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지역학습의 의의
Ⅲ. 지역학습의 논의와 실태
Ⅳ. 지역학습의 문제점
Ⅴ. 지역학습의 개선 방향
Ⅵ. 결론
참고문헌
Ⅱ. 지역학습의 의의
Ⅲ. 지역학습의 논의와 실태
Ⅳ. 지역학습의 문제점
Ⅴ. 지역학습의 개선 방향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사학생들을 위한 교재 개발의 구체적 절차나 지침을 탐구한 경우는 전무하다.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재 개발이 갖는 위상은 ‘how’에 절대적으로 선행하는 ‘what’의 문제이다. 어떤 교과이건 간에 교재 개발을 위해서는 내용 선정의 준거(criteria)와 내용 요소의 선정 범위(scope), 그리고 내용 조직의 방법(sequence)에 관한 일련의 연구 성과를 전제로 할 때 가능하다. 이 세 가지 주제에 관한 검토 없이 수행되는 교재 개발이란 다분히 연구자의 주관적 관심사에 기초한 자의적 내용 선정으로 귀착될 우려가 크며, 교육학적 여과를 거치지 않은 채 교수학적 변환 상의 오류를 범하기 쉽다. 따라서 지역학습 교재 개발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중요한 관건은 교실 수업의 두 주체로서 교사와 학생을 위한 지침 개발에 있는 것이다.
Ⅵ. 결론
지역교과서의 발간을 통해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추구하고 있는 초등 사회과의 지역학습과는 달리, 중등 사회과에서는 지역화를 위한 자료 수집부터 내용 구성, 수업 진행, 야외 답사 및 평가에 이르기까지 학습을 위한 전반적 과제가 시도 교육청이나 학교 당국에 맡겨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사실상 교사의 몫이나 다름없다. 중등 사회과의 지역학습에서 구조적 한계와 많은 제약 요인이 난제로 작용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교재 개발의 문제는 수업의 두 주체인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중등학교 지역학습의 실현을 위한 단초에 해당된다. 현시점에서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논의의 초점은 초등보다는 중등 사회과에서의 지역학습의 현실화 방안으로 수렴된다. 또한 이 부분의 중요한 쟁점 중 하나는 교사 변인인데,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교사들을 위한 표준 지침 내지 교재 개발이 필수적이다.
참고문헌
남호엽·김일기(2001), 지역 학습에 있어서 민족 정체성과 지역정체성의 관계-제주 지역 교과서 분석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제 36권 제14호
박선미(2000), 지리적 지식구성과정에 따른 구성주의 교수학습 원리,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사회과교육연구실 자료
박승희(1993), 지역사회 중심 교육과정의 발달 배경과 과제, 추국회 정년기념 논
윤옥경(2003), 지역에 대한 학습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이찬(1986), 사회과교육에서의 지역개념, 사회과교육 제19호,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최홍규(2001), 지역지리 내용구성과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박사학위 논문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재 개발이 갖는 위상은 ‘how’에 절대적으로 선행하는 ‘what’의 문제이다. 어떤 교과이건 간에 교재 개발을 위해서는 내용 선정의 준거(criteria)와 내용 요소의 선정 범위(scope), 그리고 내용 조직의 방법(sequence)에 관한 일련의 연구 성과를 전제로 할 때 가능하다. 이 세 가지 주제에 관한 검토 없이 수행되는 교재 개발이란 다분히 연구자의 주관적 관심사에 기초한 자의적 내용 선정으로 귀착될 우려가 크며, 교육학적 여과를 거치지 않은 채 교수학적 변환 상의 오류를 범하기 쉽다. 따라서 지역학습 교재 개발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중요한 관건은 교실 수업의 두 주체로서 교사와 학생을 위한 지침 개발에 있는 것이다.
Ⅵ. 결론
지역교과서의 발간을 통해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추구하고 있는 초등 사회과의 지역학습과는 달리, 중등 사회과에서는 지역화를 위한 자료 수집부터 내용 구성, 수업 진행, 야외 답사 및 평가에 이르기까지 학습을 위한 전반적 과제가 시도 교육청이나 학교 당국에 맡겨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사실상 교사의 몫이나 다름없다. 중등 사회과의 지역학습에서 구조적 한계와 많은 제약 요인이 난제로 작용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교재 개발의 문제는 수업의 두 주체인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중등학교 지역학습의 실현을 위한 단초에 해당된다. 현시점에서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논의의 초점은 초등보다는 중등 사회과에서의 지역학습의 현실화 방안으로 수렴된다. 또한 이 부분의 중요한 쟁점 중 하나는 교사 변인인데,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교사들을 위한 표준 지침 내지 교재 개발이 필수적이다.
참고문헌
남호엽·김일기(2001), 지역 학습에 있어서 민족 정체성과 지역정체성의 관계-제주 지역 교과서 분석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제 36권 제14호
박선미(2000), 지리적 지식구성과정에 따른 구성주의 교수학습 원리,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사회과교육연구실 자료
박승희(1993), 지역사회 중심 교육과정의 발달 배경과 과제, 추국회 정년기념 논
윤옥경(2003), 지역에 대한 학습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이찬(1986), 사회과교육에서의 지역개념, 사회과교육 제19호,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최홍규(2001), 지역지리 내용구성과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박사학위 논문
추천자료
한국의 지역사회운동과 지역아동센터 공부방 이해
[지역사회] 지역사회 정신보건 서비스 전달체계와 지원서비스 모델 - 미국
지역NGO와 지역언론의 기능 및 발전방향
[지역사회 복지론] 워렌(R. L. Warren)이 설명한 지역사회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는 척도에 ...
지역아동센터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 - 지역아동센터의 개요, 기능과 역할, 운영 및 현황
[경제학원론] 지역혁신체계(RIS)-지역혁신체계의 의미와 개념, 지역혁신체계의 구성요소와 필...
[지역사회복지론] 일본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우리나라 지역사회교육(지역평생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에 대하여 서술.
영유아보육기관과 지역사회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보육...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작성해보시오 (지역아동센터)
지역정책이란 왜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목표를 지향하고 있는지 논의해보시오. : 지역개발론 ...
지역사회복지론-지역사회에 관한 이론중 퇴니스의 공동사회와 이익사회에 대해 설명하고 이상...
[2017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4D] 영유아교육기관과 지역사회 연계에 대해 서술하시오(지역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