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체벌의 의미
1. 체벌의 개념
2. 체벌의 유형
Ⅱ. 체벌의 실태 및 사례
1. 우리나라의 체벌 실태
1) 교사 체벌 실태 조사(1998~2004년) -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3년 조사
2) 여고생 체벌 - SBS 뉴스
3) 교사의 하소연 -매일신문 2006.8.31
4) 영암군청, 영암중학교 사랑의 매 전달 - 연합뉴스
5) 울산시 교육청 체벌규정 마련
6) 학교 체벌금지 법제화 추진
2. 외국의 체벌 실태
1) 미국
2) 영국
3) 싱가포르
4) 일본
Ⅲ. 체벌의 교육적 의미와 한계
1. 체벌의 교육적 효과
2. 체벌의 한계
Ⅳ. 체벌의 대안
1. 체벌의 개념
2. 체벌의 유형
Ⅱ. 체벌의 실태 및 사례
1. 우리나라의 체벌 실태
1) 교사 체벌 실태 조사(1998~2004년) -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3년 조사
2) 여고생 체벌 - SBS 뉴스
3) 교사의 하소연 -매일신문 2006.8.31
4) 영암군청, 영암중학교 사랑의 매 전달 - 연합뉴스
5) 울산시 교육청 체벌규정 마련
6) 학교 체벌금지 법제화 추진
2. 외국의 체벌 실태
1) 미국
2) 영국
3) 싱가포르
4) 일본
Ⅲ. 체벌의 교육적 의미와 한계
1. 체벌의 교육적 효과
2. 체벌의 한계
Ⅳ. 체벌의 대안
본문내용
* 목 차 *
Ⅰ. 체벌의 의미
1. 체벌의 개념
2. 체벌의 유형
Ⅱ. 체벌의 실태 및 사례
1. 우리나라의 체벌 실태
1) 교사 체벌 실태 조사(1998~2004년) -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3년 조사
2) 여고생 체벌 - SBS 뉴스
3) 교사의 하소연 -매일신문 2006.8.31
4) 영암군청, 영암중학교 사랑의 매 전달 - 연합뉴스
5) 울산시 교육청 체벌규정 마련
6) 학교 체벌금지 법제화 추진
2. 외국의 체벌 실태
1) 미국
2) 영국
3) 싱가포르
4) 일본
Ⅲ. 체벌의 교육적 의미와 한계
1. 체벌의 교육적 효과
2. 체벌의 한계
Ⅳ. 체벌의 대안
Ⅰ. 체벌의 의미
1. 체벌의 개념
체벌의 개념에 대해 신동로(1988)는 “체벌은 학생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보일 때 그 행동을 약화 또는 소멸시키기 위하여 신체적 부위에다 불쾌한 자극을 가하여 고통을 주는 교육적 수단” 이라고 정의하였고, 강인수 (1989)는 “체벌은 학생을 때리거나 벌을 세우는 등 신체적 고통을 주고, 그 고통에서 피하려는 노력에 호소하여 학업에 더욱 증진하게 한다던가, 비행을 교정하려는 교육방치“ 이라고 정의 하였다.
또한 국어 사전에 의하면 “몸에 직접 고통을 주는 벌” 로, 교육학 사전에 의하면 “훈육의 한 방법으로서 특정의 행동을 중단하도록 하기 위해 신체적 고통을 가하는 것, 또 신체적 고통을 가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 좌절감이나 갈등을 유발하는 것” 으로 정의 하였다.
일반적인 체벌에 대한 개념은 교육학 대사전 (198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학업이 부진하거나 금지되어 있는 일을 범하였을 때와 같은 경우에 때리거나 세워두거나 식사를 시키지 않는 등의 신체적 고통을 주는 벌을 가함으로써 격려한다 든가 그 비행을 교정하려는 방법” 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체벌에 대한 개념 하에 현대에서는 체벌의 범주에 여러 가지를 포함시키고 있다. 이를 이동욱(1976)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첫째, 신체에 대한 침해를 내용으로 하는 징계(때리고, 발로 차는 것) 또는 피해자에게 육체적 고통을 주는 것 같은 징계는 체벌에 해당한다. 즉, 무릎꿇고 앉히거나 바로 서게 하는 것 등 특정의 자세를 장시간에 걸쳐서 유지시키는 것 같은 징계는 체벌의 일종이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둘째, 용변을 못 보게 하거나 식사시간이 지나도 식사를 할 수 없도록 잡아두는 것은 내재적 고통을 수반하므로 체벌에 해당한다.
