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수혈간호에 대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사 수혈간호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혈순서
2. 수혈
3. 수혈의 부작용
4. 혈액제제
5. 혈액폐기, 반납

본문내용

험성은 항시 염두에 둔다. 제조 후 보관기간은 5일간)
- 수혈 세트 : 혈소판용 수혈 세트
백혈구 제거 적혈구 (Leukocyte poor red cells)
- 장기 이식시의 수혈 및 백혈구 항체로 인한 발열성 부작용방지
- Leukocyte remove filter를 통과한 적혈구
- 수혈 세트 : 적혈구용 수혈 세트
백혈구 제거 필터 (Leukocyte removal filter)
- 수혈제제에 포함되어 있는 백혈구에 의한 수혈 부작용으로 비용혈성 발열반응, Alloimmunization, CMV infection등을 예방할 수 있다.
- 적혈구 제제 → 약 10개, 혈소판 제제 → 10 ~ 10개의 백혈구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filter를 사용 함으로서 백혈구 수를 10개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방사선 조사 (Blood irradiation)
- 항암요법, 방사선, 면역억제 치료를 받아 환자의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경우 : 수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GVHD를 억제 시키기 위해 방사선 조사를 함으로서 세포성 면역을 일으키는 T-cell을 불활성화 시킨다.
- 이식편대숙주병 (Graft-Versus-Host Disease, GVHD)이란?
수혈된 혈액제제 중에 살아있는 임파구가 환자 체내에 생착, 증식해서 환자의 조직을 다른 물질로 인식해서 공격하는 반응.
수혈된 살아있는 림프구에 의해, 피부발진, 발열, 간기능 저하, 황달, 설사, 범혈구 감소증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6. 혈액을 반납하는 경우
불출 후 사용하지 않는 혈액 반납(OR혈액 전용 냉장고에 보관된 혈액, 15분 이내의 RBC, WB제재만 가능)
성분제제 (FFP 및 혈소판제제)는 반납 불가능함.
가. 혈액반납
a. 혈액은행에서 출고된 혈액 중 사용하지 않는 혈액을 반납할 경우 반납사유서를 주 치의가 기록과 서명 후 혈액은행으로 내린다. 간호기록지에 반납사유를 기록한다.
- 재사용이 가능한 반납 판정 기준
① 혈액을 병동으로 출고하였으나 사용되지 않고 출고한지 15분 이내에 혈액은행으 로 되돌아온 경우
② 혈액보관 냉장고가 있는 부서에서 혈액이 실온에 15분 이상 방치되지 않았던 혈 액을 혈액냉장고에 보관해서 2시간이내에 되돌아온 경우
- 재사용이 부적합한 반납(폐기) : 위 재사용 적합한 반납을 제외한 경우
7. 혈액의 폐기 - 잔여혈액 모두 혈액은행에서 일괄 폐기
혈액출고 후 15분 이상 경과, 혈액의 표면온도가 15°c 이상으로 된 혈액
혈액제제의 변질, 혈액bag의 파손, 수혈부작용 등의 원인으로 혈액폐기사유가 발생시 혈액폐기사유서에 의사가 세부사항을 기재, 작성하여 1장은 차트에보관, 1장을 혈액과 함께 혈액은행으로 보낸다. 폐기되는 혈액의 수가는 환자부담이므로 의사는 환자나 보호자에게 설명하여야 한다.
가. 수혈 setting이 되기 전 혈액은 폐기 사유서를, setting 후 남은 잔여혈액은 잔여혈 액 폐기 사유서를 작성하여 함께 혈액은행으로 보낸다.
잔여 폐기 사유서는 한 장만 작성하여 혈액은행에 보낸다.(24시간 접수)
나. 혈액폐기 사유 및 잔여혈액 폐기 후 간호기록지에 폐기사유 등을 기록한다.
다. 수혈을 모두 마친 빈 혈액백은 기존대로 병동에서 폐기한다.
☞ 이것만은 꼭
무수혈 환자 간호
빨간사진
- 종교적인 이유로 무수혈을 원하는 환자
무수혈 치료신청서 (여호와의 증인용 책임면제각서)를
무수혈 센터 간호사가 받아 의무기록에 보관한다.
파란사진
- 무수혈을 원하는 일반 환자
무수혈 진료신청서 (일반용)를 무수혈 센터 간호사가 받 아 의무기록에 보관한다.
5. 혈액 종류에 따른 적응증
수혈제제에 포함되어 있는 백혈구에 의한 수혈 부작용
(1) 비용혈성 발열반응 - 체온이 상승될 다른 이유 없이 수혈과 관계되어 체온이 1 ℃ 이상 증가하는 경우
(2) 동종 면역 (Alloimmunization, 백혈구 항체 생성) - 백혈구에는 각 개인에 특유한 HLA (Human Leukocyte Antigen)이 존재한다.
백혈구를 포함한 혈액제제를 반복 수혈하면 이들 항원에 의하여 감작되어 항체를 생성한다. 이러한 감작을 동종면역이라 한다.
(감작 - 동일한 물질에 대해서 과민한 반응을 하는 상태를 말함)
(3) CMV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 - CMV는 백혈구, 그 중에서도 과립구, 단구에 잠복해 있다가 감염을 일으키게 된다. = 환자의 림프구가 수혈된 백혈구의 HLA와 환자의 백혈구의 HLA와의 차이를 인식해서 항체 생성을 하는 자기면역체계에 의해 나타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12.16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36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