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의 이해 A+ 노트정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남아의 이해 A+ 노트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필리핀

싱가포르

브루나이

미얀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본문내용

등과 더 유사하다
, 이슬람 믿고 분리 독립 운동 시작
* 필리핀 국기
- 빨강: 애국심·용맹·용기, 파랑: 평화·진실·정의, 삼각형의 하양: 순결·평화·우애.
- 태양의 노랑: 자유, 8개의 햇살: 스페인 독립혁명에 참가한 8개 도시의 자유.
- 3개의 별: 필리핀을 크게 나눈 세 지역인 루손섬, 비사얀제도, 민다나오섬
- 1943년 일본 점령하의 제2공화국에 의해 정식 국기로 정식 제정.
* 필리핀 개괄
적도의 약간 북쪽, 아시아 대륙 남동쪽의 서태평양에 산재하는 7000여 개의 섬들로 구성된 나라이다. 1565년부터 에스파냐가 정복하였고, 1898년 독립을 선언하였으나 에스파냐-미국 전쟁으로 미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943년 일본 점령을 거쳐 1945년 미국군이 탈환한 후 독립하였다.
정식국가명
필리핀 공화국(인구: 9034만 명)
위치
동남아시아
면적
300000㎢ (한국의 1.3배) 섬은 7000여개, 65% 산악
수도
메트로 마닐라(Metro Manila)
종족구성
말레인(95.9%), 중국인(1.5%), 미국·스페인 혼혈 다수
공용어
타갈로그어, 영어 (세부어: 20%)
종교
가톨릭(83%), 기독교(9%), 회교(5%), 불교(3%)
독립일
1898년 6월 12일
국가원수
글로리아 아로요 대통령(2004.6.30 제2기 취임)
정체
공화제(대통령제 6년 단임/상·하 양원제)
통화
페소(Philippine Peso)
1인당GDP
3,546 $(2008년 기준)
기후
고온다습, 아열대성 기후, 연평균 27도
건기: 12-4월, 우기: 5-11월
자연재해
태풍, 지진, 화산 등 자연재해 발생 빈도 많음
군대
11만 4천명
정식명칭은 필리핀공화국이다. 필리핀해, 셀레베스해, 남중국해의 경계를 이루며 타이완섬과 보르네오섬, 셀레베스섬 사이에 있다. 면적은 30만 400㎢에 달하는데, 국토를 크게 삼등분 할 수 있다. 곧, 지도상에서 북부의 루손섬과 중부 지역에 군집한 수천개의 섬인 비사얀제도 그리고 남부 지역의 민다나오섬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종족·언어와 같은 문화적 요소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지리적 구분에 의한 것이다.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해양국으로 인근 바다가 태풍의 발생지이며 환태평양조산대에 있기 때문에 화산과 지진으로 인한 피해도 적지 않다. * 역사
스페인 정복 이전 시대(~1517년)
1) 기원전후 말레이계가 유일, 정착
- 원주민인 네그리토는 산악지대로 이주
2) 이슬람의 유입
- 15세기 ~16세기에 걸쳐 이슬람 교도들이인도네이사로 부터 이주
- Sulu 열도로 부터 민다나오섬 일대에 걸쳐 정착
- Sutan 또는 Raja에 의해 지배되는 소규모 영토국가 성립
3) 부락공동체
- 지형적 여건(산악, 성)으로 정확과정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소규모의 Barangay
- 스페인 정복 시 전체인구 약 50만 명
스페인 식민지 시대(1571~1998년)
1) 마젤란의 필리핀 발견
- 1521년 마젤란이 사마르성에 상륙한 것을 계기로 하여 스페인은 수차례에 걸친 원정
- 1564년 에스파냐의 아시아 교역시작, 1565년 세부를 거점으로 함
- 1571년 필리핀을 정복
- 필리핀의 국명은 당시 스페인 국왕 Philip(펠리페 2세)에 유래하여 수도를 마닐라에 두고 약 330년간 지배
2) 스페인에 대한 저항운동
- 1860년 스페인에서 내란이 발생하자 필리핀의 대스페인 저항운동 시작
- 1892년 비밀 결사 \'Katipunan\'의 무장봉기 발발
- 1896년 미국과 스페인 전쟁, 스페인이 패함
* 1890년 호세리살이 민족주의 운동이끔(jose rizal)-> 1896년 에스파냐에의해 처형.
마지막 인사(처형 직전 여동생에게 보낸 애국시: ultimoadios 필리핀 독립정신이 잘 드러나 있음.
미국 식민지시대(1898~1946년)
1) 미국. 스페인 강화 조약
- 1898년 12·10조약: 미국. 스페인 강화조약으로 스페인이 2천만불의 대가를 받고 필리핀을 미국에 이양
2) 점진적인 자치허용
- 1916년 양원제 도입(창정의 문호개방)
일본군 점령(1942~1945년)
- 1942년 10월 14일 Jose P. Laurel 을 수반으로 하는 괴정부 수립
- 1947년 7월 4일 독립
공화국 정부 이후
- 미국독립 후 거대 가문 장악(로하스, 케손, 산토스, 페레스가, 아키노가 등
- 국가 충성 < 지주 개인 충성 강함
- 1960년 아시아 2번째 부국(일본다음)
- 1965년 마르코스 영구집권. 경제력은 낮아지고 무장봉기로 인해 사회가 혼란해짐
* 필리핀 지리적 위치와 종교
- 지리적 영향으로 인해 사회 통합 문제가 제기 됨
- 힌두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가장 동쪽에 위치 하므로)
- 이슬람의 영향은 만다나오 섬 중심
- 가톨릭은 16c 전파되어 현재 80% 이상이 가톨릭신자이다.
- 산아구스틴 성당은 1571년 스페인 식민기에 마닐라에 건설되었다.
* 통합된 이데올로기 부재
1) 서양열강 등장이 용이했다.
- 이전의 공통종교가 없음.
- 섬들의 네트워크는 있으나 종교적으로 끈끈하지 못함
- 때문에 쉽게 서양에 의해 식민지화 되었다.
- 통합적인 이데올로기가 존재하지 않는 점이 문제이다.
2) 제국의 역사가 없다.
- 과거 역시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크메르 제국, 미얀마의 바간제국처럼 화려한 역사가 없다.
* 민족운동
1) 동남아 국가는 민족주의 운동은 식민지 독립운동형태로 나타난다.
- 1920년대 세계정세에 눈뜬 지식인이 농민, 노동자, 민족 등 식민 제국자로부터 해방하기 위한 모색
2) 필리핀 민족운동의 특징
- 필리피노스(지배계층의 자존심/화교, 에스파냐계 혼혈인) 1890년 등장
에스파냐계 혼혈인 메스티소들이 자신들을 부르는 말이다. 에스파냐정부에 메스티소들도 에스파냐인으로 취급해 달라고 했지만 거절 당하여 \'필리피노스\'로 나중에 자칭을 바꾸었다.
그 민족주의는 필리핀 토착민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에스파냐계 혼혈인 메스티소들이 자신은 \'일루스트라도스(깨우친 자)\'라 칭하면서 에스파냐의 정부에 자신도 에스파냐인으로 취급해 달라는 말을 했는데, 이를 들은 에스파냐 정부가 불같이 화를 내며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12.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2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