셋째, 지각이나 태만한 경우 평소 당번의 횟수를 증가하는 것은 상관없으나 부당한 차별이나 혹사를 시키는 행위는 체벌에 해당한다.
넷째, 도난 사고시 그 학생이나 증인을 방과 후에 심문하는 것은 상관없으나 자백이나 진술을 강요하는 행위는 체벌에 해당한다.
다섯째, 수업시간 중 태만하거나 떠들었다고 해서 교실 밖으로 나가게 하여 수업을 받지 못하는 행위는 체벌에 해당한다.
여섯째, 고의적으로 필요이상의 정신적인 불안감, 긴장감, 초조감을 주는 행위도 체벌에 해당한다. 즉, 체벌은 학교 운영상 또는 아동 훈육상 행해지는 것으로서, 벌은 훈육의 하위개념으로, 체벌은 벌의 하위 개념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이들 용어가 혼용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를 통해 체벌의 개념을 요약하면, 체벌은 교사가 학생의 문제 사태를 지도하기 위하여 학교현장에서 학생에게 주는 신체적 고통 뿐 아니라 정신적 고통을 포함하는 모든 행위 - 즉, 벌 세우기, 방과 후 남기기, 작업 활동, 질책 등 -을 말한다.
2. 체벌의 유형
1) 학교에서 행해지는 처벌을 몇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면,
첫째, 자연벌로서 행위 그 자체가 행위자에게 보복이 됨을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물을 엎지른 아동에게 그 엎지른 물을 닦도록 하는 것이 벌이 된다는 의미이다.
둘째, 물리적인 벌로서, 때린다던가하여 신체적인 고통을 주는 체벌을 말한다.
셋째, 과업의 부과에 의한 벌로서, 일정량의 작업으로 자극을 주는 것이다.
넷째, 특권을 박탈하는 벌로서, 학급에서 분단장이나 위원장 등의 직워를 박탈하거나 시험성적이 나쁠 때 수업 중간의 쉬는 시간을 박탈하거나 혹은 교직을 위반했을 때 정학을 시키는 것 등이 이에 속한다.
다섯째, 명예심에 호소하는 벌인 데, 이것은 Neil의 Summerhill에서 있었던 것으로 잘못을 하면 학생들 스스로가 벌금을 물기로 결정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2) 강인수의 분류
강인수(1989)는 체벌의 유형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첫째, 직접적으로 신체에 고통을 주는 체벌로서 다음과 같은 체벌이 있다.
- 1. 혹동한 작업이나 청소
- 2. 장시간의 기립(학습 현장 내)
- 3. 장시간의 강제 단좌
- 4. 혹독한 체력 훈련(달리기, 엎드리기)
둘째, 간접적으로 신체적, 정신적인 고통을 주는 체벌로서 다음과 같은 체벌이 있다.
- 1. 귀가의 장시간 보류(반성문, 과제 등)
- 2. 혹독한 질책을 하는 것(욕설, 야유, 힐난, 비교 등)
- 3. 학습 현장 밖으로 격리(복도,, 운동장 등) 시키는 것
- 4. 학생의 질문, 행동에 반응을 전혀 보이지 않는 것
- 5. 식사 시간에 다른 벌이나 작업 등에 동원되는 것이다.
