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식생활과 음식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 식생활과 음식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일본 요리의 명칭
2. 일본음식의 특징
3. 일본요리의 종류
4. 대표적 일본 음식
5. 일본의 식탁매너
6. 일본요리의 유형
7. 일본의 주류
8. 식생활의 미학 다도
9. 이타다키마스 (いただきます)
10. 고치소 (ごちそう)
11. 에키벤 (駅弁)
12. 갓포
13. 와리바시
14. 시대별로 본 일본 요리의 역사
결론.

본문내용

쿠로 변신하여 정착에 성공하였다.
2. 일본음식의 특징
일본식 음식은 12~16세기에 성립되어 17,18세기에 완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다가 메이지, 쇼와 시대에 들면서 서양식과 혼재하는 시대를 맞게 된다. 육류를 섭취하게 된 것은 메이지 시대 이후로서 그 역사가 짧다.
일식의 특징을 들라면 주식은 밥이고 반찬이 있으며 젓가락만 사용하는 것이다. 반찬은 고기와 생선, 채소와 콩류, 건물, 왜김치를 즐겨 건강식으로서 평가가 높다. 건물에는 무, 버섯, 녹미채 말린 것 등이 있다.
왜김치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특히 교토 지방의 쓰케모노는 60종이 넘을 만큼 다양하다. 쓰케모노는 소금으로만 절이는 것이 한국의 김치와 다른 점이라 하겠다. 일본의 김장 중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것은 무를 담근 다쿠앙이 있다. 간을 맞추는 데는 주로 소금과 다시(맛국물)를 사용하고 매운맛은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간의 농도는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다. 간사이 지방은 맛이 담백하고 간토 지방은 진하며 짠 편이다. 다시에는 미역, 가쓰오부시나 멸치를 사용한다. 조미료로서는 간장이 대표적이다. 그 밖에 설탕, 된장, 미림(맛술), 식초, 술 등을 사용한다.
[다섯 가지 색]을 중요시 하고 그 색이 어울리게 담아낸다.
흰색, 노랑, 빨강, 파랑, 검정
[다섯 가지 조리법]을 기본으로 요리한다.
날 것으로 먹기, 삶기, 굽기, 튀기기, 찌기
재료가 일 년 중 가장 맛있는 계절을 염두에 두고 요리한다.
식기는 기본적으로 한 사람 분씩 다로 쓰며, 도자기철기 등 변화가 많아 요리의 내용이나 계절에 따라 조화시킴으로써 요리상의 공간적 아름다움을 살린다.
눈으로 보는 요리라고 말할 만큼 외형의 아름다움을 존중하므로 조리하는 사람의 개성이나 기술에 대해서 까다롭고, 담는 방법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
관서 지방과 관동 지방의 지리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관서는 전통적인 일본요리가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요리가 주종을 이루는 데 반해, 관동 요리는 에도 막부가 생긴 뒤의 무가 요리로서 일찍부터 설탕을 손에 넣을 수 있었던 관계로 설탕과 간장을 많이 써서 요리의 맛이 진하다.
3. 일본요리의 종류
혼젠 요리
혼젠이란 ‘정식으로 차린 상’이란 의미이다. 원래 무사나 귀족들이 손님을 접대할 때 내던 요리상이다. 조그맣고 낮은 개인용 상에 몇 가지 요리를 차려 내오는 것으로 5상이나 7상을 내는 정식이다.
가이세키 요리
같은 발음의 가이세키 요리 중에 단체로 식사를 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여기에서 말하는 것은 다도에서 차려내는 요리명이다. 차를 마시는 도중에 공복을 채우기 위하여 먹는 간단한 식사로서 선을 하던 승려가 공복을 견디기 위하여 주머니에 돌을 넣고 선을 계속했다는 데서 유래하는 명칭이다. 밥, 국, 반찬의 세 가지 정도만 나온다.
쇼진 요리
쇼진이란 불교에서 열심히 도를 닦는다는 뜻이다. 살생유택의 계율에 따라 식물성 음식만을 먹게 된 데서 유래한 음식으로 야채, 콩, 두부, 유부, 낫토 등을 사용한다.
오세치 요리
정월 초에 먹는 음식을 가리킨다. 정초에는 불을 사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오세치 요리를 준비해 두었다가 사흘간 먹는다. 찬합에 담겨 있어서 손님이 와도 찬합째로 내면 된다. 죽순, 금귤, 도미와 다시마를 이용하는 것은 다산, 재산, 경사, 즐거움을 의미하기도 한다.
4. 대표적 일본 음식
스시
다시마로 우려 낸 물과 미림술로 지은 밥에 식초, 소금, 설탕 등으로 조미한 후, 신선한 생선, 생선 알, 조개, 계란, 야채 등의 날 것 또는 조리한 것을 밥 속에 넣거나 얹어서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든 대중적인 음식. 간장에 하나씩 찍어 먹으며 쇼가(생각을 얇게 썰어 설탕물과 식초에 절인 것)를 곁들여 먹음으로써 스시의 본래 맛을 살릴 수 있다. (스시란 초밥소스를 섞은 밥 위에 어패류나 계란, 채소 등을 얹어 먹는 에도 시대의 음식이다. 그 중 김으로만 것을 노라마키즈시, 즉 김밥이라고 한다. 김밥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이 한국의 김을 이용하여 개발한 스시의 일종이다.)
우동
밀가루로 만든 일본의 전통 면음식. 면발의 굵기는 4mm정도로 우리나라의 국수보다 굵다. 예로부터 일본 서민들이 즐겨 먹었으며, 오늘날에는 경식으로 발전하여 일본 어디에서나 전문 음식점을 찾아볼 수 있다. 우동은 대개 위에 얹은 첨가물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다.
- 난반우동 : 닭고기, 오리고기를 얇게 썰고, 비스듬히 썰은 파를 데쳐 얹는다.
- 츠키미우동 : 계란의 노른자를 터트리지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12.27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50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