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에 따라 서경(평양) 건설을 하고, 황제의 직계조상의 묘와 전각을 새롭게 짓고, 추숭과 추존작업을 시행했다. 더불어 서구문물인 전차, 기차, 전기선, 근대식 호텔 등이 들어서고 외국공사관이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점차 서구식 근대의 모습을 갖추어갔다. 그뿐 아니라 황제 즉위 후 완공된 독립문의 건립은 동아시아의 유일한 황제국이자 종주국임을 자처하던 중국의 그늘에서 벗어나 자주독립국가가 되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이어진 일련의 사업들은 동아시아적 황제국가로서의 면모를 갖춤으로써 대내외적으로 국가와 국왕의 위상을 높이려는 것이었다. 이는 냉혹한 국제사회의 현실 속에서 재한제국의 생존을 위해서는 서구적인 기준에서 문명국가, 근대국가로서의 면모를 갖춤으로써 '만국공법'의 적용을 받는 자주독립국가임을 인정받아야 한다는 절박한 의미이기도 했다. '대한국국제'의 반포와 국기, 국가, 국경일, 훈장 등 국가 상징물을 제정하고, 특히 조약국의 원수와 훈장을 주고받은 것은 바로 대한제국 및 대한제국의 황제가 조약국들과 동등한 위상을 가지는 자주독립국가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작업이었다. 고종황제는 한걸음 더 나아가 세계 각국의 민·관이 함께 참여하여 교류하는 만국우편연합·적십자와 같은 국제기구·협약에 가입하거나 박람회와 같은 국제적 교류행사에 참여하는 데에도 상당한 관심을 쏟아 조선에 비해 국제사회의 참여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고종이 친정을 함으로써 흥선대원군이 물러났지만, 고종과 명성황후는 흥선대원군과 정치적으로 대립관계에 있었다. 이는 이재선의 역모사건과 임오군란, 동학농민운동 그리고 이준용의 모반사건 등을 통해 그들의 대립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고종은 대외적 상황과 대내적 상황에 따라 여러 개화정책을 시작하였고, 더불어 자주외교운동도 펼쳐나갔다. 특히, 명성황후는 인아거청(引俄拒淸)에서 인아거일(引俄拒日)로 외교노선을 바꿈으로써 일제의 미움의 대상이 되어 결국 낭인의 손에 죽임을 당한다. 명성황후 사후 고종은 아관파천을 통해 일제의 힘에서 벗어나려 했다. 그 결과로 대한제국이 수립되기에 이르렀다. 결국 고종은 대한제국을 선포함으로써 조선이 자주국가임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싶어했고, 황제권을 강화함으로써 더 이상의 간섭을 받는 것을 원치 않았던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한제국이 성립되기까지 고종은 주체적으로 행동하길 원했고, 점진적인 개화정책을 통해 조선이 변화되기를 원했으며, 국제정세 속에서 조선을 하나의 독립국으로 만들고 싶어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명성황후는 정치적으로는 민씨 세력을 통해 고종의 정책이 실현될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 고종의 개국정책을 적극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외교적으로는 고종과 더불어 이이제이(以夷制夷)의 외교방법을 사용하고, 외국 인사들과 친밀한 관계를 지니면서 조선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이끄는 모습도 보였다. 이는 고종 역시 그를 도와주는 황후를 신뢰하였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명성황후는 고종의 개화정책과 외교정책들을 뒷받침해주는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진 일련의 사업들은 동아시아적 황제국가로서의 면모를 갖춤으로써 대내외적으로 국가와 국왕의 위상을 높이려는 것이었다. 이는 냉혹한 국제사회의 현실 속에서 재한제국의 생존을 위해서는 서구적인 기준에서 문명국가, 근대국가로서의 면모를 갖춤으로써 '만국공법'의 적용을 받는 자주독립국가임을 인정받아야 한다는 절박한 의미이기도 했다. '대한국국제'의 반포와 국기, 국가, 국경일, 훈장 등 국가 상징물을 제정하고, 특히 조약국의 원수와 훈장을 주고받은 것은 바로 대한제국 및 대한제국의 황제가 조약국들과 동등한 위상을 가지는 자주독립국가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작업이었다. 고종황제는 한걸음 더 나아가 세계 각국의 민·관이 함께 참여하여 교류하는 만국우편연합·적십자와 같은 국제기구·협약에 가입하거나 박람회와 같은 국제적 교류행사에 참여하는 데에도 상당한 관심을 쏟아 조선에 비해 국제사회의 참여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고종이 친정을 함으로써 흥선대원군이 물러났지만, 고종과 명성황후는 흥선대원군과 정치적으로 대립관계에 있었다. 이는 이재선의 역모사건과 임오군란, 동학농민운동 그리고 이준용의 모반사건 등을 통해 그들의 대립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고종은 대외적 상황과 대내적 상황에 따라 여러 개화정책을 시작하였고, 더불어 자주외교운동도 펼쳐나갔다. 특히, 명성황후는 인아거청(引俄拒淸)에서 인아거일(引俄拒日)로 외교노선을 바꿈으로써 일제의 미움의 대상이 되어 결국 낭인의 손에 죽임을 당한다. 명성황후 사후 고종은 아관파천을 통해 일제의 힘에서 벗어나려 했다. 그 결과로 대한제국이 수립되기에 이르렀다. 결국 고종은 대한제국을 선포함으로써 조선이 자주국가임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싶어했고, 황제권을 강화함으로써 더 이상의 간섭을 받는 것을 원치 않았던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한제국이 성립되기까지 고종은 주체적으로 행동하길 원했고, 점진적인 개화정책을 통해 조선이 변화되기를 원했으며, 국제정세 속에서 조선을 하나의 독립국으로 만들고 싶어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명성황후는 정치적으로는 민씨 세력을 통해 고종의 정책이 실현될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 고종의 개국정책을 적극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외교적으로는 고종과 더불어 이이제이(以夷制夷)의 외교방법을 사용하고, 외국 인사들과 친밀한 관계를 지니면서 조선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이끄는 모습도 보였다. 이는 고종 역시 그를 도와주는 황후를 신뢰하였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명성황후는 고종의 개화정책과 외교정책들을 뒷받침해주는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천자료
고종시대의 재조명(영웅과 민중)
고종황제와 홍선대원군
고종황제 역사청문회
고종과 명성황후의 근대화
고종 44년의 비원 서평
[평가학점 A 제로] 감상문) 길들이기와 편가르기를 넘어 `한국 근대 100년
1945년 8월 15일 해방의 의미와 한국전쟁기 학살 문제에 대해 서술하기
게릴라(유격대)와 의병전쟁, 게릴라(유격대)와 알제리전투, 게릴라(유격대)와 한국전쟁, 게릴...
[근현대사, 근대 현대사]근현대사(근대 현대사) 인물 이범석, 근현대사(근대 현대사) 인물 이...
[일제강점기]일제강점기(식민지시대, 일제시기)의 방송도입, 무역변화, 일제강점기(식민지시...
[경복궁, 경복궁 창건, 경복궁 역사, 경복궁 배치형식, 경복궁 구성, 조선시대, 고종, 명성황...
민족독립운동(민족해방운동)의 연구, 한국(대한민국)의 민족독립운동(민족해방운동), 대만(타...
(세계의역사 공통) 베트남 전쟁에 관한 인터넷 자료를 10건 이상 확보하여 정독한 후, 베트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