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세진과 훈몽자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최세진과 훈몽자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언(緖言)

2. 최세진의 생애와 업적
2.1 최세진에 대한 평
2.2 최세진의 출생
2.3 최세진의 신분
2.4 최세진 연보
2.5. 최세진의 업적
2.6 최세진이 후대에 미친 영향

3. 訓蒙字會
3.1 訓蒙字會의 저작 동기
3.2 訓蒙字會의 체재와 판본
3.3. 訓蒙字會의 내용
3.4 訓蒙字會의 가치

4. 결언(結言)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알 길 없으나 그 내용에 虛字가 많고 實字가 적어서 이로써는 事物形名의 實狀을 아는 데는 맞지 않다고 批判하였다 이어서 初學字書에 대한 所見을 피력하였다.
“만일 어린아이 이 어린이는 지금의 어린이들과는 아주 다른 당시 신분상 능력상 선택된 어린이로 한문으로 된 책을 읽어야 하고 또 한문으로 된 글도 지어야 하며 한문으로 시험도 치러야 하는 그런 어린이를 말한다. - 이상도(1992) 『훈몽자회 편찬동기와 특징』, 중국학 연구 7집
에게 글을 배우고 글자를 알게 하려고 한다면 事物에 해당하는 實字 實字/半實半虛字/虛字는 구분되어야 한다. - 이상도(1992) 『훈몽자회 편찬동기와 특징』, 중국학 연구 7집
實字(全實之字) : 형상이 있는 사물을 나타내는 글자. 天 地 草 등의 구상명사
半實半虛字 : 實字,助字 이외의 문자. 대개 行 歸 高 같은 동사, 형용사 등과 대명사, 수사 등으로 쓰이는 字
虛字 : 다른 말에 붙어서 그 뜻을 돕는 말 之, 乎 등 助字와 註에 표기된 복음절어중(주로 한어어휘) 어휘적 의미없이 어법적 기능만 하는 字
를 먼저 알도록 하여서 보고 듣는 形名의 實狀과 아울러 가르친 연후에 비로소 다른 책을 읽어야 하는데 아이들에게 옛일을 알게 하는 데 있어 어찌『千字文』을 배우는 것만을 기다려야만 할 것인가.”라고 지적하고 있으니 이것이 곧 『訓蒙字會』의 저작 동기이다. 朴泰權(1974), 「崔世珍硏究」, 부산대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2 訓蒙字會의 체재와 판본 장주현(1988), 「훈몽자회의 어학적 연구-언문자모를 중심으로」, 청주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을 요약하였음
『訓蒙字會』는 上中下 3卷 1冊으로 되어 있으며 초간본은 조선 世祖元年(1455)에 강희안의 글을 字本으로 하였다. 표지에는‘訓蒙字會 全’이라는 書題가 있고 訓蒙字會引이 2엽, 범례와 언문자모 5엽, 訓蒙字會 목록 1엽, 상권 19엽, 중권 17엽, 하권 15엽 총 59엽이다. 그리고 매면 10행에 각행 18자인데, 親字는 中字, 小柱는 小字를 사용하고 部門이 바뀔 때마다 생을 새로이 하였으며 각권의 권두와 권미에는 上卷 中卷 下卷을 명기하고 있다.
그리고 편제는
訓蒙字會引
訓蒙字會凡例
諺文字母
訓蒙字會目次
本文
으로 되어 있는데 『訓蒙字會』인에서는 저술의 동기와 목적을 서술하고, 『訓蒙字會』범례에서는 제 1항은 한자수록의 원칙을, 제2항은 주(註)에 관련되는 것을, 제3항은 동자이음(同字異音)에 관한 것을, 제4항은 하권의 내용에 관한 것을, 제5항은 한자음에 관한 것을, 제6항은 석(釋)에 관련되는 것을, 제7항은 주에 관한 것을, 제8항은 석에 관한 것을, 제9항은 언문자모 수록 이유를, 제10항은 권학(勸學)에 관한 편자(編者)의 희망을 설명한 10개항의 범례와 언문자모를, 그리고 『訓蒙字會』목차에서는 상권 중권 하권의 유별목차(類別目次)를 수록하였으며 본문은
上卷
天文 地理 花品 草卉 樹木 菓實 禾穀 蔬菜 禽鳥 獸畜 鱗介
融蟲 身體 天倫 儒學 書式
中卷
