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 사이버 현대 정치사상의 비교 (중간+기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주대 사이버 현대 정치사상의 비교 (중간+기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하게 되자, 중국의 지식인들은, 마침 1차대전 기간 중에 공산화한 소련의 모형(모델,Model)을 좇아 중국의 공산혁명을 추친하는 노선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3) 즉, 중국의 젊은 지식인들이 공산주의자로 좌경화하게 되어 추후 공산주의 혁명의 선봉이 됨에 따라 중국에서의 공산혁명이 성공하게 되었던 것이다.
2)중국공산당의 창당
가) 과정
(1) 이상에서와 같이, 1919년 이후에 중국 내에서는 러시아혁명과 소련에 대한 우호적인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었다.
(2) 한편, 레닌은 1919년에 전세계로의 공산주의 확산을 위하여 모스크바에 코민테른(COMINTERN)*을 결성하였다. 그리고, 중국의 공산화를 목적으로 하여 코민테른의 동방부장인 보이틴스키(Grigori Naumovich Voitinsky, 1893-1956)를 1920년에 중국으로 파견하여 중국공산당의 창당을 추진한다.
※ 코민테른(COMINTERN)
- ‘Communist International’에서 굵은 글자 부분만을 줄인 것이다. ‘국제공산당’으로 번역할 수 있다.
- 러시아에서의 공산혁명이 성공한 이후 레닌의 주도에 의하여 전세계의 공산주의자와 공산당들을 통일적으로 지도하려는 목적으로 1919년 3월에 국제적인 조직체로서 창설되었다가 1943년 5 월 15일에 해체되었다.
(3) 1920년 보이틴스키는 이대교<중국어: 리다자오(李大釗), 1888-1927>· 진독수<중국어: 천두슈(陳獨秀), 1879~1942>를 접촉하고 중국공산당의 창당을 결정한다.
(4) 이러한 과정을 거쳐 1921년 7월 23일 중국 공산당(中國 共産黨, Chinese Communist Party)이 창당된다. 1921년 7월 23일에서 7월 31일 까지 중국공산당의 제1기 전국대표대회가 상해(上海)의 프랑스 조계(租界)에서 개최되었으며, 마지막날 회의인 7월 31일에는 감시를 피하기 위하여 절강성(浙江省)의 남호(南湖)로 대회장소를 옮겨 유람선위에서 대회를 마쳤다고 한다.
(5) 창당대회 당시 전국의 공산당원 50 여명을 대표하여 13명이 참가하였다고 한다. 2008년 현재 중국공산당원의 숫자는 약 7천 여만명이다.
나)조직
(1) 중국공산당은 창당시 맑스·레닌주의를 당의 행동지침으로 하고, 볼셰비키의 민주집중제를 조직원칙으로 채택하였다.
(2) 초대 당 지도자로는 진독수가 서기(書記)로 선출되었다.
3)정통시대(正統時代,1921-1927)와제1차국공합작(國共合作)시기
가) 개요
(1) 1921-1927년 사이의 중국공산당의 정통시대는, 중국공산당이 노동자 계급의 정당으로 자처하던 시기이다.
(2) 이 시기에 중국공산당은 맑스주의의 교과서적 이론에 충실하여 노동계급을 중심으로 파업·도시 봉기(都市 蜂起) 등의 방식으로 중국국민당에 대항하여 공산혁명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나)제1차국공합작(1923-1927)
(1) 한편, 이 시기에 중국공산당은, 우익정당인 중국국민당과 제1차 국공합작(國共合作, 1923-1927)을 추진하였다.
(2) 당시 손문은, 중국국민당의 강화를 추진하였으나, 서구 열강이 협조하지 않음에 따라 소련의 지원을 획득하기 위하여 중국공산당과 합작하기로 방침을 정한다
(3) 한편, 소련의 코민테른 역시 중국공산당에게 중국국민당과의 합작을 통해 중국공산당 당조직의 대중적 확장을 제의함에 따라, 중국공산당원은 중국 국민당에 개별적으로 입당하게 된다. 이는 1923년 1월 26일 손문과 소련 대표 요페(Adolf A. Joffee, 1883-1927)사이에 국공합작을 위한 공동 선언이 발표되고 중국공산당 제3차 전국대표대회(1923. 6.12-6.20)에서 중국국민당과의 합작이 결의되면서 공식적으로 추진된 다.
(4) 이에 따라 중국공산당원은 중국국민당에 가입함으로써 중국공산당 당원 이면서 동시에 중국국민당 당원이라는 2개의 당적을 갖게 되었다.
다) 장개석의반공쿠데타(1927)
(1) 공산당원의 급속한 증가
- 1921년 중국공산당 창당 당시 50 여명에 불과하였던 중국공산당원은, 제1차 국공합작 기간중에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 즉, 1927년 4월경에는 중국공산당원이 5만 8천 여명으로 급증하여 창당 초기에 비하여 1천 배가 넘는 증가세를 보였다.
(2) 장개석의 반공(反共)쿠데타(1927. 4.12)와 제1차 국공합작의 종료
- 이와 같은 중국국민당 내에서의 중국공산당원의 조직 급증에 위기감을 느낀 중국국민당의 지도자인 장개석<중국명: 장제스(蔣介石, 1887- 1975)>은, 1927년 4월 12일 상해에서 반공(反共)쿠데타를 일으켜 중국 공산당원에 대한 유혈 숙청을 단행하였다.
- 이리하여, 제1차 국공합작이 결렬되고 농촌혁명 시대로 진입하는 계기가 된다.
4)농촌혁명시대(農村革命時代,1927-1935)
가) 중국공산당의 침체
- 제1차 국공합작의 실패 이후 중국공산당의 지도부는, 온건파<陳獨秀·向忠發·王明(陳紹禹)>와 과격파(瞿秋白·李立三)지도자로 교체되는 가운데 침체되고 있었다.
나) 농촌혁명(AgrarianRevolution)과 중화소비에트 공화국의 수립(1931)
- 이러한 때에 중국혁명을 처음부터 농촌혁명으로 파악하고 중국에서의 공산혁명을 성공으로 이끌어 간 중국공산당의 지도자가 모택동<중국어: 마오쩌둥(毛澤東), 1893.12.26~1976.9.9>이다.
- 모택동은, 중국의 공산혁명은 중국 인구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농민을 주체로 한 농민혁명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모택동의 입장은, 기존 맑스·레닌주의의 교리가 공산혁명의 주체를 공장 노동계 급(프롤레타리아트, Proletariat)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과는 다른 이질적인 주장이었다. 그러나, 모택동의 입장은 중국의 실제 현실을 반영한 것이었다.
- 1927년 모택동은, 중국공산당 지도부의 지시에 따라 실행한 추수폭동이 실패한 이후 강서성(江西省)의 정강산(井岡山)을 혁명의 근거지로 삼아 농촌혁명의 길로 들어선다.
-모택동은 혁명의 근거지인 정강산에서 농민들에게 공산주의 사상을 전파하고 중국 국민당 정부군에 대항하여 유격전(遊擊戰)을 펼친다. 모택동이 건설한 정강산 근거지에 중국국민당 정부군의 진압에
  • 가격5,500
  • 페이지수80페이지
  • 등록일2010.12.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29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