3) 김명관의 분류
체벌의 유형에 대해 김명관(1998)은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첫째, 신체 접촉에 의한 체벌 : 손바닥으로 뺨 때리기, 뺨 꼬집기, 몸 꼬집기, 귀 잡아당기기, 군밤 주기, 머리 잡아당기기, 주먹으로 얼굴 때리기, 주먹으로 등, 가슴, 배 때리기, 발로 차기
둘째, 도구를 이용한 체벌 : 회초리로 손바닥 때리기, 회초리나 막대기로 머리 때리기, 몽둥이로 허벅지 때리기, 자로 머리나 손바닥 때리기, 자로 얼굴
Ⅰ. 체벌의 의미
1. 체벌의 개념
2. 체벌의 유형
Ⅱ. 체벌의 실태 및 사례
1. 우리나라의 체벌 실태
1) 교사 체벌 실태 조사(1998~2004년) -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3년 조사
2) 여고생 체벌 - SBS 뉴스
3) 교사의 하소연 -매일신문 2006.8.31
4) 영암군청, 영암중학교 사랑의 매 전달 - 연합뉴스
5) 울산시 교육청 체벌규정 마련
6) 학교 체벌금지 법제화 추진
2. 외국의 체벌 실태
1) 미국
2) 영국
3) 싱가포르
4) 일본
Ⅲ. 체벌의 교육적 의미와 한계
1. 체벌의 교육적 효과
2. 체벌의 한계
Ⅳ. 체벌의 대안
Ⅰ. 체벌의 의미
1. 체벌의 개념
체벌의 개념에 대해 신동로(1988)는 “체벌은 학생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보일 때 그 행동을 약화 또는 소멸시키기 위하여 신체적 부위에다 불쾌한 자극을 가하여 고통을 주는 교육적 수단” 이라고 정의하였고, 강인수 (1989)는 “체벌은 학생을 때리거나 벌을 세우는 등 신체적 고통을 주고, 그 고통에서 피하려는 노력에 호소하여 학업에 더욱 증진하게 한다던가, 비행을 교정하려는 교육방치“ 이라고 정의 하였다.
또한 국어 사전에 의하면 “몸에 직접 고통을 주는 벌” 로, 교육학 사전에 의하면 “훈육의 한 방법으로서 특정의 행동을 중단하도록 하기 위해 신체적 고통을 가하는 것, 또 신체적 고통을 가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 좌절감이나 갈등을 유발하는 것” 으로 정의 하였다.
일반적인 체벌에 대한 개념은 교육학 대사전 (198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학업이 부진하거나 금지되어 있는 일을 범하였을 때와 같은 경우에 때리거나 세워두거나 식사를 시키지 않는 등의 신체적 고통을 주는 벌을 가함으로써 격려한다 든가 그 비행을 교정하려는 방법” 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체벌에 대한 개념 하에 현대에서는 체벌의 범주에 여러 가지를 포함시키고 있다. 이를 이동욱(1976)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첫째, 신체에 대한 침해를 내용으로 하는 징계(때리고, 발로 차는 것) 또는 피해자에게 육체적 고통을 주는 것 같은 징계는 체벌에 해당한다. 즉, 무릎꿇고 앉히거나 바로 서게 하는 것 등 특정의 자세를 장시간에 걸쳐서 유지시키는 것 같은 징계는 체벌의 일종이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둘째, 용변을 못 보게 하거나 식사시간이 지나도 식사를 할 수 없도록 잡아두는 것은 내재적 고통을 수반하므로 체벌에 해당한다.
셋째, 지각이나 태만한 경우 평소 당번의 횟수를 증가하는 것은 상관없으나 부당한 차별이나 혹사를 시키는 행위는 체벌에 해당한다.
넷째, 도난 사고시 그 학생이나 증인을 방과 후에 심문하는 것은 상관없으나 자백이나 진술을 강요하는 행위는 체벌에 해당한다.
다섯째, 수업시간 중 태만하거나 떠들었다고 해서 교실 밖으로 나가게 하여 수업을 받지 못하는 행위는 체벌에 해당한다.
여섯째, 고의적으로 필요이상의 정신적인 불안감, 긴장감, 초조감을 주는 행위도 체벌에 해당한다. 즉, 체벌은 학교 운영상 또는 아동 훈육상 행해지는 것으로서, 벌은 훈육의 하위개념으로, 체벌은 벌의 하위 개념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이들 용어가 혼용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를 통해 체벌의 개념을 요약하면, 체벌은 교사가 학생의 문제 사태를 지도하기 위하여 학교현장에서 학생에게 주는 신체적 고통 뿐 아니라 정신적 고통을 포함하는 모든 행위 - 즉, 벌 세우기, 방과 후 남기기, 작업 활동, 질책 등 -을 말한다.