人類 宮宅 官衙 器皿 食饌 服飾 舟船 車輿 鞍具 軍裝 彩色
布帛 金寶 音樂 疾病 喪葬
下卷
雜語
로 나누어 한자의 석과 음 그리고 주를 달았는데 최세진이
取全實之字 編成上中兩篇 又取半實半虛字 續補下篇 四字類取 諧韻作書 總三千三百六十字
라 하였듯이 상권과 중권에는 전실지자, 그리고 하권에는 반실반허자로 분류 각권에 16류 1,120자씩 총 3,360자로 네 자씩 유취(類取)하였다.
그러나 초간본에는 친자가 1행에 2자 내지 5자씩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사자유취되지 않고 있는데 이것은 아마도 천자문이나 유합처럼 매면 4행에 각행 4자씩 사자유취하기에 알맞은 을해자가 없었던가 아니면 활자의 부족에서 온 결과가 아닌가 생각된다. 그리하여 초간은 사자유취가 안된 주자본(鑄字本)으로 인쇄되었지만 중간(重刊)때부터는 모두 판식이 사자유취한 목판본으로 인간(印刊)되고 있다.
한편 『訓蒙字會』는 비록 四字類聚했다고 해도 사자일구(四字一句)의 방법인 천자문과는 달리 二字一語로 된 한자 어휘로 2개씩 모아 사자유취한 것으로 보는데 그것은 한자가 본래 단음절어를 표기하기 위한 고립문자이긴 해도 의미의 시차성(示差性)을 높이기 위해 복합어가 발달했기 때문에 실용적인 한자초학서인 『訓蒙字會』에서는 二字一語로 된 한자 어휘를 2개씩 모아 사자유취하는 것이 학습에도 편리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훈몽자회(訓蒙字會)』 판본의 계보도를 종합적으로 재구하면
제1기 제2기 제3기 제4기 제5기 제6기 제7기
漫本 活字本 - 叡山本
木版本 --------- 東中本-- 尊經閣本 奎章閣本 ―李仁榮本―宋錫夏3本
宋錫夏本 方鍾鉉本
洛汭本 --木版本 ----------------------- 李秉岐本 ―金亨奎本 ------光文會本
宋錫夏2本
와 같이 될 수 있다.
3.3. 訓蒙字會 의 내용 장주현(1988), 「훈몽자회의 어학적 연구-언문자모를 중심으로」, 청주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을 요약하였음
최세진은 한자를 전실지자, 반실반허자, 허자로 나누고 있는데 중국에서 전실지자(全實之字)는
以凡字之 有事理可解者 …… 實字之類五曰 名字 代字 動字 靜字 狀字
라 하였듯이 사리를 가히 해석할 수 있는 名字 代字 動字 靜字 狀字의 다섯가지를 가리키고 있으며 허자는
無解而惟以助實字之情態者 曰虛字 …… 虛字之類 介字 連字 助字 嘆字
라 하여 사실로 쓸 수 없으며 오로지 실자(實字)의 정태(情態)를 보조할 수 있는
介字 連字 助字 嘆字를 가리키고 있을 뿐 반실반허자는 없는데 최세진은 전실지자와 허자의 중간성격의 한자를 ‘반실반허자(半實半虛字)’라 명명하고 『訓蒙字會』에는 전실지자와 이 반실반허자만 수록하고 허자는 배울 것이 많으나 책의 양이 많아질 것을 걱정하여 수록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訓蒙字會』에 수록된 전실지자와 반실반허자 3,360자의 자석어휘(字釋語彙)를 품사별로 분류해 보면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3,360
2,449
14
16
693
188
100%
72.9%
0.4%
0.5%
20.6%
5.6%
와 같이 명사가 2,449개로 전체의 72.9%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訓蒙字會』 수록자는 모두 3,360자이나 이중 중출자(重出字)가 9자 있는데
달환
눈비얏츄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7.09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4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