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료교수모형에 대한 총체적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료교수모형에 대한 총체적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요
2. 동료교수모형의 기초
3. 교수 학습의 특징
4. 교사 전문성 및 상황적 요구조건
5. 동료교수 모형의 교수․학습 기준
6. 학습 평가
7. 동료교수 모형의 선정과 변형
8-1. 동료 교수 과정안 - [5학년 체조활동 : 맨손지도]
8-2. 동료교수 과정안 - 테니스 학습

<참고자료 2>
또래교수가 자폐성 장애 어린이의 던지기 동작 수행 변화에 미치는 영향

본문내용

우리는 이 과제 기록지를 올해 여러 번 이용할 것이다.
<참고자료 2>
또래교수가 자폐성 장애 어린이의 던지기 동작 수행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여상곤,1978- / 서울대학교 대학원 / 2002 /
운동기술의 발달은 점진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생리학적 준비요인, 유전적 요인과 함께 사회 문화적 환경 안에서 적절한 교육을 받았을 때 비로소 가능하다(McKenzie, et al., 1998).
던지기 동작을 포함한 모든 운동의 숙련된 수행은 신체 발육상태와 인지능력을 기초로 하여 또래와의 상호작용과 같은 사회적 경험이 더해졌을 때 비로소 최대화될 수 있으며(정현채, 1999), 어린이가 자신의 움직임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좀 더 의미있는 움직임 경험을 학습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조순묵, 1995).
여자 어린이들이 제한적인 학습과 운동경험 등으로 인해 미숙한 던지기 동작을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발달장애 어린이들 역시 운동경험 기회의 제약, 운동능력 및 흥미의 부족으로 일반적인 운동발달을 이루지 못한다(강문주, 2000).
이런 체육지도 현장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장애 어린이들에게 실제적인 운동경험 증가와 보다 직접적인 교수형태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Block과 Krebs(1992)는 또래교수(peer tutoring)을 제시하였다. 또래교수는 유년기 운동발달 향상에 있어 강력한 사회화 인자인 또래집단(Gabbard, 2000)을 교수자로 선정하여, 학습자에게 과제에 반응할 충분한 기회와 즉각적인 피드백의 제공 그리고 또래집단을 통한 강력한 동기부여를 제시할 수 있는 교수전략이다(한은숙, 1994).
연구자들은 또래교수가 장애 어린이들의 실제학습시간(Academic Learning Time - Physical Education)(Depaepe, 1985; Liberman, Newcomer, McCubbin, & Dalrymple, 1997; Webster, 1987), 과제에 대한 반응기회(Houston-Wilson, Dunn, van der Mars, & McCubbin, 1997), 체력(Halle, Gabler-Halle, & Bembren, 1989)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Halle(1989) 등은 중도 정신지체 장애 어린이들의 유산소 체력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육활동에서 또래교사들의 보조가 효과적이었다는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
따라서 여기서는 일반 또래들이 교수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또래교수가 자폐성 장애 어린이의 던지기 동작 수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자폐성 장애 어린이의 운동기술 지도방법으로서 또래교수 전략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사용한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1) 또래교수(peer tutoring) : 본 연구에서 또래교수는 통합된 현장에서 일반또래 어린이가 또래 교사의 역할을 맡아 학습자인 자폐성 장애 어린이를 지도하는 것을 말한다.
2) 자폐성 장애(autistic disorder) : 자폐성 장애는 생후 3년 이내에 전반적인 기술 영역 에서 발달상의 지체나 장애가 관찰되는 스펙트럼 장애(spectrum disorder)이다. 자폐성 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의사소통을 담당하는 뇌의 기능이나 그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신경학적인 부조(neurological disorder)에서 주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양문봉, 2000).
3) 던지기(throwing) : 한 손으로 어깨 위로 던지면서 반대 발을 앞으로 내딛는 오버암 던 지기(overarm throwing)을 말한다.
본 연구는 사전교육을 받은 비장애 어린이가 제공하는 또래교수가 자폐성 장애 어린이의 던지기 동작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대 특수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8~10세 사이의 자폐성 장애 어린이(남 2명, 여 1명) 3명과, 8~10세 사이의 비장애 어린이(남 1명, 여 2명) 3명을 대상으로 지연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delaye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의 구성은 대상자 별로 8주간 총 15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마지막 중재 2주 후에 유지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또래교수는 각 연구 대상자의 던지기 동작의 신체구성요인별(다리, 몸통, 백스윙, 상 완, 전완) 발달단계를 전반적으로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교수는 각 연구 대상자의 전체 던지기 동작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또래교수는 각 연구 대상자의 던지기 거리를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또래교사 교육을 받은 비장애 어린이가 제공하는 또래교수 유형이 장애 어린이의 체육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Block & Bain, 1995, Knowles, Aufderheide, and McKenzie, 1982, Liberman, Newcomer, McCubbin, Dalrymple, 1997, Webster, 1987), 특히 운동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Depaepe, J.L., 1985, Vogler E. W., van der Mars, Cusimano, & Darst, P., 1992., Houston-Wilson, Dunn, van der Mars, and McCubbin, 1997) 선행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이 동작 수행에 있어서 향상을 이룰 수 있었던 주요 원인은 또래교수가 전통적인 수업방식보다 장애 어린이들의 체육교과 실제학습시간(ALT-PE)를 증가시켜 장애 어린이들의 과제 반응 시간이 향상되었고, 교사가 학습자에게 충분한 의사소통과 강화를 제공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드러나는 또래교수의 효과는 자폐성 장애 어린이들이 사회적인 학습을 통한 운동기술의 학습 기회가 조성된다는 점이다. Bandura 등(1963)의 연구자들은 사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1.01.03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68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