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해부병태생리
2. 난소암(Ovarian cancer)의 정의
3. 원인
4. 종류
5. 난소암의 임상적 병기
6. 증상
7. 진단
8. 치료
9. 예후
Ⅲ. 간호과정
제 1단계 : 간호사정
제 2단계 : 간호진단
제 3 단계 : 간호계획
제 4 단계 : 간호중재
제 5 단계 : 간호평가
Ⅳ. 결론
• 참고문헌
Ⅱ. 문헌고찰
1. 해부병태생리
2. 난소암(Ovarian cancer)의 정의
3. 원인
4. 종류
5. 난소암의 임상적 병기
6. 증상
7. 진단
8. 치료
9. 예후
Ⅲ. 간호과정
제 1단계 : 간호사정
제 2단계 : 간호진단
제 3 단계 : 간호계획
제 4 단계 : 간호중재
제 5 단계 : 간호평가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술(second look operation): 선행 치료 효과의 판정, 현재 종양의 파급정도의 확인, 조직학적 검사, 잔류 종양의 제거와 향후 치료 방침을 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다. 그 시기는 항암 화학요법을 시작 후 6~24개월 사이에 한다. 일차 수술 시 남겨 둔 자궁 및 난소와 부속기들은 반드시 제거하고 육안적으로 이상이 없어도 후복막, 골반복막, 림프절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한다.
-장점: 종양이 존재하는데도 치료가 조기에 종결되는 것을 방지함 조직학적 증거에 의해 화학요법을 즉시 중단함으로 화학요법의 부작용을 최소 화 함 예후에 대한 정보를 환자에게 설명함으로써 환자의 정신적 안정과 치료에 적 극 참여할 수 있게 함
-단점: 수술에 대한 경비 수술의 위험성(수술 시나 수술후의 합병증) 생명연장에 대한 증거가 없음
이러한 이차 추시개복술에서 암이 존재하는데도 불구하고 육안적으로 조직학적으로 종양이 발견될 확률은 약 50%정도 밖에 되지 않으며 Ⅰ,Ⅱ기에서는 15%정도가 양성 소견을 보이고, 반대로 Ⅲ기 이상 에서는 겨우 35%정도에서 만이 음성소견을 보인다. 실제로 이차 추시개복술의 결과 음성으로 나오더라도 30-50%에서 5년 이내에 재발한다.
(2) 화학요법: 항암제는 수술을 통해 다 제거하지 못한 암을 치료하는 수단으로 사용한다. 난소암은 성인에게서 발생하는 암 중에서는 비교적 항암제가 효과를 발휘하는 암이다. 항암제는 내복하거나 정맥주사로 투여하며, 직접 복강내로 주입하기도 한다. 어떤 방법으로 투여하든 간에 항암제는 혈액 속에 들어가 전신을 돌며 작용하게 된다. 항암제를 반복해서 사용하면 암세포가 완전히 소멸되기도 하므로, 효과가 있는 한 어느 정도 이상의 부작용이 일어날 때까지는 항암제를 사용한다. 항암제의 부작용에는 혈액 중의 백혈구와 혈소판 수의 감소, 빈혈, 구역질과 구토, 식욕 저하, 탈모, 손발이 저리는 현상 등이 있다.
① 단일제제화학요법 melphalan, cisplatin, carboplatin, paclitaxel,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hexamethylmelamine, 5-fluorourcil 등이 사용
② 복합화학요법
HEXA-CAF(hexamethylmelamine, cychlophosphamide, methotrexate, 5-Fu), A-C(adriamycin, cychlophosphamide)들이 병용되고 있다.
(3) 방사선요법: 초기 난소암에서는 수술후 보조 요법으로, 진행성 난소암에서는 고식요법으로 사용된다. 방사선은 주로 복막표면을 통한 외부조사를 하며, 제 1~2기의 난소암의 조사량은 4,000~5,000rads이다. 그 외에 교질성 방사선 동위원소를 복막내에 점적주입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9. 예후
치료 후 5년 이상 생존하는 환자의 비율을 5년 생존율 이라고 하며 치료성과의 지표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난소암의 진행기별 치료성과는 다음과 같다.
