는 방법)와 굉사호변(宏詞豪辯 : 큰소리로 읽고 호기스런 변론을 하는 방법)이며 교재의 본지(本旨)와 원의(原義)의 파악을 강조하여 주일무적(主一無適 : 정신 통일의 집중력 제고)방법과 박학(博學 : 많이 배우는 것), 심문(審問 : 자세히 묻는 것), 신사(愼思 : 신중하게 생각하는 것), 독행(篤行 : 성실히 실행하는 것)의 과정학습 중 박학(博學)에만 힘쓰고, 체행지술(體行之術 : 직접 체험하고 실천하는 방법)을 소홀히 하는 폐단을 지적하였다.
사람의 심성은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이루어져 상지(上智)와 하우(下愚)는 천품에 의한 것으로, 변하기 어렵다는 이론을 반박하고, 성상근(性相近 : 천성은 모든 사람에게 유사하며), 습상원(習相遠 : 생후에 획득한 습관에 의하여 현격한 차가 있다)의 논리를 들어 학지(學知 : 배워서 알고), 곤지(困知 : 자질이 둔해서 어렵게 알고), 곤이불학(困而不學) : 아주 다둔하여 도저히 학습할 수 없는 자)의 자연 결정론적 이론을 비판하고, 성효(成效 : 교육의 학습효과)를 통한 교화, 흥학(敎化, 興學 : 학교를 세워 교육시킴)으로써 복지사회를 건설하는 것이 목민관(牧民官)의 책무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사상과 생산적 실용학문을 잡학으로 천시하는 의식과 신분, 문벌, 지방, 당색의 편견을 타파하고 교육의 기회 균등을 실현하는 적성에 따른 특기교육 실시 및 영재의 유학 등 선진적 실학교육을 역설하였다. 다산의 교육 사상은 창의성(創意性), 탐구심(探究心), 숙련도(熟練度), 연마술(硏磨術), 개척력(開拓力)의 배양을 통한 교육입국(敎育立國)에 역점을 두었다.
Ⅶ.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담헌 홍대용
1. 사상적 근거
기철학의 전통에 두면서, 새로운 인간관과 과학적 인식을 통해, 근대 지향적 사상체계를 확립
2. 교육목적
도덕적이면서 실용을 지향하는 실천인 즉, 전인적 인간
3. 교육내용
실용교육과 실증에 기초한 과학기술교육
4. 교육방법
실증적 방법과 실천적 방법
5. 교육제도 개혁론
① 교육기회균등을 위한 교육제도 제안, 의무 교육제도를 실천하고자 함
② 전국은 도로 나누고 도는 9개의 군으로 나누며, 군은 9개의 현으로 나누며, 현은 9개의 사로 나누며 사는 9개의 면으로 나눈다는 행정단위에 따라 안으로는 서울의 9부와 도에서 면에 이르기까지 모두 학교를 설치한다. 그리고 8세 이상의 아동은 신분을 가리지 않고 초등교육기관인 제에 입학하게 함.
참고문헌
김태준, 홍대용 평전, 한길사
금장태(1998), 퇴계의 삶과 철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민족문화추진회(1997), 국역 퇴계집 I
윤천근,김복영(1999), 퇴계 선생과 이황
한국철학사연구회(1997), 한국철학사연구, 한울아카데미
황의동, 율곡 사상의 체계적 이해, 서광사
추천자료
- 조선시대 교육의 특징과 조선시대 교육의 문제점 및 고찰 및 현대교육에의 시사점
- [유학사상][탈주자학적 유학사상][신라시대 유학사상][고려시대 유학사상][조선시대 유학사상...
- 정신건강개론 및 자기발견과 적응 분석과 성리학적 접근(퇴계이황, 율곡이이 사상) 조사분석
- <한국사과 교수, 학습 지도안(4/8)> 조선 시대 통합 단원 구성 - 사극으로 보는 조선
- 2009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 교육과정 이론으로서의 성리학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농민항쟁, 조선사림정치
- [A+] 조선후기의 서민문화 - 조선시대 서민문화, 발달배경, 조선후기의 문학, 예술, 조선후기...
- [유교관][유교관 성격][유교관과 효사상][유교관과 인권][정산종사 유교관][유교관과 조선시...
- [근기 남인학파, 남인학파, 역사인식, 중국관, 조선후기실학, 성호 이익]근기 남인학파의 역...
- [신라, 조선, 왕권, 신라 왕권(신문왕), 신라 왕권강화, 조선 왕권(태조), 조선 왕권약화, 신...
- 간재전우 (艮齋 田愚, 이기심성론, 간재전우성리학, 심본성설, 성존심비, 송시열, 도학)
- [한국문학사] 조선 전기문학의 특징 - 『조선 전기의 특징』, 『조선 전기의 시조』, 『조선 ...
- 사단칠정논변의 핵심은 도덕 심성과 도덕 실천이다 - 퇴계 이황(退溪 李滉) (퇴계 이황의 사...
- 권근과 정도전의 신분적 차이,권근의 사상(철학사상 성리학,교육사상,입학도설), 정도전의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