2. 체벌의 유형
1) 학교에서 행해지는 처벌을 몇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면,
첫째, 자연벌로서 행위 그 자체가 행위자에게 보복이 됨을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물을 엎지른 아동에게 그 엎지른 물을 닦도록 하는 것이 벌이 된다는 의미이다.
둘째, 물리적인 벌로서, 때린다던가하여 신체적인 고통을 주는 체벌을 말한다.
셋째, 과업의 부과에 의한 벌로서, 일정량의 작업으로 자극을 주는 것이다.
넷째, 특권을 박탈하는 벌로서, 학급에서 분단장이나 위원장 등의 직워를 박탈하거나 시험성적이 나쁠 때 수업 중간의 쉬는 시간을 박탈하거나 혹은 교직을 위반했을 때 정학을 시키는 것 등이 이에 속한다.
다섯째, 명예심에 호소하는 벌인 데, 이것은 Neil의 Summerhill에서 있었던 것으로 잘못을 하면 학생들 스스로가 벌금을 물기로 결정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2) 강인수의 분류
강인수(1989)는 체벌의 유형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첫째, 직접적으로 신체에 고통을 주는 체벌로서 다음과 같은 체벌이 있다.
- 1. 혹동한 작업이나 청소
- 2. 장시간의 기립(학습 현장 내)
- 3. 장시간의 강제 단좌
- 4. 혹독한 체력 훈련(달리기, 엎드리기)
둘째, 간접적으로 신체적, 정신적인 고통을 주는 체벌로서 다음과 같은 체벌이 있다.
- 1. 귀가의 장시간 보류(반성문, 과제 등)
- 2. 혹독한 질책을 하는 것(욕설, 야유, 힐난, 비교 등)
- 3. 학습 현장 밖으로 격리(복도,, 운동장 등) 시키는 것
- 4. 학생의 질문, 행동에 반응을 전혀 보이지 않는 것
- 5. 식사 시간에 다른 벌이나 작업 등에 동원되는 것이다.
3) 김명관의 분류
체벌의 유형에 대해 김명관(1998)은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첫째, 신체 접촉에 의한 체벌 : 손바닥으로 뺨 때리기, 뺨 꼬집기, 몸 꼬집기, 귀 잡아당기기, 군밤 주기, 머리 잡아당기기, 주먹으로 얼굴 때리기, 주먹으로 등, 가슴, 배 때리기, 발로 차기
둘째, 도구를 이용한 체벌 : 회초리로 손바닥 때리기, 회초리나 막대기로 머리 때리기, 몽둥이로 허벅지 때리기, 자로 머리나 손바닥 때리기, 자로 얼굴
추천자료
체벌 -교육에 있어서 체벌은 필요한가
[사회복지A+]우리나라 장애 개념, 정의 각국의 정의 비교 및 장애 유형과 특성 완벽 분석
서울시 교육청에서는 2010년 2학기부터 체벌금지를 실시한다고 합니다. 체벌금지에 대한 각자...
긍정적 훈육(체벌금지 찬성입장) : 우리아이들이 원하는 지도방법 - 체벌 금지가 아닌 긍정적...
체벌,학교체벌,학교폭력,체벌논란,체벌찬성,체벌반대,과잉체벌,체벌사례,다른나라체벌
[법률] 체벌과 교육 (체벌 찬반론) 체벌 ∝ 교육??.ppt
[자기탐색]자기탐색(자아탐색)의 개념, 유형, 자기탐색(자아탐색)의 특성, 자기탐색(자아탐색...
[★★체벌 금지 해결방안★★] 교육계 체벌 문제의 심각성과 원인 및 외국 사례PPT자료
사회문제 - 체벌의 의미, 체벌의 사례, 세계각국의 체벌 허용 범위, 체벌에 대한 찬반 견해
학교 체벌의 원인과 효과, 체벌에 대한 나의입장
[사회문제론] 당신 곁에 우리가 있어요! - 여성 성폭력 (성폭력의 개념, 유형, 현실, 사례, ...
체벌(體罰) 반대 주장 (체벌을 반대하는 입장) [교양]
[심리치료와 상담] 개인심리학의 기본가정과 주요개념 및 성격이론(가상적인 최종목표, 열등...
[체벌 토론] 토론주제 : 체벌을 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