병기
5년생존율
1기
80%
2기
60%
3기
23%
4기
14%
Ⅲ. 간호과정
제 1단계 : 간호사정
1) 개인력
이 름 : 김 × × 연 령 : 43세 성 별 : F
입원일 : 2007. 3. 22 사정일 : 2007. 4. 2 정보제공자 : 본인
진단명 : Malignant neoplasm of ovary
2) 건강력
입원동기 : 본 대상자는 palpable abdominal mass 주소로 본원 내원하여 2007년 2월 26 일 시행한 sono 검사상 상기 소견 보여 2nd look operation & chemoport(I-P)
insertion 위해 본원 adm.
(1) 현병력
C.C : CTx
발병당시~입원당시 : 2006년 간헐적으로 flank pain이 있어 본원 내원하여 sono등의 검사를 받은 대상자는 ovarian cancer 진단받고 수술의 권유를 받았었지만, 민간요법을 원하여 수술을 거부하다가 상태 호전되지 않아 다시 본원 내원하여 2005년 5월 TAL, BSO를 받고 stage2 chemotherapy를 마쳤다.
2007년 2월 26일 시행한 초음파 검사와 3월 9일 시행한 PET-CT의 검사결과 abnormal한 소견 보여 2nd look operation & chemoport(I-P) insertion , stage3 chemotherapy위해 본원 병동 미리 예약하고 2007년 3월22일 입원하셨다.
입원당시~사정당시 : 2007년 3월 22일 AM10. 환자가 도보로 본 병원 병동으로 왔을때 mental state는 alert 하였으며, BP는 92/70 HR는 74 BT 36.6 이었다. 수술위해 NPO, suprapubic위 shaving, enema 시행하고 HS10 1000ml IV로 주입하였다.
3월 23일 2nd look operation & chemoport(I-P) insertion 후 stretcher car에 의해 병실 오셨다. mental state는 alert하였고 op site oozing, bleeding없었으며 foley catheter 통해 urine clear하게 배출되고 심호흡, 기침 격려하였다. 수술 후 세포학검사 결과 Lt, Rt pelvic에 아직 mass가 남아있었다.
3월 25일 foley catheter remove 하고 3월 29일 op site 발사 완료 하였다. 3월 초부터 목에 이물감 호소하던 본 환자 op후 #5 수면내시경 받으셨다.
4월 2일(day1) 1st IP CTx 시작하여 am11부터 premed 맞으시고 MD Genexol 190mg. < WBC/seg 4300/58%, Hb/Hct 12.9/39.2, ANC 2569, PTL 147k, Bun/cr 13.9/0.7, Na/K 140/3.8, OT/PT 39/451, chest PA EKG → WNL >
4월 3일(day2) pm1 cisplatin(in I-P) 140mg 주입되었고 컨디션, v/s 괜찮았으며 특이호소 없었다.
4월 9일(day8) MD에 genexol 84mg(I-P) < WBC/seg 3480/52%, Hb/Hct 13.7/41.3,
-장점: 종양이 존재하는데도 치료가 조기에 종결되는 것을 방지함 조직학적 증거에 의해 화학요법을 즉시 중단함으로 화학요법의 부작용을 최소 화 함 예후에 대한 정보를 환자에게 설명함으로써 환자의 정신적 안정과 치료에 적 극 참여할 수 있게 함
-단점: 수술에 대한 경비 수술의 위험성(수술 시나 수술후의 합병증) 생명연장에 대한 증거가 없음
이러한 이차 추시개복술에서 암이 존재하는데도 불구하고 육안적으로 조직학적으로 종양이 발견될 확률은 약 50%정도 밖에 되지 않으며 Ⅰ,Ⅱ기에서는 15%정도가 양성 소견을 보이고, 반대로 Ⅲ기 이상 에서는 겨우 35%정도에서 만이 음성소견을 보인다. 실제로 이차 추시개복술의 결과 음성으로 나오더라도 30-50%에서 5년 이내에 재발한다.
(2) 화학요법: 항암제는 수술을 통해 다 제거하지 못한 암을 치료하는 수단으로 사용한다. 난소암은 성인에게서 발생하는 암 중에서는 비교적 항암제가 효과를 발휘하는 암이다. 항암제는 내복하거나 정맥주사로 투여하며, 직접 복강내로 주입하기도 한다. 어떤 방법으로 투여하든 간에 항암제는 혈액 속에 들어가 전신을 돌며 작용하게 된다. 항암제를 반복해서 사용하면 암세포가 완전히 소멸되기도 하므로, 효과가 있는 한 어느 정도 이상의 부작용이 일어날 때까지는 항암제를 사용한다. 항암제의 부작용에는 혈액 중의 백혈구와 혈소판 수의 감소, 빈혈, 구역질과 구토, 식욕 저하, 탈모, 손발이 저리는 현상 등이 있다.
