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문화와생활세계 4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문화와생활세계 4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성인의 날
2.어린이의 날
3.국민휴일

본문내용

일본의 문화와 생활 세계
<4주차> 레포트
<4주차 레포트>
현재 일본이 정하고 있는 연간 국경일이 모두 몇 일인지 찾아보고 각각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일본의 국경일과 공휴일은 우리나라와는 조금 다르다. 일본에서는 국경일과 일요일이 겹칠 경우엔 그 다음날 월요일도 공휴일로 지정한다는 해피먼데이 법이 있다. 또한 공휴일과 공휴일 사이에 평일이 있을 때는 그 평일도 공휴일로 지정한다. 5월 4일 국민휴일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런 시스템에 의해서 우리나라에비해서 일본에는 국경일이 많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국경일은 삼일절(3.1), 제헌절(7.17), 광복절(8.15), 개천절(10.3)이 있다. 그러나 일본에는 무려 15일의 국경일이 있다. 그 국경일들의 대해 알아보면 보겠다.
1) 성인의 날
성인의 날은 유년시절의 마치고, 자립하여 성인사회로 들어간다는 것을 가각하기 위한 의식을 행하는 날이다. 우리나라에도 성인의 날이 있는데, 우리나라와는 조금 다른 풍습이고 국경일이다. 먼저 의복부터 우리나라와 다르고 또 남녀가 다르다. 남자는 하카마, 여자는 후리소테라는 옷을 입는다. 이날의 의식인 성인식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주최하는데, 여기서도 남자와 여자는 조금 차이가 있다. 남자는 머리를 묶어 올리고 복장을 달리한다. 그리고 그동안 써왔던 어릴 적 이름을 바꾸기도 한다. 그와다르게 여자는 머리를 따서 올리고 치아를 검게 물들이는 오하구로 의식을 한다. 이런 성인의 날은 메이지 시대 이후 남자는 병역의 의무, 군대에 가기 위한 징병검사로 징병검사는 성인식을 의미를 하며 성인의 날 제정의 계기를 마련했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병역의 의무를 폐지하고 1948년 국민의 축일에 관한 법률에 의해 ‘성인의 날’을 정식 국경일로 제정했다. 성인의 날은 2000년 이전에 1월 15일 이었으나, 해피먼데이법에 의해서 2000년 이후에는 1월 둘째 주 월요일로 개정 되었다. 국경일로까지 정해진 성인의 날이기 때문에 성인의 날은 일본의 뷰티샵이 일 년 중 가장 잘되는 날이다. 여성들은 성인의날 행사를 위해 기모노를 입는다. 아침 5~6시에 미용실로 가서 3~4시간 동안 모양을 고친다. 기모노는 입는 것이 아니라 걸치는 것이라고 한다.
보통 미용사 3~4명이 달려들어 치장등을 한다.
그러나 이런 국경일에도 요즘은 성인의날 행사 반대를 하는 무리도 있다. 그 시작이 된 예로 고치현 고치시 성인식장에서 성인식에 참여한 아이들과 지방자치단체장과의 마찰이 있었는데, 이로 인해 성인의날이 그저 형식적인 모습으로만 변했다고 한다. 우메하나여자대학의 요네가와 아키히코교수는 “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12.29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57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