① 단일제제화학요법 melphalan, cisplatin, carboplatin, paclitaxel,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hexamethylmelamine, 5-fluorourcil 등이 사용
② 복합화학요법
HEXA-CAF(hexamethylmelamine, cychlophosphamide, methotrexate, 5-Fu), A-C(adriamycin, cychlophosphamide)들이 병용되고 있다.
(3) 방사선요법: 초기 난소암에서는 수술후 보조 요법으로, 진행성 난소암에서는 고식요법으로 사용된다. 방사선은 주로 복막표면을 통한 외부조사를 하며, 제 1~2기의 난소암의 조사량은 4,000~5,000rads이다. 그 외에 교질성 방사선 동위원소를 복막내에 점적주입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9. 예후
치료 후 5년 이상 생존하는 환자의 비율을 5년 생존율 이라고 하며 치료성과의 지표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난소암의 진행기별 치료성과는 다음과 같다.
병기
5년생존율
1기
80%
2기
60%
3기
23%
4기
14%
Ⅲ. 간호과정
제 1단계 : 간호사정
1) 개인력
이 름 : 김 × × 연 령 : 43세 성 별 : F
입원일 : 2007. 3. 22 사정일 : 2007. 4. 2 정보제공자 : 본인
진단명 : Malignant neoplasm of ovary
2) 건강력
입원동기 : 본 대상자는 palpable abdominal mass 주소로 본원 내원하여 2007년 2월 26 일 시행한 sono 검사상 상기 소견 보여 2nd look operation & chemoport(I-P)
insertion 위해 본원 adm.
(1) 현병력
C.C : CTx
발병당시~입원당시 : 2006년 간헐적으로 flank pain이 있어 본원 내원하여 sono등의 검사를 받은 대상자는 ovarian cancer 진단받고 수술의 권유를 받았었지만, 민간요법을 원하여 수술을 거부하다가 상태 호전되지 않아 다시 본원 내원하여 2005년 5월 TAL, BSO를 받고 stage2 chemotherapy를 마쳤다.
2007년 2월 26일 시행한 초음파 검사와 3월 9일 시행한 PET-CT의 검사결과 abnormal한 소견 보여 2nd look operation & chemoport(I-P) insertion , stage3 chemotherapy위해 본원 병동 미리 예약하고 2007년 3월22일 입원하셨다.
입원당시~사정당시 : 2007년 3월 22일 AM10. 환자가 도보로 본 병원 병동으로 왔을때 mental state는 alert 하였으며, BP는 92/70 HR는 74 BT 36.6 이었다. 수술위해 NPO, suprapubic위 shaving, enema 시행하고 HS10 1000ml IV로 주입하였다.
3월 23일 2nd look operation & chemoport(I-P) insertion 후 stretcher car에 의해 병실 오셨다. mental state는 alert하였고 op site oozing, bleeding없었으며 foley catheter 통해 urine clear하게 배출되고 심호흡, 기침 격려하였다. 수술 후 세포학검사 결과 Lt, Rt pelvic에 아직 mass가 남아있었다.
3월 25일 foley catheter remove 하고 3월 29일 op site 발사 완료 하였다. 3월 초부터 목에 이물감 호소하던 본 환자 op후 #5 수면내시경 받으셨다.
4월 2일(day1) 1st IP CTx 시작하여 am11부터 premed 맞으시고 MD Genexol 190mg. < WBC/seg 4300/58%, Hb/Hct 12.9/39.2, ANC 2569, PTL 147k, Bun/cr 13.9/0.7, Na/K 140/3.8, OT/PT 39/451, chest PA EKG → WNL >
4월 3일(day2) pm1 cisplatin(in I-P) 140mg 주입되었고 컨디션, v/s 괜찮았으며 특이호소 없었다.
4월 9일(day8) MD에 genexol 84mg(I-P) < WBC/seg 3480/52%, Hb/Hct 13.7/41.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